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원하는 결과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효과성코칭워크숍
- 코치올
- thinking partner
- 코칭심리학 공부방
- 팀효과성진단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효과성코칭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증거기반코칭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결정적 행동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 코칭
- 코칭 프레임워크
- 조직코칭
- 이석재 코치
- 씽킹 파트너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조직효과성진단
- 코칭방법론
- 코칭심리학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생각 파트너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심리학 시리즈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04)
코치올

(이석재, 2014)을 통해 '개인, 팀과 조직의 통합적 코칭이 새로운 길이다'라고 처음 제안하며 코칭사례를 제시했습니다. 작년에 통합적 코칭을 실천하는 코치와 코칭펌이 가시적으로 나타났죠. 또 앞으로 10년을 내다보며 증거기반으로 통합적 코칭을 실천하는 생각 파트너의 역할과 전략을 (이석재, 2024)에 담았습니다. 코치(coach)의 미래 모습은 생각 파트너(thinking partner)입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

첨부한 PPT 이미지 한 장을 만드는 데 23년이 걸렸습니다. 지금부터 할 것은 독특하고 장의적인 관점에서 즐기면서 큰 판을 짜려고 합니다. Big Picture Thinking을 하면서 코칭 현장을 다시 봅니다. 책의 차례에 넣을 것과 뺄 것을 반복해서 숙고하고 선별합니다. 총 3부 10장(총 370쪽 예상, 현재 230쪽 정도 초안 작성)의 범위 내에서 책쓰기를 완성하려고 하죠. -생각 파트너 이석재

생각 파트너의 마지막 출판은 코칭학 입문서였습니다. 코칭 탐구와 실행의 종착역이죠. 이것이 가능할까요? Big picture thinking을 통해 '효과성 코칭의 이론과 실제'를 포함한 최종 글쓰기를 할 수 있을까요? 이미지의 왼쪽은 연역법, 오른쪽은 귀납법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

1. 코칭이란 무엇인가? 이에 대한 답은 연역적 접근과 귀납적 접근으로 찾을 수 있죠. 연역적 접근은 여러 전문분야에서 검증된 이론에 함몰하기 쉽습니다. 기존 이론에 코칭을 붙이면 되죠. 그러나 이러한 편의성에 묶이면 코칭의 본질을 놓치기 쉽습니다. 2. 귀납적 접근은 코칭 현장에서 수집하는 각종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면서 답을 찾습니다. 상담과 심리치료에서 ‘해결중심 단기치료/상담‘이 대표적이죠. 답을 찾기 어렵지만 창의적이며 본질에 다가갈 수 있습니다. 코칭처럼 신규 전문 영역은 귀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코칭 현장에 답이 있다‘는 관점을 취해야죠.3. (이석재, 2023)은 기존의 코칭심리학을 코칭 시각에서 탐구한 것이죠. 생각 파트너의 (이석재, 2014)부터 최근 출간한 (이석..

1. 독자는 Part 1에 소개한 리더십 효과성 모델을 기초로 개발된 3가지 핵심 역량군(인지역량, 대인관계역량, 전략적 관리역량)에 속하는 총 18가지 리더십 역량에 대한 자기 진단(본문에 포함)을 먼저 합니다. 여기서 핵심 역량이란, 리더십의 효과성을 높이는 영향 요인을 말합니다. 독자는 애자일, 경영 목표와 목적 등 다양한 요인을 추가로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2. 이어서 진단 결과를 토대로 리더십 개발을 위한 Plan-Do-See(계획, 실행,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생각 파트너는 증거기반 코칭 방법론에 따라서 ‘변화 요구 파악-변화 목표 설정-행동 변화 코칭-효과성 코칭 평가‘를 코칭 설계의 기본으로 활용합니다.3. 특히 Part 2에 소개한 18가지 역량 별 ‘종합 개발 가이드’를 참고..

코칭 1세대로 23년의 코칭 경험과 지식을 공유합니다.1. 리더십 진단기반의 코칭을 하고 싶다. 리더십 진단을 기초로 Plan-Do-See 하는 전체 과정을 이해하도록 돕는 '한 권으로 읽는 안내서'가 있을까?2. 상담사로 조직 리더를 코칭하고 있다. 이제는 상담과 코칭의 성과도 평가해야 한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3. 현재 조직 리더이다. 함께 일하는 구성원들의 리더십(특히 승진 후보자,핵심인재, 주요 업무 담당자, 능력은 있는데 성과가 낮은 직원)을 코칭하고 싶다. 또 그들이 객관적으로 자기 자신의 리더십을 진단하고 스스로 자기 계발과 역할 확대를 하도록 돕고 싶다. 리더십 코칭에 초점을 둔 종합 안내서가 있을까?4. 조만간 퇴직을 준비 중이다. 지금까지 경험한 현장 리더십과 직무 경험을 삶의..

1. Big picture thinking을 통해 먼저 자신의 코칭 논리와 논리 검증을 위한 청사진을 그린다.2. 코칭 논리의 핵심 개념과 작동 원리를 주제로 한 현장 실무 내용을 책으로 출간한다. 독자가 한 권으로 전체 논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집필한다.3. 다음 출간은 첫 책의 각론을 다룬다. 각론에 포함된 핵심 개념과 코칭 사례를 통해 그 개념이 코칭 현장에서 실행되는 모습을 ‘증거기반 코칭’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출간을 모든 핵심 개념별로 집필해서 출간한다.4. 마지막으로 자신의 코칭 논리와 현장 코칭 사례, 증거기반 예시를 한 권에 묶는다. 첫 책의 개정판이며 코치로서의 정체성이다. 5. 큰 틀이 없는 책쓰기와 출간은 자신의 코칭 전문성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지않는다는 점을 기억한다.6. 자신의 ..

교보문고 자기계발 주간베스트, 감사합니다. 최근 250위에서 좀 내려갔지만 그래도 계속 관심과 좋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2월 북토크를 22일 저녁에 합니다. ^^ '뉴스-공지사항'에 있는 안내를 참고바랍니다.-생각 파트너 이석재

1. 기존의 여러 AI 모델이나 중국의 DeepSeek 모델을 봐도 역시 인간의 고유함을 뛰어넘지는 못한다고 믿어요. 여기서 인간의 고유함이란 생각(thinking)이죠. 코칭 고객이 삶에서 직면하는 문제에 대한 답을 스스로 찾도록 돕는 활동은 AI보다 ‘생각 전문가’의 몫이죠.2. 지금은 그를 코치(Coach)라고 부르죠. 나는 코치의 미래 역할이 생각 파트너(Thinking Partner)라고 믿죠. 그래서 ‘씽킹 파트너‘란 책을 출간했습니다. 삶의 여러 주제 중에 먼저 리더십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생각 파트너는 리더를 위한 리더십 코칭을 어떻게 전개할까요?-생각 파트너 이석재

1. 매월 진행하는 북토크에서 '코칭의 미래를 위해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에 대한 제안을 합니다. 코칭은 비즈니스이면서 연구(탐구) 활동의 대상입니다. 2. 현장에서 활동하는 코칭 관련 전문가는 후자에 대한 활동이 학술 영역이라고 배제하기보다 관심 있는 분들과 코칭 경험을 공유하고 토론을 통해 '코칭의 학문적 기반'을 만들어 보시면 좋겠습니다. 3. 이를 위해 매월 북토크의 주제를 수정 보완하고 현안으로 떠오르는 HR 주제와 과제를 함께 탐구합니다.-생각 파트너 이석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