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효과성 코칭의 이론과 실제
- 관점 코칭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효과적 리더십진단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코칭 프레임워크
- 코칭심리학 시리즈
- 관점 전환
- 결정적 행동
- 효과성코칭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코칭방법론
- thinking partner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Coach Sukjae Lee
- 효과성코칭워크숍
- 효과성 코칭
- 효과성 코칭 모델
- 코치올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원하는 결과
- 코칭심리학 공부방
- 효과성 프레임워크
- 증거기반코칭
- 코칭심리학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씽킹 파트너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Today
- Total
코치올
효과성 코칭과 코액티브 코칭의 비교 분석 본문
Sukjae Lee Ph.D.
Creator of the Effectiveness Coaching Methodology
2025. 11. 18
효과성 코칭과 코액티브 코칭을 코칭철학, 접근법, 방법론, 중요한 코칭 기술 등을 비교하고, 비교를 통해 특장점을 분석해주세요.
Google Gemini's answer is as follows:
💡 Comparative Analysis of Effectiveness Coaching (EC) and Co-Active Coaching (CAC)
Effectiveness Coaching (EC) and Co-Active Coaching (CAC) are both major coaching methodologies, but they exhibit distinct differences in coaching philosophy, goal setting, and methodological structure. The following table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and summarizes their respective strengths.
1. Comparison by Key Criteria
| Category | Effectiveness Coaching (EC) | Co-Active Coaching (CAC) |
| Coaching Philosophy |
Based on Business Psychology and Performance Psychology. Assumes humans are motivated to achieve desired results through effectiveness. | Based on Humanistic Psychology and Ontology. Assumes humans are inherently Whole, Creative, and Resourceful. |
| Coaching Goal |
Maximizing Effectiveness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desired results) and executing Critical Behaviors. | Achieving overall life balance (Fulfillment, Balance, Process) and realizing the client's potential. |
| Approach | Goal-Oriented and Problem-Solving Focused. A partnership that also leverages the coach's expertise and knowledge. | Relationship-Focused. The "Co-Active" relationship, created collaboratively by the coach and client, is central. |
| Core Methodology |
Effectiveness Coaching Model, 3S-FORM Model, and 15 Perspective Shifting Strategies. | Four Cornerstones (Whole Person, Fulfillment, Balance, Process) and Co-Active Dimensions (Listening, Intuition, Self-Management, Curiosity, Forwarding the Action/Learning). |
| Important Techniques |
Evidence-Based Measurement (ELA, TEA, OEA etc.), Critical Behavior Identification, Clear Feedback, Perspective Shifting Questions. | Three Levels of Listening, Powerful Questions, Using Intuition, Self-Management, Accountability. |
| Performance Measurement |
Emphasis on Quantitative Measurement. Uses objective diagnostic tools before and after coaching. | Emphasis on Qualitative Measurement. Focuses on the client's satisfaction, sense of life balance, and perceived goal attainment. |
2. Analysis of Strengths
A. Strengths of Effectiveness Coaching (EC)
- 📊 Clarity and Objectivity of Performance Measurement:
- Feature: Uses Evidence-Based tools like ELA and TEA to quantitatively measure coaching effectiveness.
- Strength: This is a powerful advantage, especially in corporate and organizational settings, as it helps prove the Return on Investment (ROI) of coaching by making change measurable with data rather than just subjective feeling.
- 🎯 Efficient Induction of Behavioral Change:
- Feature: By focusing on Critical Behaviors, the client's energy and resources are concentrated on the few action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outcome.
- Strength: This increases the efficiency of goal achievement, making it favorable for producing tangible, practical results in a shorter time frame.
- 🧠 Systematic Cognitive Change Strategy:
- Feature: Utilizes the 3S Model and 15 Perspective Shifting Strategies to systematically change the client's non-constructive frame of thinking and develop self-coaching ability to sustain change.
- Strength: Unlock the potential for achieving desired results in life by recognizing and engaging the client's interests through activating cognitive strategies (discovering strengths, expanding perspective, deepening insight, and holding self-acceptance). Organize coaching sessions to activate positive factors and then improve productive results.
