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조직효과성진단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증거기반코칭
- 조직코칭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효과성코칭워크숍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팀효과성진단
- 코치올
- thinking partner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생각 파트너
- 이석재 코치
- 원하는 결과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코칭심리학 시리즈
- 효과성 코칭
- 코칭 프레임워크
- 결정적 행동
- 씽킹 파트너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효과성코칭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코칭방법론
- 코칭심리학
- Today
- Total
목록현장중심 코칭심리학 (74)
코치올

코칭 고객과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누다 보면 그가 '원하는 결과를 얻는 방식을 만드는 과정'을 간파할 수 있죠. 코치는 그 내용을 고객이 인식하도록 돕고 그 방식을 완성하도록 코칭 대화를 전략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그 방식을 통해 더 나은 결과를 얻도록 돕습니다. 코치의 중요한 역할이죠.-생각 파트너 이석재

“코치의 질문은 만드는 것인가 아니면 떠오르는 것인가?”둘 다 가능하지만, 변화와 혁신을 만드는 강력한 질문은 떠오르는 것이라고 생각하죠. 의도하지 않은 질문! 고객과 코치의 질적 관계를 포함한 프레즌스의 상태에서 질문은 저절로 떠오르죠. 떠오르는 질문일수록 고객에게 아하 모멘트를 줍니다. 떠오르는 질문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1) 고객의 말을 깊게 경청하는 것입니다. 코치는 경청한 만큼 질문할 수 있습니다. 2) 코치의 호기심, 직관과 알아차림 같은 심리작용이죠. 이러한 심리는 코치가 고객과 깊은 연결 상태에서 작동합니다. 높은 수준의 신뢰관계가 만드는 연결성이 떠오르는 질문의 토대입니다. 3) 메타인지입니다. 고객의 생각에 대한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고객이 말하는 다양한 생각들(do..

전체 논리와 구성이 확정되니 아무래도 원고를 완성한 ‘리더십 코칭심리학’보다 ‘관점 전환 코칭심리학’을 빨리 집필해 먼저 출간하고 싶네요. 지난 20여 년의 코칭 경험과 심리학적 탐구가 생각 파트너를 더 매혹하는군요. 신간을 출간 후 갑자기 피로가 몰려들어 며칠은 푹 쉬려고 합니다. 머리속으로만 원고를 써야겠습니다. 내면의 긍정 에너지를 키우는 것이 삶의 역경을 이겨내는 심리적 자원을 확보하는 방법이며 길입니다.* 현장중심 코칭심리학(이석재, 2023) 특강 동영상 컷-생각 파트너 이석재

‘관점전환 코칭심리학’의 책 원고를 300쪽 이상 작성했는데 틀을 바꾸면서 220쪽만 살아 남았네요. 이제 책의 기본 구성은 만들어졌고 글의 논리에 대한 심리학 이론과 실험연구 결과, 코칭사례 등을 증거로 추가해야죠. 기존 책과는 좀 색다르게 구성했습니다. 신국판으로 330쪽 분량이 되도록 집필하려고 합니다. 일단 이 책을 쓰면 코칭심리학 시리즈는 1차 종결입니다.-생각 파트너 이석재 효과성 코칭 이론의 관점에서 중요한 코칭 주제(실행력, 리더십, 관점전환 등)를 탐구한 책을 시리즈로 출간합니다. 특히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2014)을 삶의 현장에서 검증하고 수정한 내용을 책에 담습니다. 3가지 코칭 프레임워크 요소에 대한 각론을 다루는 책을 쓰고 있습니다.-생각 파트너 이석재

