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원하는 결과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관점 코칭
- 효과성 코칭 모델
- 증거기반코칭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조직코칭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코칭방법론
- 효과성코칭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코칭 프레임워크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결정적 행동
- 씽킹 파트너
- 코치올
- 코칭심리학 시리즈
- 효과성코칭워크숍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팀효과성진단
- 효과성 코칭
- 효과성 프레임워크
- 관점 전환
- 효과적 리더십진단
- thinking partner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심리학
- Today
- Total
목록3. 코칭심리연구/코칭도서 추천 (75)
코치올
코칭은 우리의 머리속에 있는 논리적 생각(이론)을 코칭 현장에서 실천하는 전문활동(현장)이죠. 이론이 현장에서 생각한 대로 작동하는 지를 연구하고 검증하는 다리 역할을 코칭방법론이 합니다(방법론). 코칭방법론은 이론을 현장에서 실효성 있게 작동시키는 전략과 그 전략이 구현되는 모습을 탐구하는 연구로 구성되죠. 국내에 코칭이 도입된지 20년, 이제 전문코치로 활동하면서 이상의 3가지 요소(이론-방법론-현장)의 관점에서 자신의 코칭을 들여다 볼 때라고 생각합니다. 각자 '나만의 코칭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면서 나만의 세상 보기를 펼쳐보기를 발제합니다. 나만의 코칭 프레임워크는 증거기반코칭의 기초이며 코칭학 정립의 시작입니다. 그동안 6권의 책과 공동집필서 3권, 번역서 3권 등을 출간했죠. 효과성 코칭의 ..
1. 서재진 코치 서재진 코치님의 소감과 서평을 읽고 깊은 감동을 느꼈습니다. 이 책을 집필한 의도의 핵심을 요약해주셨기 때문입니다. 이미 아들러코칭(Adlers코칭)을 통해 코칭 프레임워크를 개발해 현장에서 실천하시기 때문에, 글에서 더 큰 울림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을 응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폭염을 이기는 시원한 생각나눔과 교학상장입니다. 감사합니다. ^^ https://blog.naver.com/jjsuh888/223172571537 현장중심 코칭 심리학 책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3가지 이석재 코치께서 최근에 발간한 을 읽고 이석재 코치님의 최신작 를 두 번 완독했습니다. 이제까지 읽어왔던 코칭 책 가... blog.naver.com
1. 출간 완료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이석재, 2023)이 학지사에서 출간되었습니다.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3107160 YES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0234722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20629892 학지사: https://www.hakjisa.co.kr/subpage.html?page=book_book_info&bidx=5673 2. 도서의 특징과 다른 도서와의 차별성 “고유한 코칭 프레임워크는 무엇인가?” 기존의 코칭심리학이 심리학 시각에서 코칭을 보았다면 이 책의 저자는 코칭 시각에서 현장..
오늘 도착했네요. 2021년 10월을 보내고 11월을 맞이할 즈음에 생각 파트너의 화두는 '변화'입니다. 2022년을 준비하면서 어떤 변화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자, 읽어 보겠습니다. 책 읽는 순서는 오른쪽 것 먼저! What's in it for me? 1. 최고의 변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책 내용의 논지로 보면, 책 제목을 '최고의 변화를 어떻게 만드는가'라고 하는 것이 더 적합해 보이는군요. 그래도 들어가며의 글 제목이 '성격 검사가 내 인생을 망칠 뻔했다.'라는 것은 내 생각과 일치해서 끌립니다. 책의 시작이 마치 '내 삶을 바꾸는 생각혁명(이석재, 2019)' 프롤로그를 쓸 때의 생각과 같아서 더 흥마롭네요. 2.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1부의 제목이 '변화를 가로막는 세 가지 미신' ..
