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팀효과성진단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증거기반코칭
- 코치올
- 조직코칭
- 효과성 코칭
- 자기인식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조직효과성진단
- 개인코칭
- 코칭심리학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코칭심리학 워크북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코칭방법론
- 효과성코칭
- 원하는 결과
- 증거기반 코칭사례분석
- 효과성코칭워크숍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이석재 코치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생각파트너 이석재
- 생각 파트너
-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 Today
- Total
목록조직코칭 (11)
코치올

조직코칭을 할 때 360도 다면진단을 하는 주된 이유는 조직맥락에서 코칭대상자의 역할 수행과 영향에 내재하는 사회심리학적 역동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단적으로 말해 그 역동을 끌어내지 못하면 애써 진단할 필요는 없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coachall.tistory.com/770

이번 변화관리코칭을 중요하게 보는 이유는 3가지 정렬 확립을 코칭 현장에서 풀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시스템적이며 통합적 접근을 토대로 진단기반의 효과성 코칭을 했지요. 그 과정에서 3가지 정렬 중에 일부를 다루었습니다. 이번에는 역할측면에서 CEO-조직 리더-구성원을 연계하는 리더십 정렬을 다루면서 사업과제 정렬과 심리적 정렬 관련 이슈를 함께 다루려고 합니다. CEO코칭과 조직리더 전체를 코칭하고 CEO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결과가 기대됩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 코칭 소개 1. 효과성 코칭은 이석재 박사(2014)가 개발한 효과성 코칭 방법론에 대한 학습과정입니다. 2015년 1월에 첫 과정을 개설하였으며, 동년 8월에과 으로 개편했습니다. 2018년 7월 9일에 국제코칭연맹(ICF)으로부터 코치역량강화 프로그램(효과성코칭워크숍, CCE 30시간)으로 첫 인증을 받았습니다. 이후 매년 갱신했으며 2020년 9월 30일까지 인증이 유효합니다. 그러나 3차 갱신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2. 효과성코칭은 기존의 개인코칭을 기초로 조직코칭의 핵심을 도출해 만든 통합본입니다. - 효과성코칭의 철학과 접근, 방법을 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A to Z를 상세히 소개 - 효과성 코칭 모델과 효과성 코칭 방법론을 토대로 시스템적 코칭을 전개 - 리더의 리더십..

2015년부터 생각 파트너의 '효과성 코칭'에 대한 학습과정으로 '효과성 코칭 워크숍(개인코칭, 조직코칭)'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에는 효과성 코칭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이론적이며 실제적인 기초가 되었던 내용을 공부하는 방을 개설했습니다. 코칭심리학의 주요 이론을 학습하고 나만의 코칭 프레임워크를 개발해 보는 '코칭심리학 공부방', 이론의 실천을 학습하는 사례로서 생각 파트너의 '효과성 코칭 워크숍', 이에 대한 현장 중심의 실천사례를 공부하는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입니다. 특히 증거기반코칭을 실천한 사례를 선별하였습니다. 모든 공부방에서는 주교재인 '워크북'workbook을 활용하여 생각나눔과 교학상장하도록 진행합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공부방에서 한 참가자 분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주셨어요. 중요한 질문이라서 익명으로 공유합니다. ‘역할 수행을 잘하기 위해서 자기다움에 근거해서 독특하게 수행하는 방식도 있지 않을까?’; ‘팀장으로서 챙겨야할 5가지 역량을 꼭 다 잘 수행해야만 팀장으로서의 역할을 잘 할 수 있을까?’; ‘효과적인 팀장역할 수행’에 있어 중요한 측면이라는 것은 알지만, 이 내용적 프레임에 묶여 자기다움을 잃으며 오히려 성과가 낮아지는 경우도 있지 않을까?’ 물론 Highly effective people이 되려면 7habits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알겠는데, 그러한 내용적 프레임이 (좀 과장되게 말하면) 뭔가 틀에 끼워 사람을 만들어 내는 느낌도 들어 혼돈스럽습니다. 이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