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효과성 코칭
- 코치올
- 코칭심리학
- 조직코칭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원하는 결과
- 효과성코칭
- 조직효과성진단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코칭워크숍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thinking partner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씽킹 파트너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증거기반코칭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생각 파트너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결정적 행동
- 코칭심리학 시리즈
- 코칭방법론
- 코칭 프레임워크
- 팀효과성진단
- 이석재 코치
- Today
- Total
목록코치올 (220)
코치올

떠도는 마음에 내가 진정 원하던 것이 있다. 코치가 코칭 고객으로 하여금 자신의 무한한 잠재성을 자각하고 끌어내어 사용하도록 도울 때, 잠재성 중의 하나는 바로 ‘떠도는 마음’이다. 자기 자신과 가장 밀접하게 연결된 마음이죠. 오늘도 글 쓰기를 하다가 내 안에서 맴돌던 마음에서 답을 찾았다. 새롭게 써야 할 글의 주제가 손에 잡혔다. 다양한 이야기 거리를 가지고 있었으면서도, 최근에 확정한 목차 구성에 묶여 있었다. 문제해결적인 사고에서 한 발 물러나서 내 내면에 주의를 기울였죠. 전두엽의 작동을 멈추게 했을 때, DMN이 작동했네요. 비로소 나와 만날 수 있었습니다. 실행의 세계(doing)에서 존재의 세계(being)로 옮겨간 것이죠.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s://thinkingpart..

누군가 “그동안 뭘 하며 사셨나?”라고 묻는다면, “효과성으로 세상 보기를 했네요.”라고 말하겠습니다. 효과성의 개념 체계와 심리학적 작동원리를 탐구했죠. 효과성코칭이론 만들기, 내가 원하는 삶의 방식입니다. 남은 여생도 그리하겠네요. * 효과성의 개념과 이론에 대한 참고도서: 이석재(2023).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 오늘(1/5) 오전에 새책을 편집할 담당자와 소통을 했습니다. 담당자가 정해지고 출판 일정도 윤곽이 잡혔습니다. 바로 지금 이 순간이 2024년의 시작입니다. 오타 제로를 지향하며 멋진 책을 만들고 싶습니다. 단독 저서로는 7번째, 공저와 번역서를 포함하면, 13번째네요. 그동안 연구보고서, 국내외에 기고한 학술논문, 신문기사, 동향분석, 학술발표 자료 등의 많은 글을 ..

기존의 코칭심리학은 주로 심리학의 관점에서 코칭 현상을 연구하고 설명합니다. 현장중심 코칭심리학(이석재, 2023)은 코칭 시각에서 코칭심리학 이론에 내재한 코칭 프레임워크와 원리를 분석했습니다. 이제 주제별로 탐구합니다. 그 결과를 책으로 씁니다. 1차 결과물이 곧 나옵니다. 시리즈로 집필합니다. 이러한 결과들이 증거기반으로 검증되면, 코칭학이 정립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코칭이 독립 학문이 되려면, 코칭학이 있어야겠죠. 이 과정에서 챙겨야 할 삶의 태도는 과유불급! 실천행동은 소식과 건강한 식사, 가벼운 운동과 숙면하기!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목표를 설정하고 최선을 다하려고 합니다. 2024년의 출간 목표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고 생각하죠. 상반기 시리즈 1은 출판사에서 편집이 진행 중이고, 하반기에 출간하고 싶은 시리즈 2는 총 2부 8장이 현재의 구성입니다. 책 원고의 초안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이 시리즈 도서를 통해 코칭심리학에 관심을 가진 분들이 심리학뿐만 아니라 '현장중심 코칭심리학'(이석재, 2023)의 접근과 같이 코칭 시각에서도 탐구하도록 도우려 합니다. 2025년에 출간 할 시리즈 3과 시리즈 4도 핵심 개념과 콘셉트를 잡았습니다. 목차는 얼추 잡아둔 상태입니다. 책 쓰기는 처음에 의욕 넘치다가, 포기 상태로 곤두박질하죠. 결국 회복탄력성의 힘으로 부활합니다. 한겨울에 손난로처럼 코칭심리학에 대한 책 쓰기 열정을 품어봅니..

2016년부터 구상해 올해 준비한 선물이 있죠. 내가 나에게 주는 특별한 것입니다. 그 선물은 출판사가 2주 이내에 조판본을 만들어 내게 보내줄 1차 교정지입니다. 2024년은 그 기다림으로 시작합니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학지사 홈페이지에서 ‘현장중심 코칭심리학’을 신간(NEW)에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즘은 아주 작은 것이라도 봐서 즐겁고 기쁘면 마냥 좋습니다. 긍정 에너지 모으기죠.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s://thinkingpartner.co.kr ::: 학지사는 깨끗한 마음을 드립니다. ::: www.hakjisa.co.kr

최근 작성하고 있는 새책에 대한 출판계약을 했습니다. 꼭 쓰고 싶은 책입니다. 내년 상반기 안에 출간될 예정입니다. 그동안 쓰고 싶은 내용을 독자 관점에서 읽고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마무리 지을 예정입니다. 열심히 준비하여 멋진 책으로 뵙겠습니다. 책을 출간하도록 허락하신 출판사 사장님과 이사님, 관계자 분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어떻게 행동변화가 일어나는 것일까? 코치는 행동변화를 끌어내는 코칭전략(inside-out coaching strategy)으로 FORM 프로세스를 작동합니다. 행동변화 코칭모델의 바깥 부분(FORM)을 담당하죠. 이때 코칭고객은 수동적으로 코칭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인 태도와 행동을 보여야 합니다. 바로 행동변화를 끌어가는 코칭전략(assertive self-coaching strategy)을 주도해야 합니다. 행동변화 코칭모델의 안쪽 부분(3S)입니다. 마치 의사는 치료를 하고 환자는 치유를 하는 것과 같습니다. 흔히 코칭에서 줄탁동시(啐啄同時)를 말하죠. 그 의미는 바로 코치와 코칭고객이 코칭 장면에서 어떤 역할을 분담하고 상호협력하는 지를 말하는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도서를 참..

내 생각을 도식화하는 훈련은 박사과정 때 탄탄해졌죠. 당시 이런 저런 실험실 연구를 구상하고 진행하면서 지도교수와 토론 기회를 많이 가졌습니다. 그분은 다른 지도학생들 보다 더 많은 1:1 멘토링 시간을 허락하셨죠. 내 생각을 주절주절이 엮어서 말하면, 그분은 “지금 생각을 그려볼래?”라고 요청했죠. 이 간단한 질문이 나의 복잡한 생각을 ‘프레임워크(framework)’로 간결하게 정리하는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제는 습관이 되었죠. 어떤 생각이 떠오르면, 그 생각을 말로 하고 글로 쓰고 표로 작성해 보고, 그림으로도 그려봅니다. 머리 속으로도 하고 객관적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수없이 반복해서 말이죠. 다양하게 표현하고 구성하고 재구성합니다. 어느 순간 기존의 생각이 명료해집니다. SNS는 이러한 습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