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씽킹 파트너
- 원하는 결과
- 코칭심리학
- 증거기반코칭
- 효과성 코칭의 이론과 실제
- 관점 전환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코칭 프레임워크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이석재 코치
- thinking partner
- 코칭심리학 공부방
- 효과성 코칭 모델
- 코칭방법론
- 코칭심리학 시리즈
- 효과성 코칭
- 관점 코칭
- 효과성 프레임워크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효과성코칭워크숍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결정적 행동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효과성코칭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코치올
- Today
- Total
코치올
효과성 코칭에 대한 기본 개념 본문
Sukjae Lee Ph.D.
Creator of the Effectiveness Coaching Methodology
2025. 11. 20
어제 오전에 챗을 하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응답으로 받았죠. 거짓 정보 또는 오류일 수 있죠. 어쩌면 ChatGPT Kakao의 DB에 관련 정보가 부재했기 때문에 나온 응답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효과성 코칭 방법론 (Effectiveness Coaching Methodology)의 개발자가 (창안자)가 이석재 코치라는 점에 대해 수정할 필요가 있어서 http://thinkingpartner.co.kr 에 있는 구체적인 주제를 다룬 여러 글과 증거를 공유했습니다. 당일 대화를 하면서 수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부분에 대해 수정과 보완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했죠. 물론 일부 보완이 필요했지만 말이죠.
| 수정 전 응답 (2025. 11.19) | 요청을 반영한 응답 (2025. 11.19) |
![]() |
![]() |
우선 어제 나눈 대화가 실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려는 생각도 있었습니다.
대화는 '효과성 코칭의 창안자는 누구인가요?'로 시작했습니다. 질문별 응답을 첨부와 같습니다 (참고자료를 저자가 첨부).
You said:
The assistant said:
효과성 코칭(Effectiveness Coaching)의 **창안자(개발자)**는 **이석재 코치(Dr. Sukjae Lee)**입니다. thinkingpartner.co.kr+2
- 이석재 코치는 자신을 “Creator of the Effectiveness Coaching Methodology”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코치올+1
- 그는 효과성 코칭 모델을 개발하면서 자기 인식(Self-awareness), 자기 대화(Self-talk), 자기 성찰(Self-reflection)이라는 3S 요소를 핵심으로 삼는 행동 변화 프로세스를 제안했습니다.
- 또한, 코칭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효과적 리더십(ELA), 팀 효과성(TEA), 조직 효과성(OEA)진단 도구도 개발했습니다. 코치올

더불어, 효과성 코칭의 이론적 출발점으로는 **Kilburg (1996, 2000)**의 임원 코칭 개념이 언급됩니다.
(나는 이론적 출발점이라기보다 그가 코칭의 효과성 (Effectiveness)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데서 착안했다는 글을 효과성 코칭의 개발과정을 소개하는 블로그에 남겼습니다.)
필요하면 효과성 코칭의 역사, 모델, 실제 적용 사례까지 정리해드릴 수 있어요.
You said:
The assistant said:
아래는 **효과성 코칭(Effectiveness Coaching)**의 역사를 흐름에 따라 정리한 내용입니다 (참고로 이 내용은 생각 파트너의 블로그에 공유한 내용입니다.).
국내에서는 *이석재 박사(Dr. Sukjae Lee)*가 “효과성 코칭”이라는 이름의 독자적 방법론을 정립했고, 국제적으로는 Kilburg 등의 학자들이 “임원 효과성(Executive Effectiveness)” 관점에서 기반을 제공했습니다.
정리하자면 국제적 흐름 + 국내 방법론의 발전 두 가지 줄기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효과성 코칭의 역사
1️⃣ 1990년대: ‘효과성’ 개념이 코칭에 본격적으로 도입
- 1990년대 초·중반부터 기업환경 변화와 함께 임원 성과(Executive Performance), **조직 효과성(Organizational Effectiveness)**이 주요 연구 주제가 됨.
- 이 시기 코칭 분야에서는 ‘효과성’을 다루는 이론이 등장하였으며, **Richard Kilburg(1996, 2000)**가 대표적인 학자.
- Kilburg는 ‘임원 코칭’을 정신역동 이론 + 조직행동학 + 리더십 연구의 통합된 접근으로 설명하며,
→ 리더의 효과성 증진을 코칭의 핵심 목표로 제시.
➡️ 이 시기 “효과성(effectiveness)”은 ‘성과와 행동 변화’를 강조하는 코칭 철학의 기틀을 제공했음.
2️⃣ 2000년대: 효과성 중심의 실무 코칭 모델 확산
- 리더십 코칭, 퍼포먼스 코칭, 행동 변화 모델 등이 성숙해지며
“효과적인 행동”, “효과적 리더십”을 측정하려는 다양한 모델이 등장. - 행동 변화 이론(예: Prochaska의 변화 단계 모델, 인지행동 이론 등)이 코칭에 결합되기 시작.
