|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관점 전환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조직코칭
- 코치올
- 효과성 코칭 모델
- 효과성코칭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증거기반코칭
- 코칭 프레임워크
- 효과성코칭워크숍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thinking partner
- 결정적 행동
- 팀효과성진단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코칭심리학 시리즈
- 원하는 결과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코칭방법론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씽킹 파트너
- 관점 코칭
- 효과성 프레임워크
- 코칭심리학
- 효과성 코칭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Today
- Total
목록3. 코칭심리연구/코칭노트 (204)
코치올
어제는 K 코치님이 코치올의 팀효과성진단(TEA)을 활용해 복수의 팀을 팀코칭한 결과를 공유해 주셨습니다. 그 분은 효과성 코칭과 진단 툴을 애정해 주시죠. 그 분의 코칭과 HR 전문성 덕에 팀효과성진단도 유익하게 활용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제 조직효과성진단(OEA)을 통해 통합적 코칭을 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준비하시는데요. 그 결과 또한 벌써 기대됩니다. 고객이 진단기반의 코칭으로 감동받는 그 순간을 선물로 누립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mewemind.com
지난 2002년 코칭을 시작한 후 2010년 11월 1일 코치올(Coachall, www.coachall.com)을 세우고 이제 만으로 11년이 지나네요. 2011년 초 홈페이지를 만들고 CI를 소개했던 자료를 보니 마음이 찡합니다. 당시 닉네임이 강점코치, 지금은 코치의 미래 역할을 반영한 생각 파트너입니다. 그간 코치올에 깊은 관심과 사랑, 응원을 보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를 전합니다. 덕분에 효과성 코칭과 방법론을 만들고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팀효과성진단(TEA), 조직효과성진단(OEA)을 통해 개인과 팀, 조직의 효과성을 연계하는 통합적 코칭을 전개해 볼 수 있었습니다. 지금은 '코칭은 과학으로 다듬은 예술이다'는 신념으로 코칭심리학과 코칭방법론, 증거기반코칭에 대한 생각나눔과 교학상장을..
과거의 눈으로 현재와 미래를 보지 않고, 미래의 눈으로 현재와 미래를 봅니다. 코치올의 효과성 진단시스템은 내년 상반기에 지원이 중단되는 MS의 익스플로러11에 대응해 구글의 크롬과 MS의 엣지, 애플의 사파리 웹 브라우저에서 작동하도록 업그레이드를 마쳤습니다. 진단시스템의 호환성과 기능성, 보안성과 이용자 편의성을 향상시켰습니다. 앞으로 구글 크롬을 기본 브라우저로 사용합니다. 코칭도 마찬가지입니다. 과거의 관점을 과감히 털어내고 새로운 관점에서 현재의 코칭을 봅니다. 그 관점은 바로 미래입니다. “당신에게 미래란 무엇입니까? 구체적으로 미래의 관점이란 무엇입니까? 그것은 현재에 어떤 변화를 요청합니까?”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mewemind.com
나이가 들수록 현실 지각이 면밀하고 명료하죠. 이렇다 보니 과거와 미래보다 현실이 갖는 정보를 깊게 지각하고 공감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의미를 부여한 정보가 풍부하죠. 살고 보니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때로는 치열함에 치이기도 합니다. 생각의 프레임이 지금 이 순간에 토대를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거와 미래에 대한 생각도 현실의 관점에서 의미를 부여하고 재해석하죠. 나이를 먹을수록 지금의 삶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mewemind.com
효과성코칭을 개발하면서 코칭은 더 나은 성장을 하도록 코칭대상자를 돕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이석재, 2014). 삶은 더 나은 성장을 만들어가는 과정의 연속입니다. 사람은 생래적으로 더 나은 성장, 더 나은 삶을 만드는 동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더 나은 삶을 만드는 과정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성을 추구합니다.' 효과성이란 원하는 결과를 이루는 정도입니다. 효과성 추구는 바로 더 나은 성장과 삶을 만드는 실행전략입니다. 코치의 역할은 코칭대상자가 더 나은 성장을 만드는 포밍(FORMing)을 돕는 것입니다. 코칭대상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도록 FORM 프로세스를 전개하죠. 이러한 코치의 활동은 구조화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FORM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 FORM은 노력의 결과인 형태를..
