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칭심리학 공부방
- 결정적 행동
- 코칭 프레임워크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코칭방법론
- 효과성코칭워크숍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코칭심리학 시리즈
- 이석재 코치
- 효과성 코칭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팀효과성진단
- 증거기반코칭
- 조직효과성진단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생각 파트너
- 씽킹 파트너
- 원하는 결과
- 코칭심리학
- thinking partner
- 효과성코칭
- 조직코칭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코치올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Today
- Total
목록[방문 감사합니다] (717)
코치올

심리학에서 변화는 세 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입니다. 바로 인지, 정서, 행동이죠. 행동변화 전문가는 행동변화를 도울 수 있지만, 행동변화를 만들지 못하죠. 행동변화를 만드는 주체는 변화를 원하는 사람, 그 자신입니다. 그 자신이 변화를 선택하고 원하는 변화 모습을 만들기 위해 실천하고, 그 변화를 끌고 가는 것이죠. 그런데 변화에 신비가 있습니다. 많이 안다고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많이 알도록 교육한다고 변화에 성공하는 것이 아니죠. 그렇다면 “변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코치는 변화를 촉진시키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죠. 이때 코칭대상자도 함께 변화를 만드는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마치 의사는 치료를 하고 환자는 치유를 책임맡아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야 건강을 되찾을 수 있습..

생각 파트너가 진행하는 공부방입니다. 공부방 참가자로 하여금 코칭심리학을 학습하고 자기만의 코칭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코칭심리학 공부와 코칭심리학 이론의 실천으로 생각 파트너가 2002년 코칭에 입문한 후 직접 개발한 효과성 코칭(effectiveness coaching)에 대한 학습과정인 효과성 코칭 워크숍에 참가해 효과성 코칭을 공부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을 통해 '이론-실천-사례'를 연계해서 공부하도록 돕습니다. 또 효과성 코칭 방법론을 정립하기 위해 개발한 3종의 효과성 진단도구(효과적 리더십진단, 팀효과성진단,조직효과성진단)를 통해 과학적인 방법으로 코칭을 실천할 수 있게 돕습니다. 아울러 공부방 참가자의 공부를 돕기 위해 생각 파트너의 코칭 관련 주요 출간 도서와 영어 논..

2015년부터 생각 파트너의 '효과성 코칭'에 대한 학습과정으로 '효과성 코칭 워크숍(개인코칭, 조직코칭)'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에는 효과성 코칭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이론적이며 실제적인 기초가 되었던 내용을 공부하는 방을 개설했습니다. 코칭심리학의 주요 이론을 학습하고 나만의 코칭 프레임워크를 개발해 보는 '코칭심리학 공부방', 이론의 실천을 학습하는 사례로서 생각 파트너의 '효과성 코칭 워크숍', 이에 대한 현장 중심의 실천사례를 공부하는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입니다. 특히 증거기반코칭을 실천한 사례를 선별하였습니다. 모든 공부방에서는 주교재인 '워크북'workbook을 활용하여 생각나눔과 교학상장하도록 진행합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어제는 총 10차 진행한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공부방을 마쳤네요. 참가자 중에 공부방에서 소개된 사례를 토대로 개인코칭을 팀코칭이나 조직코칭으로 연계하는 시도를 하는 분도 있고, 대학강의 프로그램을 증거기반코칭 프레임워크을 토대로 사용하는 분도 있어서 반가웠습니다. 앞으로 많은 분들이 증거기반코칭 접근을 통해 기존의 코칭 활동을 확대시키길 바랍니다.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2기는 10월 18일(월)부터 시작하죠. 이번 주 코칭심리학 공부방에서는 행동변화모델을 다룹니다. 행동변화는 언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시간입니다. 9월에 진행하는 개인코칭, 효과성코칭워크숍, 새로 개설하는 과정들이 모두 잘 진행되길 바래 봅니다. 폭염은 간데 없고 이제 본격적으로 가을입니다. -미위마인드,..

