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증거기반코칭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생각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증거기반 코칭사례분석
- 팀효과성진단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심리학
- 원하는 결과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이석재 코치
- 효과성코칭워크숍
- 자기인식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코칭방법론
- 효과성 코칭
- 조직코칭
- 코치올
- 코칭심리학 워크북
- 생각 파트너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효과성코칭
- 개인코칭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조직효과성진단
-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 효과적 리더십진단
- Today
- Total
목록코칭심리학 공부방 (29)
코치올

지난 2015년 개인-팀-조직의 효과성을 진단하고 연계하여 시스템적이며 통합적 접근을 취하는 효과성 코칭 워크숍(개인코칭, 조직코칭)을 개설했습니다. 그 이후 2022년 현재까지 3개의 공부방(이론-방법론-실증)을 추가했습니다. 모두 생각나눔과 교학상장을 실천하기 위한 것이죠. 또 전문코치로 활동하는 분들이 ‘나만의 코칭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코칭 고객에게 더 체계화되고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길 바랍니다. 덤으로 코치의 차별적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코칭학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s://mewemind.com/26

코칭은 아직 코칭이론을 가지고 있지 못하죠. 코칭이론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면 주로 인접 학문에서 개발된 이론을 토대로 코칭을 보는 수준입니다. 이러한 연역적 접근으로는 코칭의 고유한 차별성을 찾아내기 어렵지요. 코칭이 전문성을 키우려면 코칭이 일어나고 있는 코칭 현장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 귀납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죠. 코칭심리학은 코칭을 보는 '논리 틀'에 대한 정보를 줍니다. 코칭심리학을 공부하는 이유이기도 하죠. 상담이론이나 심리치료와 관련된 이론이 아닌 다른 심리학적 접근과 이론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죠. 예를 들면 발달심리, 조직심리, 학습심리, 사회심리, 문화심리, 인지심리, 지각심리 등이죠. 상담이론이나 심리치료이론의 틀에 묶이지 말아야 합니다. 그 분야의 이론을 바..

2월 18일(금)과 19일(토), 9:00~17:30 코칭심리학 공부방을 진행합니다. 다음과 같이 생각하십니까? ‘코칭을 하면 할수록 어렵다’, 오랫동안 했지만, 지나고 보니 무엇을 했는지 모르겠다', ‘코칭고객 마다 코칭 이슈가 달라 대응하기 어렵다’, ‘코칭이론을 알아야 하나?’, ‘체계적으로 코칭을 공부하고 싶다.’ 코칭심리학을 통해 나만의 코칭프레임워크를 만들기 위한 질문을 자신에게 던져 봅니다. 코칭이란 무엇인가? 나는 어떤 코칭을 전개하는가? 성공적인 코칭의 작동원리는 무엇인가? 그 원리가 내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내가 경험한 통찰은 무엇인가? 코칭심리학은 내게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 통찰과 시사점을 종합해 볼 때 나는 어떤 코칭을 하는 전문가인가? 그 논리 틀은 무엇인가? 생각과 코칭 ..

책을 사는 주된 동기 중에 하나는 '저자가 책에 소개한 생각을 처음 한 계기가 뭘까?'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죠. Knowles(1913-1997)는 성인교육이 불모지였을 때 성인교육학(성인교육론, Andragogy)을 처음 개척한 인물이죠. 첫 판부터 사용한 부제가 재미있습니다. A neglected species... 지난 2012년 정부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그의 책을 구입했지요. 첫 판이 1973년 2월에 출간되었고, 3판은 1984년, 7판은 2012년, 2020년에 9판이 있습니다. 이 책은 4판(1990)까지 Knowles 단독 저자로 출간되고 5판(1998)부터 Holtwon과 Swanson이 기존 책을 업데이트하면서 에디터 자격으로 저자에 포함되는군요. 9판에는 Robinson이 또 포함..

어제저녁 '코칭심리학 공부방'에서는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을 주제로 생각나눔과 교학상장을 했습니다. 코치는 코칭대상자로 하여금 코칭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기 위해 코칭대상자의 생각과 느낌을 토대로 다양한 질문을 하죠. 이때 코치는 코칭대상자의 코칭 이슈에 대해 적합한 질문을 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개발합니다. 또 아이디어를 구성하는 주요 개념들의 논리적 관계를 탄탄하게 가져갑니다. 달리 말하면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합니다. 이 가설을 검증하는 방식의 코칭이 증거기반코칭이죠. 물론 코칭을 전개할 때 코치는 증거기반을 갖춘 이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론에 기초한 코칭도 증거기반코칭입니다. 다만 이론은 검증된 것이지만, 그 이론을 사용하는 코치의 전문적 활동이 검증된 것은 아니죠. 그 이론에 대한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