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효과성 코칭 모델
- 원하는 결과
- 관점 코칭
- thinking partner
- 관점 전환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효과성 코칭
- 조직코칭
- 코칭심리학 시리즈
- 코치올
- 코칭방법론
- 팀효과성진단
- 효과성코칭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결정적 행동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코칭심리학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증거기반코칭
- 효과성코칭워크숍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코칭 프레임워크
- 효과성 프레임워크
- 씽킹 파트너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Today
- Total
목록3. 코칭심리연구/코칭심리 탐구 (242)
코치올

우리가 지금까지 생각과 마음에 대해 통념적으로 알고 있는 것에 도전장을 내는 글을 책으로 쓰고 있는데, 어떻게 교육 프로그램으로 연결시킬지를 함께 고민 중...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효과성 코칭 워크숍(조직코칭, 6월19일-20일) 보러가기 http://thinkingpartner.co.kr/?page_id=1562

심리학자나 철학자들은 의식이라는 장터를 만들고, 곤궁해 지니까 지하를 파서 무의식을 만들고 나중에는 옥상도 올렸다. 또 다른 세상은 없을까? 인지의 개념을 만들어 입주를 시킨 다음, 다시 옥상을 올려 메타인지를 만들었다. 그런 일을 잘하는 속성이 필요해 지능이라는 개념을 만들더니, 설명력이 딸리니까 수없이 새로운 개념을 만들고... 나도 심리학자로서 요즘 따끈한 개념을 파고 들고 있다. 책을 쓰면서 어디에다 신개발을 하고 주택 단지를 만들지... 입주민을 어떻게 확보할까? 건설업자가 되어본다... IT친구들은 옆동네에서 가상공간을 만들고 급속히 영토 확장을 하는데, 봉이 김선달이 따로 없다. 이제는 우주개발자들이 산토끼가 사는 동네 근처에 신도시를 만든다. 조만간 청약자들을 입주 시킬 것 같다. 미래에 ..

2020년 ICF 8가지 코칭역량에서 새롭게 도입된 핵심 개념은 존재(being)와 실행(doing)의 개념입니다. 효과성 코칭의 기저에는 두 개념이 근간입니다. 나는 우리에게 두 개의 세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우리의 시선을 밖에 둘 때 만나는 실행의 세계와 안으로 둘 때 만나는 존재의 세계있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저의 신간 '코칭방법론'이나 다음 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두 개념이 코칭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2015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6년째를 맞이한 효과성 코칭 워크숍(개인코칭, 조직코칭)에 참가하여, 깊은 의미를 탐구해 보시기 바랍니다. ★ 존재와 실행의 개념과 코칭적 활용에 대해 참고할 도서 1. 이석재(2023).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 2. ..

효과성 코칭을 더 체계화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해 보고 싶은 것은 주어진 맥락에서 인간의 뇌-인지와 정서-행동-원하는 결과를 연계하는 논리를 구성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뇌를 제외한 영역은 일단 논리를 개발하고 실행도 해 보았다. 행동변화를 위한 코칭을 개입시켰을 떄, 변화를 관찰하고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리더십다면진단인 효과적 리더십 진단(ELA), 팀 효과성 진단(TEA), 조직 효과성 진단(OEA)을 개발하였고,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국영문으로 진단과 보고서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일단 해보고 싶은 것은 다 해보았다. 이제 더 알고 싶은 것은 뇌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과제는 쉬운 일이 아니다. 다만 뇌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는 인지와 정서, 생각과 느낌, 긍정적 자극 정보와..