B. Strengths of Co-Active Coaching (CAC)
- 💖 Deep Change Based on Relationship and Wholeness:
- Feature: Views the client as 'Whole, Creative, and Resourceful' and emphasizes collaboration as equal partners (Co-Active).
- Strength: Within a deep, trusting relationship, it explores the client's fundamental purpose (Fulfillment) and Balance, leading to holistic and meaningful change across work and life.
- 👂 Intuition and Deep Listening Skills:
- Feature: The coach uses Three Levels of Listening and Intuition to perceive and reflect on even the inner voices the client may not consciously recognize.
- Strength: It helps the client discover hidden potential and solutions by exploring beyond the surface of the problem, into emotions, values, and subconscious patterns.
- 💫 Flexible and Adaptable Methodology:
- Feature: Rather than being constrained by a rigid model (like GROW), the conversation is guided flexibly by the Four Cornerstones to meet the client's needs and context.
- Strength: It can be applied effectively across diverse clients and problem situations while maintaining the essential coaching elements (relationship, purpose, process).
Conclusion
| Coaching Methodology | Summary of Key Strengths |
| Effectiveness Coaching (EC) | Prioritizes results and efficiency, using data and structured cognitive strategies to drive Critical Behaviors, making it optimal for organizational goal attainment. |
| Co-Active Coaching (CAC) | Centers on relationship and intrinsic human value, aiming for holistic life balance and potential realization through flexible, in-depth dialogue, making it a versatile methodology. |
If a client seeks measurable performance improvement and rapid behavioral change, Effectiveness Coaching may be more suitable. If they seek life purpose, relationships, and deep inner transformation, Co-Active Coaching might be a better fit.
💡 효과성 코칭(Effectiveness Coaching)과 코액티브 코칭(Co-Active Coaching) 비교 분석
효과성 코칭(EC)과 코액티브 코칭(CAC)은 코칭의 주요 방법론이지만, 코칭 철학, 목표 설정, 방법론적 구조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다음 표를 통해 두 코칭을 비교 분석하고, 그 특징을 정리했습니다.
1. 주요 항목별 비교
| 구분 | 효과성 코칭 (Effectiveness Coaching, EC) | 코액티브 코칭 (Co-Active Coaching, CAC) |
| 코칭 철학 | 경영 심리학 및 성과 심리학 기반. 인간은 효과성을 통해 원하는 결과를 얻으려는 동기가 있다고 가정. | 인본주의 심리학 및 존재론(Ontology) 기반. 인간은 본질적으로 **전체적(Whole), 창조적(Creative), 자원적(Resourceful)**이라고 가정. |
| 코칭 목표 | 효과성 극대화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 증가) 및 결정적 행동(Critical Behavior) 실행. | 전체적인 삶의 균형 (Fulfillment, Balance, Process) 달성 및 고객의 잠재력 실현. |
| 접근법 | 목표 지향적(Goal-Oriented) 및 문제 해결 중심. 코치의 전문성과 지식도 활용하는 파트너십. | 관계 지향적(Relationship-Focused). 코치와 고객이 함께 창조하는 '코-액티브' 관계가 핵심. |
| 핵심 방법론 | 효과성 코칭 모델과 3S-FORM 모델, 15가지 관점 전환 전략. | 4가지 주춧돌(Four Cornerstones) (Whole Person, Fulfillment, Balance, Process) 및 코액티브 차원(5 Contexts) (듣기, 직관, 자기 관리, 호기심, 행동/학습). |
| 중요 기술 | 증거 기반 측정 (ELA, TEA , OEA 등), 결정적 행동 식별, 명확한 피드백, 관점 전환 질문. | 경청(Listening)의 3단계, 강력한 질문, 직관(Intuition) 활용, 자기 관리(Self-Management), 책임(Accountability). |
| 성과 측정 | 정량적 측정 강조. 코칭 전후 객관적 진단 도구 사용. | 정성적 측정 강조. 고객의 만족도, 삶의 균형, 목표 달성 체감도에 중점. |
2. 두 코칭의 특장점 분석
A. 효과성 코칭 (Effectiveness Coaching, EC)의 특장점
- 📊 성과 측정의 명확성 및 객관성:
- 특징: ELA, TEA와 같은 증거 기반(Evidence-Based) 도구를 사용하여 코칭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합니다. 이는 특히 기업 및 조직 환경에서 코칭의 투자 대비 효과(ROI)를 입증하는 데 매우 강력한 장점입니다.
