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효과성코칭
- thinking partner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원하는 결과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코칭방법론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코칭심리학
- 조직효과성진단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이석재 코치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효과성 코칭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코칭 프레임워크
- 증거기반코칭
- 팀효과성진단
- 코치올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생각 파트너
- 효과성코칭워크숍
- 결정적 행동
- 씽킹 파트너
- 조직코칭
- 코칭심리학 시리즈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Today
- Total
목록[방문 감사합니다] (717)
코치올

하반기 '코칭심리학 공부방'에서 진행할 과정은 다음 세 가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1. 현재 진행 중인 '코칭심리학 공부방' 2기(7월 3일, 토)와 3기(9월7일, 화)를 진행합니다. 15주 공부하면서 나눈 여러 질문과 관심 사항을 반영하고 영어 논문을 읽지 않고도 참가할 수 있는 방안을 실천하려고 합니다. 2. '증거기반 코칭사례분석' 1기(6월 29일)를 진행합니다. 전문코치로 활동하면서 꿈을 꿔왔던 것이 있습니다. 바로 코칭방법론에 기초한 증거기반코칭을 하는 것입니다. 그간 수행한 사례들 가운데 학습자료로 유용한 것을 선별했습니다. 3. '코칭이슈 공부방'(가제) 1기(9월 예정)에 대한 것으로 현장 이슈 중심으로 내용을 구상하고, 복수의 주제 전문가와 치밀하고 탄탄하게 준비하여 진행합니다. 코칭..
심리서비스 법제화는 취지에 대해 동의하지만, 누가 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여러 이해관계단체로부터 청취한 의견을 보면, 현재 심리서비스 법률1(안)에 많은 수정 보완과 개선이 있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심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자격을 특정 학과의 졸업자로 특정하는 것은 각 개인이 갖는 삶의 기본 권리를 제한한다고 생각합니다. 학문도 학제간 접근으로 융합되고 있는 추세이죠. 자격취득을 위한 시험, 수련 조건과 자격유지 조건을 국가가 정하고, 그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교육자격과 기회는 모두에게 개방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죠. 법제화 취지가 국민에게 양질의 심리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라면,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OECD수준으로 제도화하면 될 것으로 ..

지금은 새로운 코칭접근이 요구되는 시대입니다. 증거기반의 코칭을 위해서는 코칭이론에 기반한 코칭모델, 코칭방법론, 코칭의 과정과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진단도구들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플랫폼이 필요하죠. 코치의 개인경험에 기초한 코칭에서 증거기반 코칭으로 코칭을 성장시킬 때입니다. “내가 한 코칭이 효과적이었다. 성과가 있었다.”는 평가를 하려면, 어떤 코칭설계를 통해 어떤 coaching logic을 작동시켰고 어떤 tools로 진단과 평가를 했는지를 설명해야 합니다. 이러한 방법론적 설명이 없다면, 주관적인 자기 주장에 불과한 코칭시대에 진입했습니다. 이러한 코칭환경변화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존의 코칭 전문성이 코칭학으로 발전하기 위한 단계로 나아가는 것이죠. 우리가 그동안 쌓아 온 경험과 지식..

2015년부터 진행한 '효과성코칭워크숍: 조직코칭'은 5월 3일~4일, 온사이트로 진행하고, 공개과정은 5월 21일(금)과 22일(토) 9:00~17:30에 Zoom으로 진행합니다. 상단의 메뉴 '효과성코칭워크숍'을 방문해주세요. : https://thinkingpartner.co.kr/.../2021%EB%85%84%20%EC%9D... -생각 파트너 이석재 #코칭심리학공부방,#효과성코칭워크숍

올해 꼭 하고 싶은 것은 한 가지, 바로 '코칭심리학 워크북'을 마무리해서 오는 9월에 개강하는 '코칭심리학 공부방' 2기부터 사용하는 것입니다. 2022년에도 딱 한 가지가 있습니다. 코칭심리학 워크북을 토대로 '코칭심리학' 책을 출간하는 것입니다. 많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해야합니다. 이 결과물을 만든다면, 코치로서 하고 싶은 일은 다했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후는 생각 나눔에 집중하는 것으로... -생각 파트너 이석재 #코칭심리학공부방, #효과성코칭워크숍

코칭이 타인을 돕는 여타 전문영역인 상담과 심리치료, 멘토링, 컨설팅과 다른 점은 코칭 대상자가 스스로 답을 찾도록 돕는데 있지요. 여타 전문영역은 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대화의 구성을 보면 문제해결적 접근으로 채워집니다. 그러나 코칭은 문제에 대해 대화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에 함몰된 자기 자신의 인식 틀을 스스로 깨고 답을 찾도록 대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두 가지가 아주 중요합니다. 하나는 코칭 대상자와 코치의 신뢰 관계, 다른 하나는 ‘자기인식을 일깨우기’입니다. 자기인식을 일깨우기 위해 생각 파트너는 4가지를 중요한 코칭전략으로 사용합니다. 코칭 대상자의 강점발견, 관점확대, 통찰심화, 자기수용입니다. 이 네 가지는 효과성 코칭에서 코칭 대상자의 ‘생각 프레임을 바꾸는 대표적인..

코칭심리학 공부방에서는 심리학 이론의 틀이나 기법(스킬)을 그대로 코칭에 사용하는 것을 학습하지 않습니다.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코칭적 활동이 아닐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코칭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더라도 여전히 상담이나 심리치료 관련 기법을 코칭에 그대로 계속 사용한다면, 코칭을 한다기 보다는 코칭 장면에서 상담이나 심리치료적인 대화를 하는 것일 수도 있죠. 이러한 해석은 조심스럽습니다. 현장 대화를 들은 것도 아니고, 또 상담이나 심리치료적 접근을 토대로 코칭하는 분도 많습니다. 코칭심리학 공부방에서는 심리학 이론과 기법을 공부하면서 코칭적으로 재해석하는 시도를 하는 것입니다. 현장에서 코칭적 활용을 살피는 것이죠. 한 예로 코칭 대상자의 비합리적 신념이 코칭 이슈일 때, 신념을 바꾸려고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