수용전념치료(ACT)는 고통스러운 심리적 문제를 직접 다루기 보다, 먼저 현재 고통이 일어나는 과정을 알아차리고 수용(acceptance)하도록 한다. 그리고 삶을 전쟁하듯 살면서 이기려는 것을 멈추고, 자신의 내적 사건과 경험을 대하는 관계를 바꾸어 자신이 존중하는 가치에 맞는 삶의 목표를 이루는 ACT에 전념(commitment)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

관심 있는 주제와 관련된 뇌의 활성화 영역과 작동 메카니즘을 정확히 알아보기로 하였다. 최근 업데이트된 학술논문도 보이기는 하지만, 이 방면에 파이오니어에 해당하는 연구자이니 1996년에 출간된 첫 저술이지만, 직접 읽어 보자. 내용은 오래 전의 것이다. 중고 서적이지만 상태는 양호!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

수용전념치료 ACT의 핵심은 '관점 변화'에 있다. 이 프로그램을 초기에 개발할 때, Hayes(1987)가 'comprehensive distancing'이라고 이름붙인데 그 이유가 있다. 그가 ACT를 수행하면서 몇 가지 대표적인 스킬들을 주요 구성요소로 강조하고 있지만, 본질은 문제에 묻히지 말고 문제에 대한 경험을 한 발 떨어져 객관적으로 보라는 것이다. 이 단순한 행동을 통해 문제의 본질을 다르게 보게 된다. 그 인식의 변화가 기존의 심리적 문제를 다르게 정의하게 되고 심리적 문제가 일상에 미치는 영향을 바꾸게 된다. 이제 심리적 문제들은 monkey on your shoulder와 같다. 한발 떨어진 그 공간에서 어떤 일이 일어는지가 ACT의 비밀이다. 효과성 코칭에서 ACT를 볼 때 따르는 ..

귀납적 연구방법으로 Charmaz의 Constructive Grounded Theory와 연역적 연구방법으로 Maslow의 Motivation Theory 를 연계하여 효과성 코칭을 개발하면서, 코칭 대상자의 생각 프레임을 변화시키기 위한 코치의 인지전략으로 강점 발견, 관점 확대, 통찰 심화, 자기 수용을 도출하였다(이석재, 2020). 기존의 BT, CBT, 선택이론, 현실치료이론, 마인드풀리스, ACT, 동기강화상담, Focusing-oriented Psychotheraphy, Motivational Interviewing, Solution-Focused Theraphy, Behavior Change Theory 등을 종합적으로 리뷰하면서 네 가지 인지전략을 선정했다. 올해 ‘코칭방법론’을 출간하면..
Back to basics! 이번 달과 다음 달까지 집중적으로 살펴 볼 개념은 'Emotion Regulation'으로 심리학 용어사전에서 '정서 조절'로 용어를 통일하였다. 이 개념도 Mindfulness 처럼 신생 개념이다. 심리학 논문을 검색할 수 있는 PsycINFO에서 1990년에 정서 조절이 인용된 횟수는 단 4회, 15년 후인 2005년에는 671회였다(Gross, 2008). Mindfulness 만큼 새롭게 떠오르는 영역이다. 코칭의 나이와 비슷하다. 정서 조절은 마음 챙김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고, 생각 파트너의 주요 관심 주제이다. 주요 개념들을 선정해 탐구하면서 connecting the dots을 하다 보면, 큰 그림이 그려지고 새로운 관점이 만들어 질 수 있다. 정서란 무엇..
Back to basics! 심리학 용어사전에서 Mindfullness는 '마음 챙김'으로 사용한다. 이 개념에 대한 정의를 폭넓게 수집해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자 공부하고 있다. 지금까지 보면, 개념적 정의가 다양하다. 영어권의 학술연구논문으로 보면, 기본 개념 뿐만 아니라 이 개념에 대한 조작적 정의도 또한 다양하다. 기본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조직적 정의는 달라질 수 있고, 같은 정의라도 연구변인으로서 조작하는 것이니 다양할 수는 있다. 마음 챙김의 기본 구성과 기능, 작동 기제에 대해서도 관점의 차이가 있다. 마음 챙김과 명상을 결합한 Mindfulness Meditation의 경우도 아직은 정립이 덜 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번역부터 통일이 되어야겠다. 개념이 정확하지 않으면, Min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