지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CTI의 코액티브코칭 기본과정과 CPCC 자격과정, 외국인으로부터 10개월간 멘토코칭을 받기, 3명의 코치로부터 수퍼비전을 받기, ICF PCC 자격 취득, 팀코칭 전문가 과정을 이수할 때 사용한 장비입니다. 전화 회선을 장비의 뒷면에 연결해서 국제 전화를 했었지요. 국내에서 전화코칭을 할 때에도 사용했습니다. 그 이후 스카이프, 지금은 줌 등을 이용하지만 말이죠. 지난 추억이 담긴 장비,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추억을 담은 기록 사진으로만 남겨둡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어제저녁 '코칭심리학 공부방'에서는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을 주제로 생각나눔과 교학상장을 했습니다. 코치는 코칭대상자로 하여금 코칭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기 위해 코칭대상자의 생각과 느낌을 토대로 다양한 질문을 하죠. 이때 코치는 코칭대상자의 코칭 이슈에 대해 적합한 질문을 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개발합니다. 또 아이디어를 구성하는 주요 개념들의 논리적 관계를 탄탄하게 가져갑니다. 달리 말하면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합니다. 이 가설을 검증하는 방식의 코칭이 증거기반코칭이죠. 물론 코칭을 전개할 때 코치는 증거기반을 갖춘 이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론에 기초한 코칭도 증거기반코칭입니다. 다만 이론은 검증된 것이지만, 그 이론을 사용하는 코치의 전문적 활동이 검증된 것은 아니죠. 그 이론에 대한 수..
이것 저것 생각하다가 문득 ‘코칭이 상담이나 심리치료의 영역과 다른 것이 아니라, 시대적 변화에 따라 나타난 두 전문 영역의 ‘다음 단계’를 보여주는 전조는 아닐까?’라고 생각했지요. 그래서 코칭의 차별성이 무엇이냐는 정체성 질문은 더 이상 하지않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코칭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궁금증은 여전히 살아있지요. ‘코칭심리학 공부방’의 역할에 가치를 더 부가한 아침입니다. 더 깊고 체계적으로, 현장코칭과 연계성을 더 높이도록 진행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10월 1일, 오늘부터 책 쓰기를 시작해서 12월 말까지는 가능하면 초고를 만들어 봐야겠네요. 큰 틀에서 내용이 잡히면, 읽기 쉬운 책으로 내년 상반기까지는 가시적인 결과물이 나오도록 일정과 건강 관리를 해야겠네요. 무리하지 말고 실속 있게! 두고 봅시다. 내년에는 뭐가 나올지... 책 쓰기는 여성의 출산에 비유되기도 하죠. 출산을 경험하고 나면 '이번이 마지막이다'라고 선언하기도 합니다. 책을 쓰는 과정도 쉬운 일이 아니다 보니, 출간 후유증으로 다시 쓰고 싶은 마음은 털끝 만큼도 없지요. 출간에 대한 모든 기억이 희미해질 즈음 다시 글을 쓰고 싶은 속마음이 스멀스멀 올라옵니다. 지금이 바로 그 순간입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1. 오늘은 K코치님의 성공적인 코칭 경험을 토대로 그분의 코칭 프레임워크 coaching framework 초안을 잡는 멘토코칭을 진행했습니다. 또 이를 토대로 향후 코칭 비즈니스를 전개할 수 있는 방안과 세부적인 코칭 프로그램의 구상에 대해서도 귀한 의견을 나눴습니다. 열정적인 그분의 성장과 도약을 응원합니다. 2. 궁금한 점을 끈질기게 찾아서 알아보는 재미, 10월에 느끼는 첫 맛이네요. 널리 알려진 GROW 모델이라도 개발자의 글을 읽으면 그의 세상보기를 알 수 있습니다. 가능한 한 원저자 또는 개발자의 초기 글을 읽으려는 것은 ‘생각의 발원’을 이해하고, 내 생각을 창의적으로 개발하는 참고자료로 사용하기 위함이죠.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