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효과성 코칭 모델
- 코칭심리학 시리즈
- 효과성코칭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팀효과성진단
- 코칭방법론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적 리더십진단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증거기반코칭
- 관점 전환
- 관점 코칭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효과성 코칭
- 씽킹 파트너
- 코치올
- 효과성 프레임워크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코칭 프레임워크
- 효과성코칭워크숍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코칭심리학 공부방
- thinking partner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코칭심리학
- 원하는 결과
- 조직코칭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결정적 행동
- Today
- Total
목록존재와 실행 (5)
코치올

1. 생각 파트너의 일반적인 접근은 코칭 고객이 처한 맥락을 토대로 오른손-왼손 코칭 기술을 사용하죠. 이를 통해 코칭 고객(이하 고객)이 스스로 자신의 삶을 실행(doing)측면에서 살펴보도록 합니다. 이때 고객은 시선을 밖에 두고 있죠. 고객의 전두엽(뇌)이 활성 된 상태이며 평소 습관적인 문제해결 방식에 의존한 현실인식을 합니다.2. 생각 파트너는 현재 상태를 탐색하도록 합니다. 고객은 떠오르는 생각을 생각 파트너와 공유합니다. 이어서 두 손에 올려진 삶의 주제가 자신의 몸통과 이미 연결되어 있다는 자각(알아차림)을 하도록 돕죠. 실행 중심(doing)의 방식을 존재 중심(being)으로 관점 전환을 돕는 것이죠. 이때 고객은 울림(resonance)을 경험합니다. 내적 심리변화입니다.3. 생각..

지난 3월 30일에 진행한 특강 자료를 공유합니다. 생각 파트너의 삶을 토대로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참고 도서: 이석재(2023).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 121~123쪽. '삶의 목적관리 매트릭스'(이석재, 2021)로 원하는 삶을 살아라! 어떤 삶을 살 것인가? 생각 파트너는 "존재 중심과 실행 중심의 삶이 균형 잡히고, 존재가 실행을 촉진시키는 삶을 추구합니다". 관련하여 궁금하신 분은 생각 파트너의 생각을 소개한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코칭의 새로운 핵심 개념: Being과 Doing thinkingpartner.co.kr/652 코칭의 새로운 핵심 개념: Being과 Doing 2020년 ICF 8가지 코칭역량에서 새롭게 도입된 핵심 개념은 존재being와 실행doing..

2020년 ICF 8가지 코칭역량에서 새롭게 도입된 핵심 개념은 존재(being)와 실행(doing)의 개념입니다. 효과성 코칭의 기저에는 두 개념이 근간입니다. 나는 우리에게 두 개의 세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우리의 시선을 밖에 둘 때 만나는 실행의 세계와 안으로 둘 때 만나는 존재의 세계있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저의 신간 '코칭방법론'이나 다음 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두 개념이 코칭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2015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6년째를 맞이한 효과성 코칭 워크숍(개인코칭, 조직코칭)에 참가하여, 깊은 의미를 탐구해 보시기 바랍니다. ★ 존재와 실행의 개념과 코칭적 활용에 대해 참고할 도서 1. 이석재(2023).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 2. ..

조직 변화를 만드는 코칭, 어떻게 할 것인가? 코칭 리더십을 통한 조직 효과성 향상은 조직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실행과 존재의 균형 리더십이며, 존재를 통해 실행을 촉진시키는 인간 중심의 경영이다. 신간 [코칭방법론] 209쪽에서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

“당신의 존재감은 무엇입니까?” 효과성 코칭 모델과 이론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존재’being와 ‘실행’doing의 관계를 개념화하는데 여러 해를 보냈습니다. 사회심리학자로서 존재감presence의 자리에 자기self 또는 자기존중감self-esteem을 대체할 수도 있지만, 코칭의 관점에서 존재감을 선택했습니다. 이 개념은 지금 여기here and now에서 자기 자신을 자연스럽게 인식하는 주체의 모습이며, 사회적 관계에서 타인이 지각한 내용의 질적 속성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심리학 기반으로 효과성 코칭의 이론을 체계화하는 한 예입니다. 신간 [코칭방법론] 47쪽 -아침단상,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