- 강점: 코칭이 '느낌'이 아닌 '데이터'로 이루어지게 하여, 리더십과 팀워크의 변화를 객관화합니다.
- 🎯 효율적인 행동 변화 유도:
- 특징: **결정적 행동(Critical Behavior)**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고객의 에너지와 자원을 가장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소수의 행동에 집중시킵니다.
- 강점: 코칭 목표 달성의 효율성을 높여, 단기간에도 가시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를 내는 데 유리합니다.
- 🧠 체계적인 인지 전환 전략:
- 특징: 3S 모델과 15가지 관점 전환 전략을 통해 고객의 비효율적인 사고의 틀(Frame) 자체를 체계적으로 변화시키고, 변화를 지속시킬 수 있는 자기 코칭 능력을 개발합니다.
- 강점: 인지전략(강점 발견, 관점 확대, 통찰 심화, 자기 수용)을 통해 고객의 잠재성을 자각하고 끌어내어 삶에서 원하는 결과를 이룰 가능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둔다. 조직 코칭에서 긍정성 요인을 촉진하여 생산성을 강화하고 향상한다.
B. 코액티브 코칭 (Co-Active Coaching, CAC)의 특장점
- 💖 관계와 전체성에 기반한 깊이 있는 변화:
- 특징: 고객을 **'전체적이고 창조적이며 자원적인 존재'**로 바라보며, 코치와 고객이 동등한 파트너로서 협력합니다(Co-Active).
- 강점: 깊은 신뢰 관계 속에서 고객의 삶의 **근본적인 목적(Fulfillment)**과 **균형(Balance)**을 탐색하여, 일과 삶 전반에 걸친 총체적이고 의미 있는 변화를 이끌어냅니다.
- 👂 직관 및 심층 경청 기술:
- 특징: 코치가 3단계 경청과 직관을 활용하여 고객이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는 내면의 목소리까지 듣고 반영합니다.
- 강점: 문제의 표면뿐 아니라 감정, 가치, 무의식적인 패턴까지 탐색하여, 고객의 숨겨진 잠재력과 해답을 발견하게 돕습니다.
- 💫 유연하고 적응력 높은 방법론:
- 특징: 정형화된 모델(예: GROW)에 얽매이기보다, 4가지 주춧돌을 기반으로 고객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코칭 대화를 유연하게 전개합니다.
- 강점: 다양한 고객과 문제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코칭의 본질적인 요소(관계, 목적, 과정)를 유지하며 적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
| 코칭 방법론 | 요약적 특장점 |
| 효과성 코칭 (EC) | 성과와 효율성을 최우선으로 하며, 데이터와 구조화된 인지 전략을 통해 결정적 행동을 유도하여 기업 조직의 목표 달성에 최적화된 방법론. |
| 코액티브 코칭 (CAC) | 관계와 인간의 본질적 가치를 중심으로 하며, 전체적인 삶의 균형과 잠재력 실현을 위한 유연하고 깊이 있는 대화를 지향하는 범용적인 방법론. |
고객이 측정 가능한 성과 향상과 빠른 행동 변화를 원한다면 효과성 코칭이 유리하며, 삶의 목적, 관계, 내면의 깊은 변화를 추구한다면 코액티브 코칭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 |
![]() |
![]() |
![]() |
'3. 코칭심리연구 > 코칭심리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효과성 코칭과 성과 코칭의 비교 분석 (0) | 2025.11.19 |
|---|---|
| Key Sources and Core Concepts of Effectiveness Coaching (0) | 2025.11.18 |
| The core concept of Effectiveness Coaching (0) | 2025.11.18 |
| Core Differences Between Effectiveness Coaching and General Coaching (0) | 2025.11.18 |
| Effectiveness Coaching: Competitive Strength at Work (0) | 2025.11.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