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hinking partner
- 코치올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생각 파트너
- 코칭 프레임워크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원하는 결과
- 결정적 행동
- 이석재 코치
- 씽킹 파트너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심리학 시리즈
- 효과성코칭
- 코칭방법론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증거기반코칭
- 조직효과성진단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조직코칭
- 효과성코칭워크숍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팀효과성진단
- 효과성 코칭
- 코칭심리학
- Today
- Total
목록3. 코칭심리연구/코칭심리 탐구 (205)
코치올

1. 사회심리학을 공부하게 된 동기는 대학생 때 존경하는 선생님을 닮고 싶어서 입니다. 그분의 주된 연구 주제 가운데 하나가 조망의 개념 형성과 역할이었습니다. 그분은 연구 주제가 생기거나 논문을 작성할 때 순복음 아파트로 불러 자료 정리 등을 도와 달라고 하셨죠. 이때 당신의 탐구 배경과 고민 등을 들려주셨네요. “언젠가 너의 학문을 할 때 지금 내가 하는 말들을 이해할 거야.” 그분은 내게 ‘생각하는 법’을 알려주셨네요. 내게는 아주 소중한 가르침입니다.2. 이번에 출간하려는 에서 관점은 그분이 조망이라고 했던 perspective죠. 대학생 때 이후 조망은 내게 인생 개념이죠. 전문 코치로 활동하면서 ‘효과성 코칭의 이론과 실제‘를 체계화하면서 조망을 관점으로 사용하네요. 선생님과 대화를 할 수 ..

1. 효과성 코칭 관련하여 지금까지 출간한 책들을 계속 수정하고 보완하면서 업그레이드를 했습니다. 가장 최근 '효과성 코칭의 이론과 실제'를 보여주는 책은 총 14권 중에서 다음 4권입니다.2.효과성 코칭(Effectiveness Coaching)은 "사람들은 삶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성을 추구한다"라고 가정합니다. 생각 파트너는 효과성 프레임워크를 토대로 효과성 진단(ELA, TEA, OEA)을 활용한 증거기반 코칭을 전개합니다. 여기서 효과성은 원하는 결과를 얻는 정도를 뜻합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

2002년부터 현재까지 효과성 코칭의 개발 과정을 구분하면 첨부한 이미지와 같이 총 3기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저술의 경우 공저와 번역서, 코칭교육용 프로그램 워크북 불포함.-생각 파트너 이석재

1. 2002~2025 기간에 한 코칭 활동의 요체를 저술로 정리해 본 것이죠. 증거기반 코칭을 위해 3종의 효과성 진단(다면진단, 국영문)을 개발해 온라인으로 운영하면서 다양한 코칭 환경과 주제를 다루었고 효과성 프레임워크를 검증했죠. 이후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성 코칭모델(Effectiveness Coaching Model)을 만들었습니다. 2. 최근 (이석재, 2023)에 소개한 결과지향 코칭 프레임워크의 3가지 요소와 10가지 코칭 원리를 코칭 현장에서 전개하는 '효과성 코칭 전략과 기술'의 시각에서 재구성합니다. 책으로 써야 할 것이 아직도 많네요. 일단 (가제)을 하반기 초에 출간하면 첫 매듭을 짓는 셈이죠.-생각 파트너 이석재

1. 생각 파트너의 꿈 가운데 하나는 (이석재, 2023)을 중심으로 코칭심리학 시리즈를 출간하는 것이죠. 이번에 출간하려는 으로 구성된 (효과성) 코칭심리학 시리즈를 완성합니다. 올해 내로 이 작업을 마무하고 싶네요. -생각 파트너 이석재

효과성 코칭(Effectiveness Coaching)은 "사람들은 삶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성을 추구한다"라고 가정합니다. 생각 파트너는 효과성 프레임워크에 기초한 효과성 코칭 모델을 토대로 진단을 활용한 증거기반 코칭을 전개합니다. 여기서 효과성은 원하는 결과를 얻는 정도를 뜻합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

