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코치올

효과성 코칭과 긍정심리학 코칭의 비교 분석 본문

3. 코칭심리연구/코칭심리 탐구

효과성 코칭과 긍정심리학 코칭의 비교 분석

생각파트너 이석재 2025. 11. 19. 10:58

Sukjae Lee Ph.D.

Creator of the Effectiveness Coaching Methodology

2025. 11. 19

 

Google Gemini's answer is as follows:

내용 중에 일부 수정과 보완이 필요한 경우 반영했습니다.

 

Effectiveness Coaching and Positive Psychology Coaching both aim for individual growth and development but differ in their fundamental philosophy, approach, methodology, and core coaching techniques.
1. Coaching Philosophy
  • Effectiveness Coaching: Focuses on maximizing 'effectiveness' for individuals to achieve their desired results. It concentrates on closing the gap between the current state and the goal state (desired outcome) and achieving specific results (Lee, 2014; 2023).
  • Positive Psychology Coaching: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human potential, strengths, well-being, and happiness. Rather than the pathological aspects, it aims to develop and utilize positive traits to enhance life satisfaction and promote 'optimal functioning' (S. Lee, 2023).
2. Approach
  • Effectiveness Coaching: Takes a goal-oriented and structured approach. It focuses on specific outcomes or behavioral changes and sometimes links organizational goals with individual goals.
  • Positive Psychology Coaching: Takes a strengths-based and holistic development approach. It emphasizes not only goal achievement but also building the client's psychological capital (resilience, optimism, etc.) and improving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3. Methodology
  • Effectiveness Coaching: Often follows unique and systematic models such as the 'Effectiveness Coaching Model' or '3S-FORM'. These models typically include components like:
    • F (Feedback): Collaboratively exploring areas for improvement or new endeavors in the coachee's current situation (Lee, 2006; 2014, 2024).
    • O (Opportunity): Helping the coachee find new perspectives on a problem and have opportunities to tentatively instill a challenging spirit through cognitive reframing (Lee, 2014; Lee & Lee, 2025) .
    • R (Reframe): Helpiing the coachee successuly make perspective change and take risks to move forward. Facilitating the setting of concrete action plans and execution toward a goal (Lee & Lee, 2025).
    • M (Move forward): Evaluating the results of actions and progress, and providing feedback to gain deep insights (Lee, 2014; Lee & Lee, 2024).
  • Positive Psychology Coaching: Utilizes Evidence-based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PPIs).
    • Applying the PERMA model (Positive emotions, Engagement, Relationships, Meaning, Accomplishment).
    • Using specific activities as methodology such as gratitude exercises, acts of kindness, and optimism training.
4. Important Coaching Techniques
  • Effectiveness Coaching:
    • Clear Goal Setting and Measurement: Supporting the setting of specific and measurable goals.
    • Action-Oriented Feedback: Providing concrete feedback for performance improvement.
    • Problem Solving and Action Planning: Identifying and overcoming obstacles.
  • Positive Psychology Coaching:
    • Strengths Identification and Utilization: Using tools like the VIA Inventory of Strengths to help clients discover and apply their strengths.
    • Cultivating Positive Emotions: Enhancing positive emotions through gratitude journaling, recalling positive experiences, etc.
    • Building Resilience and Optimism: Using techniques to build the ability to cope with difficulties.
    • Active Listening and Powerful Questioning: Essential for drawing out the client's potential.
Analysi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through Comparison
Category  Effectiveness Coaching  Positive Psychology Coaching
CoachingPhilosophy Results and performance-oriented, maximizing 'effectiveness' Enhancing human potential, strengths, happiness, well-being
Approach Goal-oriented, structured, focus on performance improvement Strengths-based, focus on holist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improvement
Methodology Based on unique models (e.g., 3S-FORM), problem-solving oriented Utilization of evidence-based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PPIs)
Key Techniques Clear goal setting, behavioral feedback, action planning Strengths coaching, gratitude/optimism training, cultivating positive emotions
Main Advantages Highly effective for rapid and specific result achievement, easy to align with organizational goals. Promotes sustainable and deep inner change, well-being, and motivation, applicable in various situations.
In conclusion,
  • Effectiveness Coaching is a very powerful tool when measurable external goal achievement is urgent, such as achieving specific business results or improving leadership capabilities.
  • Positive Psychology Coaching excels when aiming to boost the client's internal motivation, life satisfaction, and overall happiness level to pursue long-term and sustainable growth.
The two approaches can have the greatest synergy when used complementarily, and many coaches integrate both to provide coaching tailored to the client's needs.

 

References

 

Lee, Sukjae (2006). Develop 18 Core Leadership Competencies. Seoul: Kim & Kim Books.

Lee, Sukjae (2014). Effectiveness Coaching by a Business Psychologist. Seoul: Kim & Kim Books.

Lee, Sukjae (2019). Thought Revolution That Changes My Life. Seoul: Wildbooks.

Lee, Sukjae (2020). Coaching Methodology. Seoul: Korea Coaching Supervision.

Lee, Sukjae (2020). How to Use a Wandering Mind. Seoul: Plan B Design.

Lee, Sukjae (2023). Field-Focused Coaching Psychology. Seoul: Hakjisa.

Lee, Sukjae (2024). Coaching Psychology Class for Boosting Execution. Seoul: Hakjisa.

