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증거기반코칭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코칭심리학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원하는 결과
- 조직코칭
- 코칭심리학 공부방
- 효과성 코칭 모델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효과성 프레임워크
- 결정적 행동
- 관점 코칭
- 팀효과성진단
- 관점 전환
- 코치올
- 효과성코칭워크숍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효과성 코칭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코칭
- 코칭방법론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씽킹 파트너
- 효과적 리더십진단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코칭심리학 시리즈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thinking partner
- 코칭 프레임워크
- Today
- Total
목록3. 코칭심리연구/코칭노트 (204)
코치올
나 자신과의 대화 생각하는 것과 글을 쓰는 것은 서로 다른 활동이다. 생각하는 것은 인지적인 활동이지만, 글을 쓰는 것은 인지적이며 운동감각적인 활동이다. 따라서 생각이 아무리 논리적이라고 해도, 글 쓰기가 갖는 운동감각적인 정보가 주는 통찰을 상상할 수 없다. 생각은 했지만, 글로 표현이 되지 않는 이유 중에 하나는 몸을 쓰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글 쓰기란 인지와 운동감각 정보를 엮는 과정이다. 그러니 글을 쓰겠다고 생각했다면, 일단 써야 한다. 쓰지 않으면, 아무것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아무리 생각을 깊게 했어도 여전히 가야할 길이 멀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생각은 그 길 앞에 서 있다는 자각의 총체이다. 이제 목차의 여기 저기를 채우고 있다. 기존에 미리 쓴 것을 같다가 붙이니 A4용지로 70쪽이..
오늘 독서의 요점은 삶에서 의미를 찾고 삶의 목적을 명확히 설정하라! 목적있는 삶을 자발적으로 선택하고 실행할 때, 실질적인 행동 변화가 나타난다.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이석재, 2019)의 요점과 일치한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생각을 얼마나 끌고 갈 수 있느냐는 것.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
지금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현대심리학이 인간에 대한 기존 이해에 결정적인 관점 전환을 시킨 것은 바로 인간이 그리 합리적이고 이성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심리학자이며 노벨경제학 수상자인 카너먼(Kahneman)이나 트버스키(Tversky)의 연구결과들이 대표적이다. 사람들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내린 판단과 의사결정은 합리적 예측을 벗어났다. 아시아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에 세계경제의 흐름에 대한 석학들의 예측이 세간의 시선을 끌었다. 그 예측은 어떠했을까? 지금도 코로나 사태 이후에 대해 경제학자들이 의견을 냈다. 그들의 해석 결과가 기대된다. 불확실성, 변동성 등이 높은 뷰카(VUCA) 세상에서 강해져라, 확신을 가져라, 강점을 발휘하라,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져라 등의 구호는 사람들을 특정 틀에..
우리나라 의료진과 의료시스템이 하루에 소화할 수 있는 코로나 19 진단과 확진자 규모가 나오면, 그 적정선을 유지하기 위한 인력과 시스템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관리할 것이다. 아미 우리 의료당국과 의료진이 잘 하고 있는 이유일 것이다. 장기전으로 가면, 이 전략은 계속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까? 지금이 우리의 위기아닐까? 관심의 차원이 전국으로 확대되고, 개인의 관심과 몰입이 더 심화되어야 한다. 이제 세계가 인정하는 방역관리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국민의 참여가 더 필요하다. “나 하나 쯤이야 일탈한다고 문제가 될까?” 큰 댐은 아주 작은 구멍으로부터 붕괴된다. 코로나 19도 그렇게 시작되었다. 우리 앞의 큰 댐이 튼튼하게 살아있으면 좋겠다. 코로나 19 위기에 지금까지 잘 대응..
거의 한 달을 논문 작성에 보냈다. 많은 논문과 책을 다시 읽고 새롭게 알게 된 것도 있다. 담고 싶은 생각을 정리했다. 일상을 다르게 채워보자!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p=1630
창 밖을 보니 사회적 거리를 두는 두 개의 별 저 별은 너의 별 저 별은 나의 별 심리적 거리는 없다. 그거면 됐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p=1630
Charmaz의 연구 방향을 좋아하고 그녀의 연구방법론을 효과성 코칭 개발에 활용했지만, 상징적 상호주의 색채를 담은 그의 글들을 읽을 때면 가끔 머리를 아프게도 합니다. 이 학자를 좋아하는 이유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사람들의 세상사에 대한 관심을 분석할 때 그들과의 인터뷰 내용에 담긴 그들만의 세상 보기와 진실 또는 진정성을 존중하면서도 '중간 지점'에서 구성주의자로서 자신의 관점과 의미부여하는 입장을 견지하는데 있죠. 바로 나의 사고체계와 연구활동에서 가장 일치하는 점! 새 책을 써보려고 이것 저것 읽다가 눈길도 주지않았던 글을 읽어 봅니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p=1630
몇일 전부터 네이버 책에 ‘코칭방법론’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소개되고 있어서 기쁜 마음입니다. 관심과 응원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책이 코치의 전문성 강화와 새로운 사업기회 발굴과 확대에 도움되고, HR담당자, 전문상담사, 기업교육 전문가, HR컨설턴트, 예비코치, 코칭방법론을 연구하는 전문가에게 실용서로서 도움되길 소망합니다. -아침단상,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p=1630
“코칭이란 무엇인가?” 나만의 답 찾기와 탐구 활동의 기록! 이석재(2020). [코칭방법론]의 프롤로그 첫 문장 -아침단상,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