1. 코칭이란 무엇인가? 이에 대한 답은 연역적 접근과 귀납적 접근으로 찾을 수 있죠. 연역적 접근은 여러 전문분야에서 검증된 이론에 함몰하기 쉽습니다. 기존 이론에 코칭을 붙이면 되죠. 그러나 이러한 편의성에 묶이면 코칭의 본질을 놓치기 쉽습니다. 2. 귀납적 접근은 코칭 현장에서 수집하는 각종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면서 답을 찾습니다. 상담과 심리치료에서 ‘해결중심 단기치료/상담‘이 대표적이죠. 답을 찾기 어렵지만 창의적이며 본질에 다가갈 수 있습니다. 코칭처럼 신규 전문 영역은 귀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코칭 현장에 답이 있다‘는 관점을 취해야죠.3. (이석재, 2023)은 기존의 코칭심리학을 코칭 시각에서 탐구한 것이죠. 생각 파트너의 (이석재, 2014)부터 최근 출간한 (이석..

1. Big picture thinking을 통해 먼저 자신의 코칭 논리와 논리 검증을 위한 청사진을 그린다.2. 코칭 논리의 핵심 개념과 작동 원리를 주제로 한 현장 실무 내용을 책으로 출간한다. 독자가 한 권으로 전체 논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집필한다.3. 다음 출간은 첫 책의 각론을 다룬다. 각론에 포함된 핵심 개념과 코칭 사례를 통해 그 개념이 코칭 현장에서 실행되는 모습을 ‘증거기반 코칭’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출간을 모든 핵심 개념별로 집필해서 출간한다.4. 마지막으로 자신의 코칭 논리와 현장 코칭 사례, 증거기반 예시를 한 권에 묶는다. 첫 책의 개정판이며 코치로서의 정체성이다. 5. 큰 틀이 없는 책쓰기와 출간은 자신의 코칭 전문성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지않는다는 점을 기억한다.6. 자신의 ..

1. 생각과 글로 표현한 것은 서로 다를 가능성이 높다. 생각과 글이 서로 일치하도록 하는 작업을 통해 기존의 생각이 더 명확해진다.2. 말하고자 하는 것을 글로 옮기지 못하면 사실 생각이 정리되어 있지 않다는 것과 같다. 따라서 책을 쓰면 생각이 정리되고 그 과정에서 성찰과 통찰을 경험할 수 있다.3. 책쓰기는 생각의 미완성을 글의 완성으로 만드는 지적 노동이다. 자신이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을 분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겸손해지고 인내심도 생긴다. 4. 글을 쓰면 더 논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대화 스타일도 주관적인 생각보다 객관적인 생각을 말로 하는 방식으로 바뀐다.5. 말은 둘러댈 수 있지만 글은 그 순간 멈추게 된다. 강의를 잘 한다고 생각한다면 글로 써보자. 글로 쓰지 못..

1. 지난 5년 전부터 ‘목적 있는 삶’을 강조했죠. 책을 쓰면 이 주제를 꼭 포함했습니다. 목적은 삶에 방향성을 제시하지만 그 과정으로 가는 삶의 내용을 채워주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목적은 목표보다 추상적인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과정보다 결과에 대한 것으로 삶의 현장에서는 수사적이며 때로는 현학적이라는 비판을 받습니다. 따라서 목적을 제시하면서 목적 달성에 부합하고, 목적을 이루는 내용으로서 목표가 더 현실적이죠.2. 글로벌 차원에서 논의되는 내용을 보면, 2025년 목표와 관련된 핵심 주제는 AI를 활용해 기존의 HR 이슈(채용, 면접, 배치, 개인의 학습과 성장, 다양성 실천, 효율성과 효과성 등)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목적과 AI를 활용한 목표 달성을 연결하는 방법론이 중요하죠.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