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코칭심리학
- 코치올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결정적 행동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코칭심리학 공부방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코칭 프레임워크
- 코칭심리학 시리즈
- 효과성코칭워크숍
- 씽킹 파트너
- 관점 전환
- 효과성코칭
- thinking partner
- 증거기반코칭
- 코칭방법론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효과성 코칭
- 효과성 코칭 모델
- 효과성 프레임워크
- 팀효과성진단
- 생각 파트너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조직코칭
- 원하는 결과
- Today
- Total
목록증거기반코칭 (49)
코치올

지난 2002년 코칭에 입문해 2025년 현재까지 누린 삶을 한 장으로 요약했습니다. 세월의 흐름과 더불어 수정하고 보완을 반복한 결과네요.-생각 파트너 이석재, 명일동 연구실에서I've summarized my achievements from the beginning of coaching in 2002 to the present, as of 2025, in one page. It's the result of repeated revisions and improvements over time. - Sukjae Lee, Thinking Partner

드디어 다음 달(9월)이면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시리즈'를 완성합니다. 1차 완성이죠. 여력이 되면 더 많은 핵심 주제에 대한 책을 쓰고 싶습니다. 컴퓨터 파일에 있는 주제를 책으로 말이죠.왜 코칭심리학을 공부하나?코칭 이론의 약 85%가 심리학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코칭 심리학에 대한 이해는 코치의 논리적 기초가 됩니다. 코칭이론을 개발하려면 귀납법적 접근과 질적연구가 중요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에게 시리즈를 학습 도서로 강추합니다.1. 현장중심 코칭심리학(2023)2.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2024)3. 씽킹 파트너(2024)4. 관점 전환(2025. 9월 출간 확정)-생각 파트너 이석재

코칭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과정을 다닌다면 이 책은 필독서이다. 코칭이 학문으로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코칭 현상을 설명하는 검증된 논리가 있어야 한다. “도대체 코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이에 대한 논리와 그 논리를 검증하지 않고 코칭을 한다면 다음 질문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C1: 저는 기존의 K 이론을 토대로 코칭을 하는데요.C2: 그 K 이론은 ‘코칭 맥락’에서도 적용 가능한가요? 검증하셨나요?-생각 파트너 이석재

심리학 기반의 코칭 프레임워크는 무엇일까요?지금 우리가 주목할 코칭 프레임워크는 코칭 관련 핵심적인 12가지 심리이론을 분석해 도출한 입니다(이석재, 2023). 이에 대한 학습을 원하시는 분은 다음 코칭 심리학 시리즈를 참고바랍니다. 1. 현장중심 코칭심리학(2023)2.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코칭심리학 수업(2024)3. 씽킹 파트너(2024)4. 관점 전환(2025. 9월 출간 확정)-생각 파트너 이석재

1. 하나의 코칭 프로젝트를 하더라도 코칭방법론에 기초한 증거기반 코칭으로 설계하고 진행하는 노력이 필요하죠. 기존 코칭이 ‘코칭학’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말이죠. 현장에서 증거기반 코칭을 통해 검증한 코칭 논리(가설 검증)의 축적은 코칭학과 코칭 산업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2. 학술 측면에서 볼 때 코칭에 AI 도입과 활용보다 우선할 것은 바로 코칭 현장에서 증거기반 코칭을 실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비즈니스 면에서는 AI 도입과 활용이 현안이죠. -생각 파트너 이석재 thinkingpartner.co.kr

1. 내게 2024년은 ‘통합 코칭이 새로운 길이다’를 주창한지 10년입니다. 그래서 나름의 기념을 하고 싶었습니다. 이번 달 중순쯤에 출간하는 는 내게 준 선물입니다. 지난 2014년 통합 코칭의 현장 사례를 담아서 을 출간했습니다. 그 후 (2020), (2024)를 통해 계속 코칭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2. 지난 2002년 코칭에 입문한 후 통합 코칭의 시작은 효과적 리더십진단(ELA)을 기반으로 한 리더십 코칭(이석재, 2006)이었습니다. 그래서 한 권으로 읽는 ‘리더십 코칭-> 통합 코칭-> The Next Level beyond Coaching으로 가는 길‘을 담은 책이 필요했습니다. 바로 ‘씽킹 파트너’입니다.3. 앞으로 코칭학에 대한 집착을 넘어 코칭방법론과 증거기반으로 융합과 통합,..