지난 달(20240425) 왕효분 코치님의 도움으로 고려사이버대학에서 ‘현장중심 코칭심리학’을 주제로 한 특강 동영상을 촬영했습니다. 여러 컷을 캡쳐해서 보내주셨네요. 생각 파트너가 개발한 ‘효과성 코칭 이론’을 효과성 프레임워크(effectiveness framework)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네요. 자료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억으로 남겨둡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시리즈의 세 번째 책인 ‘관점전환 코칭심리학’ 원고를 총 2부 6장으로 집필하고 있죠. 각 장은 핵심 개념과 원리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데 각 장의 구성이 어수선했었죠. 어제와 오늘 그 해답을 찾았습니다. 이제 빈 공간을 채우면 됩니다. 전체 원고를 완성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글쓰기 원칙, 과유불급을 준수합니다. 1. 이석재(2023).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2. 이석재(2024).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서울: 학지사.3. 리더십 코칭심리학- 총 2부 6장으로 전체 원고 작성 마침. 윤문 증4. 관점전환 코칭심리학- 총 2부 6장으로 집필 중5. 코칭학 개론: 총 3부 10장으로 집필 중 -생각 파트너 이석재

툭하면 그림을 그려봅니다. 이번 주에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시리즈' 3종 중에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이 5월 7일(화) 인쇄를 완료했습니다. 내년 상반기까지 나머지 2권(리더십 코칭심리학, 관점전환 코칭심리학)이 출간되길 기대합니다. 생각 파트너가 마음속에 품고 있던 소망을 1차 완성하게 될 것입니다. 물론 코칭심리학 시리즈는 다른 주제로 계속 집필하려고 합니다. 1. 이석재(2023).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2. 이석재(2024).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서울: 학지사.3. 리더십 코칭심리학- 총 2부 6장으로 전체 원고 작성 마침 4. 관점전환 코칭심리학- 총 2부 6장으로 집필 중5. 코칭학 개론: 총 3부 10장으로 집필 중 -생각 파트너 이석재

다음 주에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책이 인쇄를 마치죠. ‘리더십 코칭심리학’은 전체 원고를 마친 상태; ‘관점전환 코칭심리학’의 원고 초안은 300쪽 정도 썼지만 아직 구성이나 내용이 어수선한 상태입니다. 기본서(현장중심 코칭심리학)와 각론서(3종)의 체계가 잘 갖추어져야 합니다. 통합적이며 시스템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집필한 모든 책들의 요체가 ‘코칭학 개론’의 일부가 될 예정입니다. 따라서 각론을 다루는 책은 독립적이면서도 큰 틀에서 서로 연계되어야 합니다. 상호연계는 다음과 같은 접근과 논리로 확보됩니다. 집필한 각 책들은 dots입니다. Connecting the dots 하는 ‘핵심논리’를 새책을 집필할 때마다 기본 틀로 사용합니다. 책을 쓰면서 그 논리체계를 탄탄하게 만들 것입니..

2002년 코칭에 입문한 후 꼭 하고 싶었던 것은 '코칭 이론(이론)-연구와 전략(코칭방법론)-나만의 코칭 이론(현장)'을 완성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론과 현장이 항상 일치하지 않죠. 방법론은 이론과 현장의 연결을 탐구하고 전략을 개발하는 사고 틀이죠.1) 맨 왼쪽에는 '코칭학 개론'이 있으면 좋은데 아직 추진을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12가지 코칭 관련 심리학 이론을 범주화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물로 현장중심 코칭심리학>(이석재, 2023)을 출간했습니다.2) 가운데 코칭 연구와 전략에는 '코칭방법론'이 있어야겠죠. 코칭방법론>(이석재, 2020)을 출간했는데 개정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코칭의 주요 개념을 코칭방법론으로 다루는 책으로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이석재, 2024)을 먼저 집필했..

지금까지 생각 파트너가 탐구한 심리 주제는 ‘효과성을 추구하는 인간’에 대한 것이죠. 효과성을 정의하고 효과성의 심리적 작동 원리를 탐구합니다. 삶에서 드러나고 관찰할 수 있는 현상을 객관화합니다. 사람들의 살아가는 모습을 효과성의 논리로 예측하고 설명합니다. 효과성 코칭을 통해 사람들이 ‘원하는 결과‘를 얻도록 도움 주려고 합니다.요즘 생각 파트너는 '현장중심 코칭심리학'(이석재, 2023)을 통해 원하는 결과를 만드는 코칭 프레임워크를 제시했습니다. 요즘 다음과 같은 3가지 구성 요소에 대한 각론의 책을 쓰고 있습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