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칭심리학
- 효과적 리더십진단
- 효과성 코칭 모델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효과성코칭
- 원하는 결과
- 조직효과성진단
- 자기인식
- 증거기반코칭
- 효과성 코칭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이석재 코치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코칭심리학 워크북
- 코치올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 코칭방법론
- 개인코칭
- 팀효과성진단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생각 파트너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증거기반 코칭사례분석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생각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코칭워크숍
- 조직코칭
- Today
- 53
- Total
- 168,798
목록GROW모델 (2)
코치올

코칭의 대표적인 프레임워크는 GROW모델이죠. 이 모델에서 코칭과 상담/심리치료의 주된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흔히 당면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으려는 경우 ‘현황분석’ 즉, 그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우리가 처한 상황을 분석합니다. 그런데 GROW모델을 보면 현실체크를 하는 R을 먼저하지 않고 불분명한 미래 목표를 설정하는 G를 먼저합니다. 왜 그럴까요? 상담과 심리치료는 어떻게 접근했을까요? R을 먼저 취하면서 문제의 원인분석에 집중할 것입니다. 내담자의 과거를 보죠. 코칭은 미래의 관점을 먼저 취하고 그 시선으로 현재의 R을 봅니다. 미래-현재, 바로 코칭의 관점 영역입니다. 이러한 시선이 당시 사람들의 통념에서는 혁신적인 발상이죠. 이러한 접근과 가장 유사한 것은 해결중심 단기치료입..

티모시의 inner game에도 코칭 프레임워크coaching framework가 있다. 기업 현장에서도 활용되었지만 알렉산더는 티모시의 창의적 발상이 스포츠를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주목했다. “티모시의 생각을 비즈니스 영역에 도입한다면, 가능한 코칭 프레임워크는 무엇일까?” 결국 그는 GROW모델을 개발했다. 휘트모어는 2009년 한 기고의 글에서 "Contrary to what many think, I did not 'invent' the GROW' model."(27쪽)라고 말했다. 휘트모어는 GROW모델을 대중에게 널리 알렸다. 나는 알렉산더가 GROW모델을 처음 개발했던 그 과정을 알고 싶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