Lee, Sukjae (2024). Thinking Partner. Gyeonggi: Moa Books.

Lee, Sukjae & Lee, Jongseo (2025). Perspective Shift. Seoul: Parkyoungstory.

 

 

효과성 코칭 긍정심리학 코칭은 모두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목표로 하지만, 근본적인 철학, 접근법, 방법론, 주요 기술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1. 코칭 철학
  • 효과성 코칭: 개인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효과성'을 극대화하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현재 상태와 목표 상태(원하는 결과) 사이의 격차를 해소하고 구체적인 성과 달성에 초점을 맞춥니다.
  • 긍정심리학 코칭: 인간의 잠재력, 강점, 웰빙, 행복 증진에 초점을 맞춥니다. 병리적인 측면보다는 긍정적인 특성을 개발하고 활용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최적의 기능(optimal functioning)'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접근법
  • 효과성 코칭: **목표 지향적(Goal-oriented)**이고 구조화된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특정 성과나 행동 변화에 초점을 맞추며, 때로는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를 연계시킵니다.
  • 긍정심리학 코칭: 강점 기반(Strengths-based)  전인적 개발(Holistic development)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단순히 목표 달성뿐만 아니라, 내담자의 심리적 자본(회복탄력성, 낙관주의 등)을 구축하고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주력합니다. 
3. 방법론
  • 효과성 코칭: '효과성 코칭 모델(Effectiveness Coaching Model)'이나 '3S-FORM'과 같은 고유하고 체계적인 모델을 따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모델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합니다.F (Feedback): Collaboratively exploring areas for improvement or new endeavors in the coachee's current situation (Lee, 2006; 2014, 2024).
    • 통합적 접근과 증거기반의 코칭 설계: 개인과 팀, 조직의 효과성 연계를 고려한 코칭 설계와 코칭을 전개합니다.
    • 효과성 코칭 모델과 3M-FORM 행동변화 모델: 행동변화의 지속성을 높이는 코칭을 전개합니다.
  • 긍정심리학 코칭: **증거 기반의 긍정심리학 개입(Evidence-based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PPIs)**을 활용합니다.
    • PERMA 모델 적용 (긍정 정서, 몰입, 관계, 의미, 성취).
    • 감사 연습, 친절 행하기, 낙관주의 훈련 등 구체적인 활동을 방법론으로 사용합니다. 
4. 중요한 코칭 기술
  • 효과성 코칭:
    • 명확한 목표 설정 및 측정: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 설정 지원.
    • 행동 중심의 피드백: 성과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피드백 제공.
    • 문제 해결 및 실행 계획 수립: 장애물 식별 및 극복 전략 수립.
  • 긍정심리학 코칭:
    • 강점 식별 및 활용: VIA 성격 강점 검사 등을 활용하여 내담자의 강점 발견 및 적용 지원.
    • 긍정적 감정 함양: 감사 일기, 긍정적 경험 회상 등을 통해 긍정적 정서 증진.
    • 회복탄력성 및 낙관성 구축: 어려움에 대처하는 능력을 키우는 기술 사용.
    • 적극적 경청 및 강력한 질문: 내담자의 잠재력을 이끌어내는 데 필수적입니다. 
 
비교를 통한 특장점 분석
 
두 접근 방식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될 때 가장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으며, 많은 코치들이 이 두 가지를 통합하여 내담자의 필요에 맞춘 코칭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범주 효과성 코칭 긍정 심리학 코칭
코칭
철학  
결과 및 성과 중심의 '효과성' 극대화 인간 잠재력, 강점, 행복, 웰빙 증진
접근법 목표 지향적, 구조화된 성과 개선 초점 강점 기반, 전인적 성장 및 삶의 질 향상 초점
방법론 고유의 모델(예: 3S-FORM) 기반, 문제 해결 중심 증거 기반의 긍정심리학 개입(PPIs) 활용
주요
기술
명확한 목표 설정, 행동 피드백, 실행 계획 수립 강점 코칭, 감사/낙관성 훈련, 긍정 정서 함양
주요
장점  
신속하고 구체적인 성과 달성에 효과적이며, 조직 목표와 연계하기 용이함. 지속 가능하고 깊은 내면의 변화, 웰빙, 동기 부여를 촉진하며, 다양한 상황에 적용 가능함.
결론적으로,
  • 효과성 코칭은 특정 비즈니스 성과 달성이나 리더십 역량 향상과 같이 측정 가능한 외부적 목표 달성이 시급할 때 매우 강력한 도구입니다.
  • 긍정심리학 코칭은 내담자의 내적 동기 부여, 삶의 만족도, 전반적인 행복 수준을 높여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할 때 빛을 발합니다. 

 

참고문헌

 

이석재 (2006). 18가지 리더십 핵심역량을 개발하라. 서울: 김앤김북스.

이석재 (2014).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서울: 김앤김북스.

이석재 (2019).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서울: 와일드북.

이석재 (2020). 코칭방법론. 서울: 한국코칭수퍼비전.

이석재 (2020). 떠도는 마음 사용법. 서울: 플랜비디자인.

이석재 (2023).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

이석재 (2024).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서울: 학지사.

이석재 (2024). 씽킹 파트너. 경기: 모아북스.

이석재.이종서 (2025). 관점 전환. 서울: 박영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