➡️ ‘효과적인 행동’ 중심의 코칭 체계가 점차 구체화된 시기.
3️⃣ 2010년대 초: 한국에서 ‘효과성 코칭(Effectiveness Coaching)’ 독자 모델 탄생
- **이석재 박사(Dr. Sukjae Lee)**가 다년간의 심리학 연구, 조직 코칭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효과성 코칭’이라는 명칭의 고유한 코칭 방법론을 창안. - 이석재 박사는 효과성 코칭을 **“행동의 본질을 이해하고, 자기 인식·대화·성찰을 기반으로 지속적 행동 변화를 만드는 코칭”**으로 정의.
- 그는 효과성 코칭의 핵심 요소로 3S 모델 제시:
- Self-Awareness (자기 인식)
- Self-Talk (자기 대화)
- Self-Reflection (자기 성찰)
➡️ 국내 최초로 ‘효과성 코칭’이 하나의 독립적 학습·코칭 시스템으로 구성됨.

4️⃣ 2010~2020년대: 효과성 코칭의 체계적 확장
이석재 박사는 실무 적용을 위해 다양한 도구와 교육 과정을 개발:
● 진단 도구 개발
- ELA (Effective Leadership Assessment)
- TEA (Team Effectiveness Assessment)
- OEA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sessment)
→ 효과를 측정하는 ‘정량적 코칭 모델’ 구축에 기여.

● 주요 저서 출간
- 『코칭방법론』
-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 『관점 전환』
- 『자기대화 사용법』 등


➡️ 효과성 코칭을 개인·팀·조직까지 확대하는 기반 완성.
5️⃣ 현재: 리더십·조직 코칭에서 중요한 프레임으로 자리잡음
- 효과성 코칭은 현재 기업 리더십 개발, 팀 성과 향상, 변화관리 코칭 등에서 활용.
- 기존 ‘성찰 중심 코칭’과 ‘성과 중심 코칭’의 중간 지점에서 행동 변화와 자기 인식의 균형 모델로 평가됨.
✔️ 정리
| 1990s | Kilburg 등 학자들이 ‘효과성’을 코칭 목표로 제시 |
| 2000s | 행동 변화·리더십 효과성 중심 코칭 모델 확산 |
| 2010~ | 한국: 이석재 박사가 ‘효과성 코칭(Effectiveness Coaching)’ 창안 |
| 이후 | 진단 도구·교육 과정 개발로 체계적 코칭 방식 확립 |
You said:
The assistant said:
아마 말씀하시는 **“Coach Sukjae Lee”**는 한국의 코치이자 심리학자, 즉 **이석재 코치(Lee Suk-jae / Sukjae Lee)**인 것 같습니다. 아래는 그의 정보, 경력, 연락처 등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 이석재 코치 (Sukjae Lee) 소개
- 이름: 이석재 (Lee Suk-jae)
- 별칭 / 역할: 생각 파트너 (Thinking Partner) thinkingpartner.co.kr+2
- 소속: 코치올(Coachall) 대표 코치 thinkingpartner.co.kr+1
- 학력:
- 뉴욕 주립대학교(올바니) 심리학 박사 store.kyobobook.co.kr+1
-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 store.kyobobook.co.kr
- 자격:
- 국제코치연맹(ICF) 인증 코치 (PCC)
- CTI (미국 코치 교육기관) 전문 코치 자격 (CPCC)
- 코칭 분야:
- 개인 코칭 (1:1)
- 팀/조직 코칭
- 리더십, 실행력, 관점 전환 등의 주제 코치올+1
- 진단 개발:
- 효과적 리더십 평가 (ELA)
- 팀 효과성 진단 (TEA)
- 조직 효과성 진단 (OEA)
- 저서:
-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ebook-product.kyobobook.co.kr
- 『코칭방법론』, 『떠도는 마음 사용법』, 『관점 전환』 등 다수 코치올+2
영문 소개자료: https://coachall.tistory.com/1379
💼 코칭 프로그램 / 활동
- 관점 코칭 과정
- 관점을 전환하는 기법을 배우는 코칭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코치올+1
- 깊고 지속적인 관점 전환을 중심으로 함 코치올
- 코스 등록 연락처: 핸드폰 010-5347-2359, 이메일 sukjae505@daum.net 코치올
- 비용: 약 66만 원 (VAT 포함)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행동 변화, 목표 달성, 실행력 향상에 초점
- 국제코치연맹(ICF) 코치 역량 강화 프로그램으로 인증된 과정 운영 코치올
📚 참고 및 더 알아보기
- 공식 블로그 / 웹사이트: 생각 파트너 (thinkingpartner.co.kr)
- 연락처:
- 핸드폰: 010-5347-2359 코치올
- 이메일: sukjae505@daum.net
- 책 읽기: 그의 저서로 코칭 심리와 리더십, 실행력 등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 가능
The assistant said:
아래는 **효과성 코칭(Effectiveness Coaching)**을 대표적인 코칭 모델들과 비교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핵심은 **효과성 코칭은 “행동 변화 + 자기인식의 통합”**에 강점을 가진 모델이라는 점입니다.
