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원하는 결과
- 코칭 프레임워크
- 조직효과성진단
- 효과성 코칭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이석재 코치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결정적 행동
- 코칭심리학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씽킹 파트너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증거기반코칭
- 효과성코칭
- 생각 파트너
- 코칭심리학 시리즈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조직코칭
- 코칭방법론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팀효과성진단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thinking partner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효과성코칭워크숍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코치올
- Today
- Total
목록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31)
코치올

(이석재, 2014)을 통해 '개인, 팀과 조직의 통합적 코칭이 새로운 길이다'라고 처음 제안하며 코칭사례를 제시했습니다. 작년에 통합적 코칭을 실천하는 코치와 코칭펌이 가시적으로 나타났죠. 또 앞으로 10년을 내다보며 증거기반으로 통합적 코칭을 실천하는 생각 파트너의 역할과 전략을 (이석재, 2024)에 담았습니다. 코치(coach)의 미래 모습은 생각 파트너(thinking partner)입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

1. 코칭이란 무엇인가? 이에 대한 답은 연역적 접근과 귀납적 접근으로 찾을 수 있죠. 연역적 접근은 여러 전문분야에서 검증된 이론에 함몰하기 쉽습니다. 기존 이론에 코칭을 붙이면 되죠. 그러나 이러한 편의성에 묶이면 코칭의 본질을 놓치기 쉽습니다. 2. 귀납적 접근은 코칭 현장에서 수집하는 각종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면서 답을 찾습니다. 상담과 심리치료에서 ‘해결중심 단기치료/상담‘이 대표적이죠. 답을 찾기 어렵지만 창의적이며 본질에 다가갈 수 있습니다. 코칭처럼 신규 전문 영역은 귀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코칭 현장에 답이 있다‘는 관점을 취해야죠.3. (이석재, 2023)은 기존의 코칭심리학을 코칭 시각에서 탐구한 것이죠. 생각 파트너의 (이석재, 2014)부터 최근 출간한 (이석..

1. 지난 2014년 생각 파트너가 2002년 이후 수행한 개인코칭, 그룹코칭, 팀코칭, 전사코칭(조직코칭), 통합적 코칭사례와 효과성 코칭 방법론을 묶어서 책으로 출간했습니다. 2020년에는 ICF의 30시간 CCE인증을 받은 ‘효과성 코칭 워크숍’의 주요 내용을 으로 출간했죠. 2024년에는 효과성 코칭의 개정판에 해당하는 을 출간했습니다. 2. 세 권의 공통점은 ’개인, 팀과 조직의 통합적 코칭이 새로운 길이다’라는 제안을 한 것입니다. 앞으로 10년 코칭계에 새 바람이 분다면, 그것은 바로 ‘통합적 코칭’입니다. 미리 준비하시길요.-생각 파트너 이석재

1. 코칭 관련 단독 저술과 공동 변역서를 출간할 때 만난 한 편집자는 글을 촘촘하게 쓴다고 피드백을 했다. 내가 봐도 3권 이상의 책이 한 권에 담겼다. 최근까지 책을 쓴 기본 동기는 ‘효과성 코칭의 이론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정립하는 것이다. 물론 책마다 나름의 컨셉과 동기가 있었지만 큰 틀에서 말이다. 2. “코칭이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를 질문했다. 새 책을 쓸 때, 또 코칭의 현재와 미래를 생각할 때마다 던진 질문이다. 최근 그 답을 얻었다. 원고가 완성된 한 권 이외에 동시에 집필하던 3권의 책을 모두 중단했다. 완성 원고는 나의 요구를 채워 줄 출판사를 찾아 편집을 의뢰했다. 3. The next level beyond coaching 시리즈>는 생각 파트너가 가고 싶은 새로운 길이..

