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치올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방법론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조직코칭
- 팀효과성진단
- 코칭심리학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생각 파트너
- 씽킹 파트너
- 코칭심리학 시리즈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효과성코칭워크숍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코칭 프레임워크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코칭심리학 공부방
- 효과성 코칭
- 조직효과성진단
- 증거기반코칭
- thinking partner
- 원하는 결과
- 효과성코칭
- 결정적 행동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이석재 코치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Today
- Total
목록3. 코칭심리연구 (499)
코치올

요즘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워크북을 만드느라 컴퓨터 파일을 열어 보니 2002년부터 차곡차곡 쌓아둔 코칭도구들이 있네요. 아래 사진은 LA-28-1이란 이름으로 2013년에 어느 워크숍에서 사용한 것 같습니다. 100개 이상 고유한 자기 순번을 갖고 정리되어 있네요. 순간 해당 툴을 사용한 코칭사례들의 코칭일지가 떠올랐습니다. “이러한 코칭상황과 주제에서는 이런 툴을 사용해 보세요.” 이런 코칭 책을 써보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어떤 분이 질문을 주셨습니다. '개인적 성장'과 '경력개발/관리'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요? 생각 파트너의 생각은 이렇습니다. "경력개발/관리는 개인의 삶에서 직업이나 개인목표를 달성하기위한 것으로 일(doing)의 영역에서 사용하는 개념이라면, 개인적 성장은 개인의 잠재성을 발..

그동안 코칭은 코치의 개인적인 신념이나 지식과 경험에 기초한 프랙티스(practice) 중심이었습니다. 이제 코칭은 프랙티스를 넘어 이론과 사회과학적 방법론에 의해 검증된 증거기반코칭(evidence-based coaching)으로 발전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코칭은 인간에게 제공되는 전문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아침단상, 생각 파트너 이석재 #코칭심리학공부방,#증거기반코칭,#증거기반코칭사례분석,#효과성코칭워크숍

지난 2002년 코칭을 시작하면서 코칭 연구자이며 실행자가 되고자 하는 성장 노력의 결과물입니다. 현재 모습이죠. https://mewemind.com/24 -생각 파트너 이석재 #코칭심리학공부방,#증거기반코칭,#증거기반코칭사례분석,#효과성코칭워크숍

메모지에 ME를 쓴 후 가슴에 붙여 보세요. 그리고 가슴에 있는 메모지를 내려다 보세요. 보이는 것은? 그렇습니다. 미위마인드(MEWEMIND)는 '내 안에 우리가 있다'는 공동체 의식을 토대로 생각을 나누고 교학상장하는 공간입니다. 개인심리학의 창시자 아들러(Alfred Adler)는 독특성에 따른 개인적 관심에서 사회적 관심으로 의식을 확장하고, 공동체 감각으로 사는 삶을 가치있게 여겼지요. 생각 파트너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삶의 가치(생각나눔, 교학상장)와도 연결되어, 미위마인드 방을 만들었습니다. 어떻게 꾸미면 좋을 지에 대해 의견을 들려주셔도 좋습니다. https://mewemind.com -생각 파트너 이석재 #코칭심리학공부방,#증거기반코칭,#증거기반코칭사례분석,#효과성코칭워크숍

컴퓨터 파일을 뒤지다 보니 지난 2012년에 코칭모델을 개발하면서 정리했던 자료가 있네요. 당시에 인지행동적 코칭에 관심을 갖고 증거기반코칭evidence-based coaching을 시도할 때입니다. 기본적인 준실험적 설계를 주로 할 때였습니다. 한국코치협회에서 발표했군요. -아침단상, 생각 파트너 이석재

코칭은 모방도 아니고 카피도 아니고 표절도 아니고, 창의적으로 생각해서 원하는 결과를 만들도록 돕지요. 코칭 대상자의 생각을 자극하고 잠재성을 끌어내어 결과를 만들도록 돕는 전문활동입니다. 생각 파트너는 “코칭은 과학으로 다듬은 예술이다.”이라고 단언합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 #코칭심리학공부방,#증거기반코칭사례분석,#효과성코칭워크숍

코칭이 전문영역으로 발전하려면 코칭 프랙티스practice 중심에서 일진해서 증거기반코칭을 실천해야 합니다. 증거기반코칭은 코칭이론과 코칭방법론에 기초해 코칭을 전개하는 것이죠. 증거기반코칭의 축적은 종국에 ‘코칭학’의 출현을 낳게 되죠. 코칭은 과학이어야 합니다. 코칭이 전문영역이 되려면 코칭과학의 실천이어야 합니다. 코칭학으로 발전하는 과정에 심리학기반의 코칭이 중간 단계의 모습입니다. 코칭심리학 공부방은 전문코치로 활동하는 분들에게 코칭심리학적 이론기반과 현실적용의 역량을 갖추도록 돕습니다. 앞으로 전문대학원이 아닌 일반대학원에 ‘코칭학과’의 신설을 기대합니다. 학부에도 코칭학과가 신설되길 바랍니다. 코치는 자신이 진행하는 코칭의 효과성을 코칭연구방법론을 사용해 검증하는 역량을 갖추어야 하죠. 관련..

코치로 활동하면서 실천하고 있는 생각 파트너의 인생설계도입니다. 풍성한 6월 누리세요. -생각 파트너 이석재 #코칭심리학공부방,#증거기반코칭사례분석,#효과성코칭워크숍

지난 3월 17일부터 '코칭심리학 워크북'의 필요성을 느끼고 제작하기 시작했습니다. 영어 논문을 읽는 것도 의미 있지만, 코칭심리학 공부방에 참가한 분들의 기대사항을 중요하게 고려했습니다. 그 이후 여유 시간은 모두 워크북을 만드는 데 투자해 현재 워크북을 편집 중입니다. 코칭심리학 공부방 2기 참가자부터 주교재로 사용합니다. 한글 '코칭심리학 워크북'을 주교재로 하고, 영어 논문은 참고 자료로 해서 처음에 의도 했던 바를 추진해 보려고 합니다. 특히 이번에는 '6단계 Coaching Framework 개발 방법'을 소개하여, 참가자가 자기만의 코칭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도록 도우려고 합니다. 1기 때에도 진행한 것인 데 더 비중을 두려고 합니다. 연말쯤 되면 총3기를 마치게 되고, 참가자의 피드백을 반영해..

15주 '코칭심리학 공부방'을 통해 어떤 도움을 받았는지 물었을 때, "이론적 근거를 학습함으로써 코칭 프레임워크를 좀 더 견고하게 구성할수 있게 되었습니다."라고 답을 한 참가자가 있네요. 이와 같은 참가자가 대폭 늘어나길 바라죠. 감사한 것은, '코칭심리학 공부방' 1기를 시작하면서 가졌던 학습목표를 이룰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사실입니다. 화요그룹과 목요그룹을 마쳤고, 내일 토요그룹에서 과연 어떤 대화가 오고갈 것인가? 크게 보면 크게 보이고 작게 보면 작게 보인다. 지금 생각 파트너는 동시에 둘을 취해야 합니다. 그래야 놓치는 것이 없지요. 코칭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모두를 통합적으로 보고 서로 연계시켜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