코칭 관련 원서를 집중적으로 사서 읽을 때는 효과성 코칭을 개발하는 관점에서 인사이트를 얻는데 초점을 두었지요. Adaptive Coaching(어댑티브 코칭; 적응형 코칭; 맞춤형 코칭)을 읽을 때 저자의 관점보다 내 관점을 더 앞세웠습니다. 코치로 활동하면서 그들의 생각을 실행하는 것보다 내 생각을 키우고 실행하는데 더 관심이 많았습니다. 이제 책장에서 지난 책들을 끄집어내어 온전히 그들의 관점을 취해 다시 읽어 봅니다. 초심자의 마음으로 말이죠. 이 책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고객의 요구에 맞춤형 코칭을 전개하는 내용을 소개하죠. 얼핏 칼 로저스의 내담자중심 상담접근을 기초로 한 코칭 아닐까 생각할 수 있지만, 전혀 무관합니다. 오히려 ‘adaptive’한 코칭의 시작부터 종료까지를 일관되게 다루..
전문분야에서 어느 경지에 이른 분들은 대개 사상서, 철학서를 쓰는군요. 인본주의 심리학의 대표 주자인 칼 로저스도 관련 서적을 출간했습니다. 왼편 책은 1961년 오른편 책은 1980년에 출간했습니다. 효과성 코칭을 개발하면서 doing과 being의 개념에 푹 빠져있을 때, 로저스의 두 책을 읽었습니다. 이때 person과 being을 구분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2014년에 출간한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의 에필로그에 그 내용을 반영했지요. 상담과 심리치료가 지향하는 존재방식(way of being)은 경험과학의 영역을 넘어서 존재론적 탐구의 주제일 수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저명한 상담이나 심리치료 전문가들이 경험과학적인 활동을 하면서 way of being을 실현시키려고 하지만, 학술논문이 아..
해결중심 단기치료를 창시한 인물의 한 사람인 Insoo Kim Berg가 공저한 Brief Coaching for Lasting Solutions 책을 읽다보면, 책의 제목처럼 코칭과 심리치료의 경계를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저자는 책의 서문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This book is written for coaching practioners who want to make a difference in the world, however small, who want to be effective while being respectful of what the client brings to the table, and who want to work with important resources that client..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은 8월 5일 저녁부터 ‘현장실전코칭’을 읽었지요. 공동집필한 내용을 원고로 읽는 것과 책으로 읽는 것은 다르죠. 생각 파트너는 올해 초부터 코칭의 이론과 실제를 상세하게 연결시키는 코칭 프로그램을 기획해 진행하고 있습니다. 바로 ‘코칭심리학 공부방’에서 이론을 공부하고,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을 통해 실제를 공부하는 것이죠. 두 과정이 논리적이며 실제적으로 연결되도록 ‘증거기반코칭’ 공부방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코칭심리학 공부방-> 증거기반코칭->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세 과정에 대한 교재로 워크북도 제작했지요. 이 과정에서 공부방 참가자에게 폭넓은 학습자료를 추천하기 위해 대상을 찾고 있었지요. 현장실전코칭 책을 읽으면서 추천도서로 선정했습니다. 16명의 코치가 현장..
이번 달 마지막 주, 코칭심리학 공부방에서 7차 공부 주제로 '신념과 행동변화의 심리'를 다룹니다. 코칭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인식과 행동의 변화로 이루어지죠. 특히 행동변화는 늘 도전의 대상입니다. 어떻게 하면 행동변화를 성공적으로 끌어낼 수 있을까요? 심리학은 이에 대해 어떤 통찰을 줄까요? 스트레스관리, 체중감소, 약물복용 극복, 금연 등의 까다로운 주제에서 행동변화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Prochaska의 transtheoretical model을 공부합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 #코칭심리학공부방,#효과성코칭워크숍
코치로 활동하는 경우, 이 책을 필독서로 추천합니다. 2000년에 출간된 책이지만 내용은 여전히 인사이트를 줍니다. 서문에 인상 깊은 문장이 있습니다. "The simple principles and methods of the Inner Game were based on a profound trust in the student's natural capability to learn from direct experience." 코칭대상자의 능력에 대한 완전한 신뢰... 코치가 코칭대상자을 대할 때의 기본 태도입니다. 코칭대상자를 신뢰로 대할 때 그 수가 무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자녀를 키울 때도 마찬가지이죠. 늦기 전에...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이라고 반추하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