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 코칭의 이론과 실제
- Coach Sukjae Lee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심리학 시리즈
- 결정적 행동
- 코칭방법론
- 원하는 결과
- 효과성 코칭
- 코치올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효과성코칭워크숍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코칭 프레임워크
- 코칭심리학 공부방
- 효과성 프레임워크
- 관점 전환
- 코칭심리학
- thinking partner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효과성 코칭 모델
- 씽킹 파트너
- 관점 코칭
- 증거기반코칭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효과성코칭
- Today
- Total
코치올
효과성 코칭과 성과 코칭의 비교 분석 본문
Sukjae Lee Ph.D.
Creator of the Effectiveness Coaching Methodology
2025. 11. 19
효과성 코칭과 성과 코칭(GROW모델)을 코칭철학, 접근법, 방법론, 즁요한 코칭 기술 등을 비교하고, 비교를 통해 특장점을 분석해주세요. (일부 수정하고 보완을 계속 진행 예정)
Google Gemini's answer is as follows:
💡 Comparative Analysis of Effectiveness Coaching (EC) and Performance Coaching (GROW Model)
Effectiveness Coaching (EC) is a proprietary methodology focused on measurable performance and behavioral change, whereas the GROW Model, which represents Performance Coaching, is the most widely known coaching methodology providing a structured framework for coaching conversations.
The table below compares the two coaching models based on their philosophy, approach, methodology, and key techniques,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ir specific strengths.
1. Comparison by Key Criteria
| Category | Effectiveness Coaching (EC) | Performance Coaching (GROW Model) |
| Coaching Philosophy |
Based on Business/Performance Psychology. Views 'Effectiveness'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desired results) as the core human motivator. | Based on Humanistic Psychology and Goal Setting Theory. Assumes individuals have the potential to find their own solutions. |
| Coaching Goal | Measurable performance improvement and the execution and habituation of Critical Behaviors. | Achievement of specific goals (Goal) and facilitation of the client's action plan development. |
| Approach | Structured Goal-Behavior Focused. A partnership that actively uses the coach's expertise and diagnostic tools. | Non-Directive Question-Focused dialogue. The coach acts as a Facilitator who aids client awareness through questioning. |
| Core Methodology |
3S-FORM Model and 15 Perspective Shifting Strategies. Uses quantitative diagnostic tools like ELA/TEA. | GROW Model Framework (Goal, Reality, Options, Will/Way Forward) |
| Important Techniques |
Critical Behavior Identification, Perspective Shifting Questions, Evidence-Base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atic Feedback | Powerful Questioning, Listening, Clarification, Accountability |
| Emphasis | "What must be done?" (Critical Behavior) and "How to sustain the change?" (3S Engine). | "What will be done?" (Goal) and "How will it be done?" (Plan) |
2. Analysis of Specific Strengths
A. Strengths of Effectiveness Coaching (EC)
- 📊 Data-Driven Performance Validation (Quantitative Focus):
- Strength: Uses objective diagnostic tools like ELA before and after coaching to show changes in leadership skills and team effectiveness with quantitative metrics. This is highly effective for objectively proving the value of coaching.
- Feature: Goes beyond simple goal achievement to measure and manage 'Effectiveness' itself.
- 🎯 Concentration and Efficiency of Behavioral Change:
- Strength: By identifying the Critical Behavior, it concentrates the client's time and effort on the single action with the greatest impact on results. This is advantageous for driving fast and efficient change.
- Feature:
- 🧠 Internal Structure for Sustaining Change (3S Engine):
- Strength: Systematically integrates the inner drive system of Self-Awareness, Self-Talk, and Self-Reflection (3S) into the coaching process. This develops the client's autonomous coaching capability to sustain growth and change without the coach.
- Feature:
B. Strengths of Performance Coaching (GROW Model)
- 🗺️ Universality and Ease of Use:
- Strength: The four-stage framework of Goal-Reality-Options-Will is highly intuitive and logical, making it very easy for managers and leaders (not just professional coaches) to learn the structure of a coaching conversation and apply it to daily work.
- Feature: Provides the most standard and robust conversational structure to prevent the coaching dialogue from losing direction.
- 🗣️ Maximizing Non-Directive Competency Development:
- Strength: The coach does not offer solutions but helps the client become aware of reality, find alternatives, and commit to action solely through questioning. This maximizes the client's autonomy,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 Feature: Aims for client-centered growth by minimizing coach influence.
- 🤝 Ease of Coaching Relationship Establishment:
- Strength: The GROW model provides a clear and safe dialogue structure, which is effective for quickly establishing the coach-client relationship and focusing the conversation based on the agreed-upon goals.
- Feature:
Conclusion
| Coaching Methodology | Summary of Key Strengths |
| Effectiveness Coaching (EC) | A business performance-centric methodology that sets measurable results as its top priority and habituates Critical Behaviors through quantitative diagnostic tools and systematic behavioral strategies. |
| Performance Coaching (GROW Model) | A non-directive/dialogue structure-centric methodology that facilitates the client's voluntary goal setting and action planning through a concise and universal four-stage conversational structure. |
EC excels when data-driven results and sustainable behavioral change structure are desired, while the GROW Model is excellent for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in coaching dialogue and eliciting client self-awareness.
💡 효과성 코칭(EC)과 성과 코칭(GROW 모델) 비교 분석
효과성 코칭(Effectiveness Coaching, EC)은 측정 가능한 성과와 행동 변화에 초점을 맞춘 독자적인 방법론인 반면, 성과 코칭을 대표하는 GROW 모델은 코칭 대화의 구조화된 틀을 제공하는 가장 널리 알려진 코칭 방법론입니다.