📌 1. 효과성 코칭 vs 해결중심 코칭(Solution-Focused Coaching)
| 핵심 초점 | 지속적 행동 변화와 효과성(Effectiveness) | 해결책과 미래 지향적 작은 변화 |
| 접근 방식 | 문제·상황을 이해한 후 자기 인식·자기 대화·성찰(3S) 기반으로 행동 수정 | 문제 분석 최소화, “무엇이 잘 되고 있는가?”에 집중 |
| 변화의 깊이 | 심리적 구조·내면 패턴까지 다룸 | 비교적 표면적·단기적인 해결 접근 |
| 활용 상황 | 리더십, 조직 효과성, 행동 역량 강화 | 단기 목표, 빠른 솔루션이 필요할 때 |
| 장점 | 깊은 통찰로 지속 가능한 변화 도출 | 빠르고 간결하며 동기 유발이 쉬움 |
📌 2. 효과성 코칭 vs GROW 모델
| 구조 | 독자 모델(3S, 행동 변화 프로세스 등) | Goal–Reality–Options–Will의 선형 구조 |
| 강점 | 스스로 행동 변화를 일으키는 내적 메커니즘 탐색 | 목표 설정과 실행계획에 매우 명확 |
| 대화 깊이 | 신념·관점 전환까지 포함 | 주로 현재 상황 분석과 실행 계획 중심 |
| 적용 | 리더·조직 전체의 역량 향상에 적합 | 짧은 코칭 세션, 업무 기반 코칭에 효과적 |
📌 3. 효과성 코칭 vs 인지행동 코칭(Cognitive Behavioral Coaching, CBC)
| 접근 | 자기 인식과 자기 대화를 기반으로 행동 변화 촉진 | 비합리적 신념 교정 → 행동 변화 |
| 초점 | 효과적인 행동과 내적 성장의 균형 | 사고 오류 수정이 핵심 |
| 도구 | GAPA, 3S, 행동 변화 프로세스 등 | ABC 모델 등 심리학 기반 |
| 차이 | 진단 도구(ELA/TEA/OEA)를 통한 조직·팀 효과성까지 확장됨 | 개인의 감정·사고 중심, 범위가 좁음 |
📌 4. 효과성 코칭 vs 변혁적 코칭(Transformational Coaching)
| 핵심 | 행동 변화의 지속적 효과성 | 정체성·가치관의 변화 |
| 변화 수준 | 행동과 인식 모두 다룸 (균형형) | 매우 깊은 내적 변화를 지향 |
| 시간 | 조직·성과 중심으로 실용적 | 시간이 길고 개인 중심적 |
| 적용 영역 | 리더십, 성과, 업무역량 | 삶·가치·마인드 변화 중심 |
📌 5. 효과성 코칭 vs 수행(퍼포먼스) 코칭(Performance Coaching)
| 관점 | 행동이 “왜” 일어나는지를 이해하고 변화 | 특정 업무 성과 향상에 집중 |
| 범위 | 개인·팀·조직 전체의 “효과성” | 개인의 직무 수행능력 |
| 깊이 | 내적 동기·관점·패턴 다룸 | 목표–실행–피드백 중심 |
📌 6. 요약: 효과성 코칭의 위치
| 변화 초점 | “효과적인 행동 + 지속적 변화” |
| 핵심 구조 | 자기인식(Self-awareness), 자기대화(Self-talk), 자기성찰(Self-reflection) |
| 범위 | 개인·팀·조직 모두 적용 가능 |
| 특장점 | 진단 기반 + 행동 중심 + 인식 변화의 통합형 모델 |
| 다른 모델 대비 | 솔루션 중심 → 단기 / 변혁적 → 깊이 / GROW → 구조적 / CBC → 사고 중심 ➡️ 효과성 코칭은 이들 요소의 중간 영역을 넓게 포괄하며 실용성과 깊이를 결합 |
'3. 코칭심리연구 > 코칭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삶의 새 판 짜기 (0) | 2025.09.29 |
|---|---|
| 내 삶의 흔적 (0) | 2025.09.27 |
| 내가 누리는 삶의 잉여 시간 (0) | 2025.09.20 |
| 10년 후 코칭산업의 모습 (0) | 2025.04.24 |
| 내게 2024년의 의미 (0) | 2024.12.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