앞으로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은 학문적 기반으로서 ‘코칭학’을 정립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 코칭 방법론과 증거기반 코칭이 필요하죠. 또 코칭 역량이나 기술에 기초한 코칭학도 필요하고 ‘코칭이란 무엇인가‘라는 개념을 탐구하고 실천하는 학문적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죠. ’코칭의 본질‘은 무엇인가에 시선을 둘 때 코칭학은 전문 분야의 융합일 수도 있고 독특한 독립 학문일 수도 있겠죠. 지금까지 축적된 결과물을 토대로 코칭의 본질을 다시 묻는 것이 시작이라고 생각합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

1. 생각 파트너가 코칭에 입문하고 5년이 지난 어느 날 한 외국인 코치로부터 코칭 비즈니스를 창출한 비법을 들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개발한 코칭방법론을 상세하게 소개하는 코칭 책을 출간하며 이렇게 소망했죠. 단 한 명의 기업 고객이라도 내 방법론을 믿고 코칭을 의뢰한다면 출간은 성공한 것이며 본격적으로 코칭 비즈니스를 하는 시작이다.2. 그의 말을 듣고 생각 파트너는 10년 동안 축적한 코칭지식과 효과성 코칭방법론, 현장의 코칭사례와 코칭기술을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이석재, 2014) 에 담아 출간했습니다. 지난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전개한 세 가지가 효과성 코칭의 차별적 경쟁력이었죠. (1) 진단기반으로 개인-팀-조직 효과성을 연계하는 시스템적이며 통합적인 코칭을 전개하는 것, (2..

1. 생각 파트너가 효과성 코칭이론을 기반으로 코칭 비즈니스와 학술적인 탐구 활동을 하면서 목적 중심의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실천하기로 했습니다. 효과성 코칭이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증거기반 코칭을 전개할 때 주로 개인적 활동을 많이 했습니다. 고객사로부터 개인적인 의뢰를 하기도 했지만, 과연 효과성 코칭이론이 작동하는 지를 검증하고 싶었지요. 이 활동은 다른 코치와 협업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코칭을 전개하고 일정한 지식과 경험을 축적하면 책을 출간해 코칭 산업에서 활동하는 분들과 공유하고자 했습니다. 2. 생각 파트너의 삶의 가치인 '생각나눔과 교학상장'을 실천하는 대표적인 활동이 책을 쓰고 출간하는 것이었습니다. 또 대학과 대학원생에게 코칭심리학, 코칭이론, 코칭방법론 등..

1. 심리학 전공, 코칭과 HR 컨설팅, 진단 전문가, 기업 교육, 대학과 대학원 강의를 복합적으로 할 때였죠. 책을 쓰고 싶은 데 어떻게 써야 할까? 우연히 미국에서 진단을 제외하고 거의 동일한 전문성을 갖고 활동하는 인물을 만났죠. 그의 워크숍에 참가했고 그가 집필한 모든 책을 읽었습니다. 그리고 그가 처음 비즈니스를 시작할 수 있었던 삶의 이야기를 들었죠. 2. 당시 생각 파트너는 ‘진단기반의 컨설팅적 코칭(assessment-based consultative coaching)’을 하는 논리와 방법론을 개발하고 활동을 시작할 때입니다. 그의 책을 읽으면서 무릎을 쳤죠. 생각 파트너의 접근과 너무나 유사했습니다. 당시 국내에는 소수의 코치가 있었고 코치는 코칭만 해야 한다고 입장이 지배적이었습니다. ..

1. 지난 2014년에 출간한 은 2002년 코칭에 입문하며 코칭 현상에 내재하는 원리를 탐구한 효과성 코칭을 처음으로 소개한 책입니다. 효과성 코칭의 이론과 실제이제. 이후 2019년에 그동안 전개한 코칭을 방법론의 관점에서 집필하여 책으로 발간했습니다. 코칭방법론에 기초해 코칭을 전개하고 증거기반 코칭을 하는 사례를 제공했습니다. 2. 생각 파트너가 두 책에서 공통적으로 제안한 점은 '개인, 팀과 조직의 통합적 코칭이 새로운 길이다!'라는 것입니다. 지금은 소수이지만 몇몇 코칭펌이나 전문코치가 이러한 시도를 하는 것을 보면서 제안하길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국내 코칭시장이 그만큼 성장했기 때문일 것입니다.-생각 파트너 이석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