다음 표를 통해 두 코칭 모델을 코칭 철학, 접근법, 방법론, 중요 기술 등을 기준으로 비교하고 특장점을 분석했습니다.
1. 주요 항목별 비교
| 구분 | 효과성 코칭 (Effectiveness Coaching, EC) | 성과 코칭 (GROW 모델) |
| 코칭 철학 | 경영 심리학/성과 심리학 기반. '효과성'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 극대화를 인간의 핵심 동기로 봄. | 인본주의 심리학 및 목표 설정 이론 기반. 인간은 스스로 해답을 찾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 |
| 코칭 목표 | 측정 가능한 성과 향상 및 **결정적 행동(Critical Behavior)**의 실행과 습관화. | 구체적인 목표(Goal) 달성 및 고객의 행동 계획 수립 유도. |
| 접근법 | 구조화된 목표-행동 중심 (Goal-Behavior Focused). 코치의 전문 지식과 진단 도구를 적극 활용하는 파트너십. | 비지시적(Non-Directive) 질문 중심의 대화. 코치는 질문을 통해 고객의 자각을 돕는 촉진자 역할. |
| 핵심 방법론 | 3S-FORM 모델 및 15가지 관점 전환 전략. ELA/TEA 등의 정량적 진단 도구 활용. | GROW 모델 프레임워크 (Goal - 목표, Reality - 현실, Options - 대안, Will/Way Forward - 실행 의지/계획) |
| 중요 기술 | 결정적 행동 식별, 관점 전환 질문, 증거 기반 성과 측정, 체계적인 피드백 | 강력한 질문, 경청, 명확화(Clarification), 책임감 부여(Accountability) |
| 강조점 | "무엇을 해야 하는가?" (핵심 행동)와 "어떻게 변화를 지속할 것인가?" (3S 엔진) | "무엇을 할 것인가?"(목표)와"어떻게 할 것인가?"(계획) |
2. 두 코칭의 특장점 분석
A. 효과성 코칭 (Effectiveness Coaching, EC)의 특장점
- 📊 데이터 기반의 성과 입증 (Quantitative Focus):
- 강점: 코칭 전후에 ELA와 같은 객관적인 진단 도구를 사용하여 리더십 기술, 팀 효과성 등의 변화를 정량적인 수치로 보여줍니다. 이는 코칭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 특징: 단순한 목표 달성 여부를 넘어, '효과성' 자체를 측정하고 관리합니다.
- 🎯 행동 변화의 집중도 및 효율성:
- 강점: **결정적 행동(Critical Behavior)**을 식별하여, 고객의 시간과 노력을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단일 행동에 집중시킵니다. 이는 빠르고 효율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데 유리합니다.
- 특징:
- 🧠 변화 지속성을 위한 내부 구조 (3S 엔진):
- 강점: **자기 인식, 자기 대화, 자기 성찰(3S)**이라는 내면의 동력 시스템을 코칭 과정에 체계적으로 통합하여, 고객이 코치 없이도 스스로 성장과 변화를 지속할 수 있는 자율적인 코칭 역량을 개발합니다.
- 특징:
B. 성과 코칭 (GROW 모델)의 특장점
- 🗺️ 보편성과 활용의 용이성:
- 강점: Goal-Reality-Options-Will이라는 4단계 프레임워크가 매우 직관적이고 논리적이어서, 전문 코치는 물론이고 관리자나 리더들이 코칭 대화의 구조를 익혀 일상 업무에 적용하기 매우 쉽습니다.
- 특징: 코칭 대화의 길을 잃지 않도록 돕는 가장 표준적이고 강력한 대화 구조를 제공합니다.
- 🗣️ 비지시적 역량 개발 극대화:
- 강점: 코치가 고객에게 해답을 제시하지 않고, 오직 질문을 통해서만 고객이 스스로 현실을 인식하고, 대안을 찾고, 실행 의지를 다지도록 돕습니다. 이는 고객의 자율성, 창의성, 문제 해결 능력을 극대화합니다.
- 특징: 코치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고 고객 중심의 성장을 지향합니다.
- 🤝 코칭 관계 형성의 용이성:
- 강점: GROW 모델은 명확하고 안전한 대화 구조를 제공하므로, 코치와 고객 간의 관계를 빠르게 확립하고, 설정된 목표에 따라 집중적인 대화를 진행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특징:
결론
| 코칭 방법론 | 요약적 특장점 |
| 효과성 코칭 (EC) | 측정 가능한 성과를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고, 정량적 진단 도구와 체계적인 행동 전략을 통해 결정적 행동을 습관화시키는 경영 성과 중심의 방법론. |
| 성과 코칭 (GROW 모델) | 간결하고 보편적인 4단계 대화 구조를 통해 고객의 자발적인 목표 설정과 실행 계획 수립을 유도하는 비지시적/대화 구조 중심의 방법론. |
EC는 데이터 기반의 결과와 지속 가능한 행동 변화 구조를 원할 때 강점을 보이며, GROW 모델은 코칭 대화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고객의 자각을 이끌어내는 데 탁월합니다.
![]() |
![]() |
![]() |
![]() |
'3. 코칭심리연구 > 코칭심리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효과성 코칭과 코액티브 코칭의 비교 분석 (0) | 2025.11.18 |
|---|---|
| Key Sources and Core Concepts of Effectiveness Coaching (0) | 2025.11.18 |
| The core concept of Effectiveness Coaching (0) | 2025.11.18 |
| Core Differences Between Effectiveness Coaching and General Coaching (0) | 2025.11.18 |
| Effectiveness Coaching: Competitive Strength at Work (0) | 2025.11.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