* 코칭방법론이란 무엇일까? 코칭방법론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를 알고 싶다. 어떤 책이 있을까?* 내가 하는 코칭은 방법론의 기본 틀을 갖추고 하는 것일까? 나에게 도움 되는 책이 있을까?* 증거기반 코칭을 전개하고 싶다. 국내 코칭 환경에서 전개된 개인, 팀, 조직코칭(사업부, 전사코칭) 사례를 상세하게 소개한 책이 있을까?* 전문코치로 활동하면서 개인코칭, 팀코칭, 조직코칭을 별도로 진행했다. 이들 세 차원의 코칭을 연계시키는 통합코칭을 하고 싶다. 이를 통해 개인개발(individual development)와 조직개발(organizational development)를 함께 진행하고 싶은 데 도움되는 책이 있을까?코칭 1세대로 22년의 코칭 경험과 지식을 공유합니다(코칭방법론, 이석재, 202..

작년과 올해 아래 이미지에 있는 두 권의 책을 출간하길 정말 잘했네요. 추석 연휴 동안 틈틈이 을 완독했습니다. 효과성 코칭의 이론적 배경, 효과성 코칭 모델과 3S-FORM 행동변화 모델은 에 소개했죠. 효과성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실행력을 높이는 효과성 코칭의 심리전략은 에 소개했습니다. 따라서 '효과성 코칭의 이론과 실제'에 관심이 있다면 두 권을 읽으면 가장 최신 버전을 접하는 것입니다.-생각 파트너 이석재

지난 2020년에 출간한 '코칭방법론' 책에 대한 독후감을 받고 책쓰기를 잘했다는 생각했습니다. 아직 국내에 코칭방법론에 대한 책이 없을 때 출간하면서 독자의 반응이 몹시 궁금했었죠. 20년 이상의 코칭 경험을 가진 분의 피드백이라서 더 감동이었습니다. Y 코치님이 말씀하신 증거기반 코칭에 대한 강의는 'Evidence-Based Coaching (기업코칭연구회 발표자료, 2012. 7. 14)'였지요. 지난 일을 추억과 기쁨, 보람으로 상기시켜 주셔서 감사했습니다.-생각 파트너 이석재코치님 안녕하세요?페북을 통해 소식은 듣고 있지만 이렇게 개인적으로 글을 쓰게 된 것은 오늘에야 코치님의 코칭방법론을 읽고 너무 감명을 받아서 이 감동이 사라지기 전에 꼭 전달드리고 싶어서 입니다.전에 쓰신 효과성코칭 책..

1. 지난 2002년 국내에 코칭의 토양이 척박할 때 코칭을 시작한 것은 실로 행운이었죠. 국내 코칭 프로그램은 거의 전무였고 PCC, ACC 자격을 취득한 코치도 손으로 꼽았습니다. 생각 파트너가 2008년 PCC 자격을 6번째로 취득한 것으로 기억합니다. 당시 ACC도 소수, MCC는 전무였죠.2. 시행착오도 있었고 코칭설계도 다양하게 창안했습니다. 코칭을 마치면 당일 코칭일지를 썼죠. 고객의 반응이 좋은 사례를 분석해 코칭 방법과 프로세스를 구축했습니다. 코칭 전개를 구조화하려고 애를 썼습니다. 코칭이 제대로 전개되지 않으면 부끄러웠지만 사례로서는 유익했죠. 코치들이 모여 각자의 코칭 사례를 공유하는 시간은 귀한 학습 시간이었습니다.3. 초창기에 기업의 HR담당자와 임원, 코칭 영업을 담당하셨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