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코칭심리학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효과성 프레임워크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관점 코칭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팀효과성진단
 - 증거기반코칭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씽킹 파트너
 - 코칭심리학 시리즈
 - 관점 전환
 - 코치올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원하는 결과
 - 효과성코칭
 - 결정적 행동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thinking partner
 - 코칭 프레임워크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조직코칭
 - 효과성 코칭
 - 효과성 코칭 모델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코칭방법론
 - 효과성코칭워크숍
 
- Today
 
- Total
 
목록3. 코칭심리연구/코칭노트 (204)
코치올
누군가 “그동안 뭘 하며 사셨나?”라고 묻는다면, “효과성으로 세상 보기를 했네요.”라고 말하겠습니다. 효과성의 개념 체계와 심리학적 작동원리를 탐구했죠. 효과성코칭이론 만들기, 내가 원하는 삶의 방식입니다. 남은 여생도 그리하겠네요.  * 효과성의 개념과 이론에 대한 참고도서: 이석재(2023).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 오늘(1/5) 오전에 새책을 편집할 담당자와 소통을 했습니다. 담당자가 정해지고 출판 일정도 윤곽이 잡혔습니다. 바로 지금 이 순간이 2024년의 시작입니다. 오타 제로를 지향하며 멋진 책을 만들고 싶습니다. 단독 저서로는 7번째, 공저와 번역서를 포함하면, 13번째네요. 그동안 연구보고서, 국내외에 기고한 학술논문, 신문기사, 동향분석, 학술발표 자료 등의 많은 글을 ..
기존의 코칭심리학은 주로 심리학의 관점에서 코칭 현상을 연구하고 설명합니다. 현장중심 코칭심리학(이석재, 2023)은 코칭 시각에서 코칭심리학 이론에 내재한 코칭 프레임워크와 원리를 분석했습니다. 이제 주제별로 탐구합니다. 그 결과를 책으로 씁니다. 1차 결과물이 곧 나옵니다. 시리즈로 집필합니다. 이러한 결과들이 증거기반으로 검증되면, 코칭학이 정립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코칭이 독립 학문이 되려면, 코칭학이 있어야겠죠. 이 과정에서 챙겨야 할 삶의 태도는 과유불급! 실천행동은 소식과 건강한 식사, 가벼운 운동과 숙면하기!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2016년부터 구상해 올해 준비한 선물이 있죠. 내가 나에게 주는 특별한 것입니다. 그 선물은 출판사가 2주 이내에 조판본을 만들어 내게 보내줄 1차 교정지입니다. 2024년은 그 기다림으로 시작합니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약 2주 후면 출판사에서 새책에 대한 편집을 끝마칠 테고, 교정을 보면서 남는 시간에 새책을 쓰기로 했습니다. 대학생 때부터 관심을 갖고 공부한 개념이죠. 이 개념을 근간으로 하나의 콘셉트를 정했습니다. 지금도 중요하지만 코칭심리학과 코칭을 공부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교과서를 남기고 싶습니다. 그동안 수집한 것들을 모두 하나의 파일에 정리해야겠네요. 내년 4월 쯤 출간될 책은 우리의 고질적인 작심삼일과 지연, 반복된 실패 등에 대한 코칭심리학적 분석과 솔루션을 소개합니다. 독자가 자신의 삶을 돌아보면서 자기주도적으로 기존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보도록 통합적으로 안내합니다. 내년 하반기에는 또 다른 중요한 한 가지 핵심 개념을 다루려고 해요. 그 결과를 하반기에 책으로 출간하려고 합니다. 2023년에는 ..
내 생각을 도식화하는 훈련은 박사과정 때 탄탄해졌죠. 당시 이런 저런 실험실 연구를 구상하고 진행하면서 지도교수와 토론 기회를 많이 가졌습니다. 그분은 다른 지도학생들 보다 더 많은 1:1 멘토링 시간을 허락하셨죠. 내 생각을 주절주절이 엮어서 말하면, 그분은 “지금 생각을 그려볼래?”라고 요청했죠. 이 간단한 질문이 나의 복잡한 생각을 ‘프레임워크(framework)’로 간결하게 정리하는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제는 습관이 되었죠. 어떤 생각이 떠오르면, 그 생각을 말로 하고 글로 쓰고 표로 작성해 보고, 그림으로도 그려봅니다. 머리 속으로도 하고 객관적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수없이 반복해서 말이죠. 다양하게 표현하고 구성하고 재구성합니다. 어느 순간 기존의 생각이 명료해집니다. SNS는 이러한 습관..
코치로서 삶을 살면서 효과성 코칭을 개발하던 과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3년을 보내면서 지난날을 회고합니다. 효과성 코칭과 코칭심리학의 연계성에 대한 가장 최근 내용은 '이석재(2023).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를 참고바랍니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지난 2010년 3월 '대화로 풀어보는 코칭 리더십'이라는 제목의 책 원고를 완성했습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일이 벌어졌습니다. 바로 [그림6]에서 보는 통합적 코칭 설계를 기업 현장에서 전개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입니다. 물론 그전에도 부분적으로 개인코칭과 팀코칭을 묶어서 함께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코칭을 통해 개인개발과 조직개발을 연계시키는 것이죠. 통합적 코칭을 하려면, 한 사업부 전체 또는 중소기업 규모의 회사 전체를 코칭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당시 가장 하고 싶은 코칭이었습니다. 통합적 코칭을 하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팀코칭을 위해 팀효과성진단(TEA), 조직코칭을 위해 조직효과성진단(OEA) 도구를 모두 다면진단 할 수 있도록 개발했죠. 증거기반 코칭을 ..
아침에 불현듯 좋은 생각이 떠올라서 기존에 작성한 32개 주제를 범주화기법으로 재구성해봅니다. 저자가 아닌 독자의 관점에서, 독자가 쉽게 읽고 공감할 수 있도록 말이죠. 12/16 현재, 결국 총 2부 8장으로 정리했네요.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2023년에 드러내지 않았던 잠재성을 2024년에 꼭 드러내 보인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s://thinkingpartner.co.kr
 지난 2014년 1월 책의 주요 내용을 '효과성 코칭 워크숍: 개인코칭 & 조직코칭' 과정으로 구성해 일반에 처음 공개했습니다. 이때 생각 파트너가 개발해서 코칭 고객(코칭 대상자)과의 라포 형성을 할 때 주로 사용하는 '네이밍코칭(naming coaching)'을 소개했습니다.  코칭 고객의 이름은 주로 그의 조부나 부모가 만들어 준 것입니다. 고객의 존재에 대해 윗분이 부여하고 싶은 깊은 의미와 자녀의 성장에 대한 소망을 담은 것이죠. 이러한 이름은 사회심리학에서 보면, 사회적 자기(social self)에 해당합니다. 자기 이외의 사람들에 의해 존재가 정의되는 것이죠. 생각 파트너는 코칭 고객과 대화를 나누면서 그의 본래적 자기, 사회심리학에서 개인적 자기(personal self)에 대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