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효과성 코칭 모델
- 코칭심리학 공부방
- thinking partner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조직코칭
- 원하는 결과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관점 코칭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심리학
- 씽킹 파트너
- 코치올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관점 전환
- 결정적 행동
- 증거기반코칭
- 효과성 코칭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효과성코칭
- 효과성 프레임워크
- 코칭심리학 시리즈
- 코칭방법론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 프레임워크
- 효과성코칭워크숍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효과적 리더십진단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팀효과성진단
- Today
- Total
목록3. 코칭심리연구/코칭심리 탐구 (241)
코치올

떠도는 마음은 잡생각이 아니라 개인 내면의 심리적 요구와 보상 받을 만한 가치 있는 것을 찾아가는 내면 탐구 여행입니다. 일중심의 사고에서 존재중심의 사고로 관점 전환을 하면, 달라지는 것은 무엇일까요? '떠도는 마음 공부방'을 통해 그 답을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1) 참가자는 먼저 삶의 주제를 설정합니다. 2) 주제와 관련된 목표와 실행계획은 세우고 실천해 갑니다. 3) 학습 주제의 관점에서 자신의 실행을 짚어 봅니다. 4) 마지막 시간에는 그간의 성취를 평가해 봅니다. 5) 전체 흐름은 자기개발을 위한 코칭 디자인의 모습을 갖고 있습니다. 6) 코치로 활동하시는 분은 현장에서 응용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코칭만을 위한 학습 활동은 아닙니다. '떠도는 마음에서 세상보기'에 초점을 둡니다. 그러나 ..

어제(2020.12.23) 저녁에 Zoom으로 2020을 마무리하고 2021년을 맞이하는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주요 내용을 공유합니다. 떠도는 마음이란, '일에 대한 집중력이 떨어진 사람들의 주의가 그들의 내면으로 이동하면서 생기는 자발적인 정신 상태입니다.' 떠도는 마음은 마음의 일부입니다. 여러분은 평소 자신의 시선을 어디에 두고 있습니까? 성과와 평가적 사고가 팽배한 사회에서 사람들의 주의는 흔히 밖을 향하고 있습니다. 원하는 결과를 만드는 실행에 맞춰져 있습니다. 그래서 원하는 결과를 만드는 데 집중하는 사람들은 함께 일하는 사람들에게 "제대로 못하겠어?"라고 고함을 칩니다. 상대방이 겪을 마음의 상처, 자존감의 상실에 대한 관심은 부족합니다. 일 중심, 실행 중심의 삶을 사는 사람들은 떠도는 마..

브런치에 처음 작성한 ‘떠도는 마음’ (떠도는 마음 사용법) 제목의 글도 다음 초기 화면에 떴네요(2020.8.14). 브런치에 쓴 글 중에 조회수가 많은 글 중에 하나입니다. 관심, 감사합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 브런치 https://brunch.co.kr/@sukjae505#works 생각 파트너 http://thinkingpartner.co.kr

브런치에 쓴 글이 다음 초기 화면에 떴네요. 관심, 감사합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 브런치 https://brunch.co.kr/@sukjae505#works 생각 파트너 http://thinkingpartner.co.kr

코치로 활동하면서 코칭에서 사용하는 개념들을 다시 들여다 봅니다. 국제코치연맹은 작년 10월, 기존의 핵심코칭역량을 업데이트하면서 'Embodies a Coaching Mindset'을 두 번째로 제시했습니다. 코치는 어떤 마인드셋을 가져야 할까? 마인드셋을 구성하는 요소는 개념과 이에 대한 신념이죠. 코치로서의 전문성을 키우기 위한 한 방법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코칭의 주요 개념들을 다시 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강점과 약점, 다시 보기 : brunch.co.kr/@sukjae505/28 02화 강점과 약점, 다시 보기 떠도는 마음 사용법 | 강점(strength)과 약점(weakness), 어떤 눈으로 볼 것인가? 이제 전통적인 강점과 약점의 이분법적인 논리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 코칭적 시각에..

어제 브런치 작가 신청을 하였습니다. 오늘 3:11, 브런치 작가가 되었다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첫 도전에 큰 기쁨입니다. 브런치에 글을 올릴 수 있도록 승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글을 쓰고 많은 독자와 열심히 소통하겠습니다. 브런치 작가이름: 생각 파트너 이석재 브런치 글의 주제: 떠도는 마음 브런치: https://brunch.co.kr/@sukjae505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 7/21일 브런치를 시작하고 공개한 글을 조회한 전체 수가 7/22 오후 5시 현재 2,500이네요. 오늘 자정이 되면 3,000을 넘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 자료를 보면서 앞으로 글 쓰기에 대해 힌트를 얻었습니다. 시사점이 있네요. 브런치: https://brunch..

오늘은 '효과성 코칭 워크숍: 개인코칭'의 둘째날입니다. ICF의 CCE 인증을 발급하는 마지막 과정이기도 하죠. 내년 1월부터는 CCE없이 이전처럼, 효과성 코칭 워크숍(개인코칭, 조직코칭)을 그대로 진행합니다. 하반기에는 자신의 마인드셋을 성찰하고 주도적인 삶의 주인이 되도록 돕는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내년 초에 개설하려고 합니다. 이와 관련된 책을 하반기에 출간하고(현재 초고 완성), 특강 형태로 먼저 홍보하려고 합니다. 전문코치로 활동하는 분들에게는 새로운 영역이 될 것입니다. 조직 리더와 구성원,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코칭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라이프 코칭에도 필요한 것이죠. 코로나19로 급변하는 환경에서 시선을 밖에 두고, 이에 의존적이고 종속적인 현대인의 사고체계가 ..

21세기에 필요한 시대 가치는 ‘다양성의 수용’, 현실은? 이분법적 사고가 시대 정신에 깊이 뿌리 박혀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분법적 사고의 문제점은, 균형이 깨질 때 시대 정신이 부패한다는 것이죠. 시대의 사회적 환경은 사회 구성원의 자기 정체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죠. Beck은 사람들이 자기 정체성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자기를 부정적으로 인식할 때 작동하는 역기능의 순환고리를 그림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아침단상,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page_id=1562

사회적 자기인식은 타인의 지각에 따른 평가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타인 평가는 통제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반면, 사람들이 사회적 관계에서 주도적으로 자신을 드러냄으로써 자기인식 뿐만 아니라 타인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동정(pity), 동감(sympathy), 공감(empathy)과 긍휼(compassion)이 대표적이다. 사회적 자기인식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공감이다. 다른 사람이 고통과 불행, 중압감에서 힘들어 하고 벗어나고자 할 때, 상대방을 돕고 싶어 하고 느낀 감정을 공유하는 것이다. 공감의 주된 특징은 상대방의 감정을 느끼고 그 감정을 갖게 된 관점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감정을 대하고 느끼는 방식이 자신과 다르더라도, 상대방의 감정을 있는 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