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이석재 코치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코칭심리학 워크북
- 조직효과성진단
- 자기인식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효과적 리더십진단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원하는 결과
- 팀효과성진단
- 코치올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증거기반 코칭사례분석
- 개인코칭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생각파트너 이석재
- 조직코칭
-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 생각 파트너
- 효과성코칭워크숍
- 효과성코칭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코칭방법론
- 효과성 코칭 모델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효과성 코칭
- 증거기반코칭
- 코칭심리학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Today
- 53
- Total
- 168,798
목록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11)
코치올

1. 한 고객사의 전문상담사를 대상으로 한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과정을 마쳤네요. 피드백을 듣고 이 과정을 운영하길 잘 했다고 생각했습니다. 증거기반코칭도 고객사 맞춤형으로 진행하기로 해서 그때의 만남이 기대되네요. 또 만나요 ^^ 2. 지난 2014년에 출간한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은 귀납적 접근을 한 결과물이죠. 이제 연역적 접근으로 쓰고 있는 코칭 책을 출간하면 일단 꼭 해보고 싶은 것은 마무리하는 것이죠. 좀 남았지만… -코치올 생각 파트너 https://thinkingpartner.co.kr

지난 2009년에 '팀효과성진단(TEA)', 2011년에 '조직효과성진단(OEA)'을 개발했습니다.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코칭은 주로 개인코칭이었지요. 진단은 '효과적 리더십진단(ELA)'을 개발해서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운명처럼 한 고객사를 만나죠. 코칭은 약 8년간 지속되었습니다. 장기간 코칭하면서 얻는 가장 큰 이점은 바로 코칭의 영향력을 체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팀장을 코칭하면서 그의 리더십이 팀과 팀원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죠. 사업부장을 코칭하면서 그의 리더십이 사업부, 소속 팀과 개인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습니다. 어떤 고객사에는 사업부장과 소속 팀장들을 함께 코칭했습니다. 이를 통해 리더 개인의 변화가 그가 책임 맡는 조직 단위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조직개발 주제와..

지난 2006년 한 외국인 코치로부터 포커싱 기법을 소개받았지요. 그는 이 기법의 이름을 모르지만(알려주지 않았지만) 기법 자체는 아주 흥미로왔습니다. 그 기법의 이름과 정확한 프로세스를 찾기 시작했지요. 이러한 배경에서 알게 된 것이 Gendlin이 개발한 Focusing입니다. 그가 1978년 첫 출간한 책의 표지에 있듯이 자기주도적 학습과 연습을 통해 활용 가능한 self-managed therapy 기법입니다. 물론 훈련된 전문가의 교육을 받아도 좋지만, 책을 통해 6단계 기법을 훈련할 수 있습니다. 감정이 격하게 일 때 그 감정을 읽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기법입니다. 감정관리가 어려운 팀장과 임원을 코칭할 때 적용해 보았죠. 피드백이 좋았습니다. 전화코칭을 했을 때도 코칭대상자가 ..

전문분야에서 어느 경지에 이른 분들은 대개 사상서, 철학서를 쓰는군요. 인본주의 심리학의 대표 주자인 칼 로저스도 관련 서적을 출간했습니다. 왼편 책은 1961년 오른편 책은 1980년에 출간했습니다. 효과성 코칭을 개발하면서 doing과 being의 개념에 푹 빠져있을 때, 로저스의 두 책을 읽었습니다. 이때 person과 being을 구분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2014년에 출간한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의 에필로그에 그 내용을 반영했지요. 상담과 심리치료가 지향하는 존재방식(way of being)은 경험과학의 영역을 넘어서 존재론적 탐구의 주제일 수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저명한 상담이나 심리치료 전문가들이 경험과학적인 활동을 하면서 way of being을 실현시키려고 하지만, 학술논문이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