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thinking partner
 - 증거기반코칭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코칭심리학 시리즈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코칭방법론
 - 효과성 코칭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효과성 코칭 모델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코칭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효과성 프레임워크
 - 효과성코칭워크숍
 - 조직코칭
 - 코칭심리학
 - 코칭 프레임워크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결정적 행동
 - 관점 코칭
 - 효과적 리더십진단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관점 전환
 - 팀효과성진단
 - 씽킹 파트너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원하는 결과
 - 코치올
 
- Today
 
- Total
 
목록3. 코칭심리연구/코칭노트 (204)
코치올
1. 지난 2002년 국내에 코칭의 토양이 척박할 때 코칭을 시작한 것은 실로 행운이었죠. 국내 코칭 프로그램은 거의 전무였고 PCC, ACC 자격을 취득한 코치도 손으로 꼽았습니다. 생각 파트너가 2008년 PCC 자격을 6번째로 취득한 것으로 기억합니다. 당시 ACC도 소수, MCC는 전무였죠.2. 시행착오도 있었고 코칭설계도 다양하게 창안했습니다. 코칭을 마치면 당일 코칭일지를 썼죠. 고객의 반응이 좋은 사례를 분석해 코칭 방법과 프로세스를 구축했습니다. 코칭 전개를 구조화하려고 애를 썼습니다. 코칭이 제대로 전개되지 않으면 부끄러웠지만 사례로서는 유익했죠. 코치들이 모여 각자의 코칭 사례를 공유하는 시간은 귀한 학습 시간이었습니다.3. 초창기에 기업의 HR담당자와 임원, 코칭 영업을 담당하셨던..
홍길동 코치: “코치님, 10년 이상 코칭을 했는데 뭘했는지 모르겠어요. 왜 그렇죠? 제가 놓친 것은 무엇일까요?”생각 파트너: “생각을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코치님, 10년 이상 국내 영업을 담당했는데 뭘했는지 모르겠어요. 왜 그렇죠? 제가 놓친 것은 무엇일까요라고 하소연하는 고객이 있습니다. 코치님은 어떻게 코칭하시겠습니까? 코치님의 코칭에서 답을 찾아보면 좋겠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제가 그 고객입니다. 저를 코칭해주세요. 코칭대화를 통해 답을 찾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생각 파트너 이석재
지난 2019년 상표등록 이후 '생각 파트너'와 '코치'의 역할을 혼용해서 책을 썼죠. 물론 생각 파트너의 역할을 더 담았습니다. 효과성 코칭의 개발과정에서 보면 1기는 2002~2008, 2기는 2009~2018, 2019년은 3기의 시작입니다. 2019년 생각 파트너는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습니다. 생각 파트너의 역할을 생각하며 쓴 첫 번째 책과 지금까지의 저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 삶을 바꾸는 생각혁명(2019)-떠도는 마음 사용법(2020)-코칭방법론(2020)-현장중심 코칭심리학(2023)-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2024) 2024년 8월, 지금부터는 '생각 파트너'의 역할 관점에서 책을 씁니다. 책의 내용이 어떻게 달라질까요? 기대해주세요.https://thinkingpartner..
지난 2017년부터 ‘AI시대가 오고 코칭이 진화하면 그때 남는 인간의 고유함은 무엇일까?“를 자문했습니다. 나의 답은 ’생각‘입니다. AI가 인간과 경쟁하고 인간의 최적 기능(optimal function)을 돕는다고 해도 우리가 삶의 주인이 될 수 있는 근원적인 힘은 생각이라고 본 것이죠. 이러한 논리에서 코치의 미래 모습은 생각 파트너(thinking partner)입니다. 2018년부터 상표등록을 준비했죠. 마침내 2019년 8월 14일 특허청에 상표등록을 완료했습니다.1. 생각 파트너가 되는 훈련은 책쓰기를 통해 ’생각나눔과 교학상장‘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내 삶의 가치이며 목적입니다. 심리학자로서 내 삶의 업은 ’심리 탐구‘입니다. 학술연구와 국내외 학술활동은 2004년 해외 학술지 등재로 종..
전문코치로서 어떻게 성장하고 있습니까? 다음 질문을 통해 생각을 정리해보십시오, 1. 지금의 코칭 현상은 지난 5년 전에 비해 무엇이 다른가?2. 5년 후 코칭 현상은 지금의 것과 비해 무엇이 다를까?3. 지속적인 코칭 발전을 위해 지금 무엇을 할 것인가? -생각 파트너 이석재
지난 달(20240425) 왕효분 코치님의 도움으로 고려사이버대학에서 ‘현장중심 코칭심리학’을 주제로 한 특강 동영상을 촬영했습니다. 여러 컷을 캡쳐해서 보내주셨네요. 생각 파트너가 개발한 ‘효과성 코칭 이론’을 효과성 프레임워크(effectiveness framework)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네요. 자료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억으로 남겨둡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
정말? 할 수 있다고 생각할 때 해보자! 지금 다듬는 원고를 하반기에 출간하면 올해 목표 완수, 내년에 두 권을 출간하기 위해 준비한 예비 원고를 하반기에 키우자! -생각 파트너 이석재
몇 일을 두고 확인하고 싶은 글의 출처를 찾았지요. 드디어 오늘 아침에 원전을 찾았습니다. 육만 원 상당의 영문 도서이지만 꼭 필요한 책입니다. '현장중심 코칭심리학'의 후속으로 하반기에 출간하고 싶은 ‘코칭심리학 시리즈’에 올바른 출처를 소개할 수 있어서 아주 기쁘네요.
2024년 1월과 2월에 여러 권의 책을 사서 동시에 읽고 있죠. 단 하나의 개념을 여러 각도에서 탐구하기 위함입니다. 세상의 눈은 복수이지만, 나의 눈은 단수입니다. 오직 한 시선으로만 봅니다. 해가 지고 뜨는 것처럼 우리 몸은 자율신경계에 따라 작동하죠. 우리가 보편적으로 공유하는 생리기제 외에 의식과 생각을 무엇으로 채우고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는 개인의 의도와 의지에 달렸죠. 호흡과 심장 박동은 자율신경이지만, 호흡만은 우리의 개입을 허용했죠. 왜? "숨을 쉴 수 없을 만큼 부지런히 살아라. 그리고 숨을 쉬는 한 버티고 견디며 살아라. 이것이 너의 삶을 결정할 것이다!" 이러한 깨달음을 주기 위한 것일까요? 설연휴 동안 ‘내면소통’을 읽고 자문했죠. “What’s in it for me?” 책을 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