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관점 전환
- 관점 코칭
- 팀효과성진단
- 효과성코칭워크숍
- 결정적 행동
- 조직코칭
- 증거기반코칭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씽킹 파트너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thinking partner
- 코칭 프레임워크
- 효과성코칭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코칭방법론
- 효과성 코칭 모델
- 코치올
- 코칭심리학 시리즈
- 원하는 결과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효과성 코칭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효과성 프레임워크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심리학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Today
- Total
목록뉴스-공지사항 (150)
코치올
1. 책을 처음 출간할 당시 편집을 담당한 분을 100% 신뢰했죠. 책의 시작부터 끝까지 말이죠. 그 분의 치밀한 편집 방식과 몰입도가 엄청났죠. 이 과정에서 내용의 순서를 바꾸는 등의 재구조화 등이 있었죠. 필자 스스로 선제적으로 하기도 했죠. 물론 최근까지도 출판사의 적극적인 편집과 피드백을 100% 신뢰하고 협의하고 수용했습니다. 2. 이번 새책 편집에는 기존의 편집 과정에서 흔히 일어나고 경험한 것 외에 ‘어떤 독특한 것‘이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새로운 편집 경험에 대한 기대가 크죠. 벌써 설렙니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첫 책을 출간한다는 초심으로 시작합니다. 요즘 서점은 한강 범람으로 침수 상태라서 출판은 물이 빠진 후 하는 것이 좋겠네요. -생각 파트너 이석재
1. 그동안 , , 등의 책을 동시 다발적으로 쓰다가 아하 모멘트를 가졌죠. 생각 파트너는 2010년 경에 ‘Consultative Coaching Approach’를 주창하고 심리학과 컨설팅, 상담, 진단 등을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제3의 관점을 취했죠. 기존의 책쓰기를 모두 접고 이 모두가 융합된 한 권의 책을 쓰고 있습니다. 2. The next level beyond coaching(가제)입니다. 코칭학이라기 보다 ‘다른 이름을 가진 영역‘입니다. 코치의 미래 역할로 ’생각 파트너’를 구상했듯이, 생각 파트너가 할 일의 방식과 접근을 제시하는 책입니다. AI와 경쟁하지만, 인간 고유의 독특성과 차별성을 탐구하는 것입니다. 3. 새책의 차례를 확정했고 ‘들어가는 글’을 썼습니다. 차례에 맞는 기존..
“지금 나는 결정적 행동을 하고 있는가?” 실행력 코칭하기>“당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결정적 행동은 무엇입니까?”이 질문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를 알아보죠.1. 원하는 결과: 원하는 결과는 무엇입니까?2. 결정적 행동: 그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행동은 무엇입니까?3. 변화 요구: 원하는 결과와 행동을 하기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합니까? 효과성 코칭은 고객(조직, 개인)이 이들 세 요소를 성공적으로 연결하도록 돕는 목표지향적인 협력활동입니다.삶에서 세 가지 요소(변화 요구-결정적 행동-원하는 결과)를 연결시키는 방식을 실천하고 있으세요?세 가지 요소를 연결시키는 힘이 실행력입니다.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어떤 심리전략이 필요할까요?총 8가지가 있습니다.이들 8가지를 실천할 때 실행력이..
1. 인생 개념이란, 세상을 보는 관점이며 그 관점의 논리를 구성하는 핵심 주제어입니다. 당신은 그 개념에 대한 탐구와 실행에 올인하고, 그 개념은 당신의 삶을 견인합니다.2. 생각 파트너의 인생 개념은 효과성(effectiveness)입니다. 효과성은 원하는 결과를 얻는 정도입니다. 생각 파트너는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사람들은 삶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성을 추구한다.’라고 가정합니다. 효과성 추구는 사람들을 움직이게 하는 내적 동기이죠. 3. 지난 2006년 ‘효과적 리더십 모델’을 기초로 효과적 리더십 진단(Effective Leadership Assessment: ELA)‘ 도구를 개발했고 이어서 팀효과성진단(TEA)과 조직효과성진단(OEA)을 개발했습니다. 그 이후 증거기..
2024년 9월을 기점으로 교과서 스타일의 책쓰기를 더 이상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독자가 읽기 쉬운 책을 지향합니다. 책 전체의 구성은 체계적이지만 내용은 이해하기 쉬운 용어와 표현으로 완성합니다. 논리보다는 독자의 마음을 사는 그런 책쓰기를 하고 싶네요. 독자가 책을 읽고 생각하는 주체가 되도록 쓰고 싶어요. 생각 파트너가 선택한 이전의 책쓰기 형식과 방식은 당시의 출판 목적에 부합하는 것이었습니다.-생각 파트너 이석재
지난 주에 탈고한 리더십 관련 책(*)은 기존 집필 스타일을 바꿔 새로운 멋진 책으로 독자와 만날 수 있도록 출판사와 1차 협의를 했습니다. 편집의 모든 가능성을 열어둡니다. 출판사를 100% 신뢰합니다. 기대해주세요.-생각 파트너 이석재
심리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코칭에 작동하는 심리학적 논리를 연구하고 체계화한 코칭심리학이 코칭의 이론적 토대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생각 파트너는 심리학자이며 코치로서 '코칭 시각'에서 기존의 코칭심리학과 관련 이론과 코칭의 핵심 주제들을 탐구했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코칭심리학 시리즈로 출간했습니다. 대표적인 저술이 (이석재, 2023)입니다. 구체적인 일정은 아니지만 리더십 코칭(가제)을 하반기에 출간합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
2024년 6월 한국코치협회 6월 뉴스레터에 신간 도서로 이 소개되었습니다.네이버 블로그인 ‘심리학 연구노트’는 매달 출간된 심리학 책을 출간일 순으로 소개합니다. 심리학 책에 관심 있는 분은 방문해 보세요. 5월에 출간된 책 40권을 소개하는데 출간일이 30일이라서 끝쪽에 소개되었네요.-생각 파트너 이석재https://m.blog.naver.com/psychologia/223467971254?referrerCode=1
2024.5.24일자 교수신문에 이 새로 나온 책으로 소개되었습니다.-생각 파트너 이석재https://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122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교수신문“삶을 변화시킬 8가지 심리전략”다양한 코칭 사례로 알아보는 작심삼일 극복법!사람들은 왜 자꾸 작심삼일을 반복할까? 보통 주된 이유로 실행 의지의 부족을 꼽는다. 하지만 꾸준히 실천할 .www.kyosu.net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신간) 독자 여러분을 '저자와의 대화'에 초대합니다. 일시 : 6월 14일(금) 오후 8:00~9:30진행방법 : 온라인 Zoom, 1시간 강의, 30분 질의 응답강의 주제 - 실행력에 대한 새로운 시선 - 효과성 프레임워크의 논리 - 효과성 프레임워크의 전략 - 원하는 결과를 만드는 8가지 전략 - 어떻게 실행력을 높일 것인가?참가비 : 무료참가 신청 : Google Forms 작성 https://forms.gle/gMT7HcQbFxna92Dm8준비사항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책을 구입하고 줌(zoom) 미팅에서 인증참가 문의 : sukjae505@daum.net / 010-5347-2359 저자와의 대화(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