이제 2021년 8월의 마지막 주입니다. 총 10회로 진행되는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공부방도 31일이 최종회이죠. 이 공부방을 만든 목적과 구성 배경이 떠오르네요. 코치로 활동하면서 효과성 코칭과 코칭방법론을 개발했고, 효과성 코칭방법론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팀 효과성 진단(TEA), 조직 효과성 진단(OEA) 등 3개의 온라인 진단도구를 개발했습니다. 코칭방법론을 적용한 증거기반코칭을 하기 위해서는 필수도구이죠. 내일 나눌 대화를 상상하면서 문득 처음 코칭을 시작한 계기와 어제의 일까지 지난 일들이 파노라마로 펼쳐집니다. 코치 자격도 취득하고 코칭 비즈니스도 잘 해야죠. 전문코치로 활동하려고 할 때 필요한 것은 ‘전문성’입니다. 전문성의 기본은 ‘코칭방법론’입니다. 이를 ..

그동안 멘토코칭을 하면서 생각 파트너의 ‘효과성 코칭’을 현장에서 잘 실천한 사례로 선정해 ‘코칭방법론’ 책에 소개했습니다. 총 10회 진행한 멘토코칭일지를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한 장에 요약했습니다. 멘티로 참가한 K코치님의 열정과 실행력, 코치로서의 마인드셋을 함께 느껴볼 수 있었습니다. 다시금 그때의 행복을 상기시켜 봅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리더십 다면진단인 코치올의 ‘효과적 리더십진단(ELA)’은 생각 파트너가 체계화한 '효과적 리더십 모델'과 진단도구의 타당성 검증과정을 마친 결과를 반영한 것이죠. 2002년부터 개발해 2006년에 공개했으니 2023년 현재 17년의 현장 경험 사례를 갖고 있습니다. 다면 인터뷰로 찾아 낼 수 없는 코칭 포인트를 찾아내죠. 진단도구가 갖고 있는 논리적 틀로 코칭대상자를 심도 있게 진단하기 때문입니다. 코로나로 주춤했다가 다시 국내 최고의 글로벌 기업에서 활용하게 되어 반갑습니다. 참고도서: 이석재(2006). 18가지 리더십 핵심역량을 개발하라. 서울: 김앤김북스. https://thinkingpartner.co.kr/376?category=581882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코치올의 리더십 다면진단(효과적 리더십진단: effective leadership assessment, ELA)에 대한 여러분의 지속적인 관심과 활용, 대단히 감사합니다. -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공부방에서 한 참가자 분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주셨어요. 중요한 질문이라서 익명으로 공유합니다. ‘역할 수행을 잘하기 위해서 자기다움에 근거해서 독특하게 수행하는 방식도 있지 않을까?’; ‘팀장으로서 챙겨야할 5가지 역량을 꼭 다 잘 수행해야만 팀장으로서의 역할을 잘 할 수 있을까?’; ‘효과적인 팀장역할 수행’에 있어 중요한 측면이라는 것은 알지만, 이 내용적 프레임에 묶여 자기다움을 잃으며 오히려 성과가 낮아지는 경우도 있지 않을까?’ 물론 Highly effective people이 되려면 7habits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알겠는데, 그러한 내용적 프레임이 (좀 과장되게 말하면) 뭔가 틀에 끼워 사람을 만들어 내는 느낌도 들어 혼돈스럽습니다. 이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인개발을 위한 개인코칭을 할 때 흔히 코칭대상자가 변화를 원하면서도 적극적인 시도를 주저하는 모습을 보죠. 왜 그럴까요? 한 이유는 그의 내면에서 ‘변화에 대한 자기방어기제가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조직코칭에서 조직개발을 위해 리더를 코칭하다 보면, 변화에 저항하는 집단심리를 그들의 언행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바로 ‘조직의 방어적 관행이 작동’하고 있는 것이죠. 코치는 개인차원에서 작동하는 자기방어기제와 조직차원에서 작동하는 방어적 관행을 이해하고 다룰 필요가 있습니다. 이 주제에 관심있는 분은 다음 도서의 내용을 참고하세요. 이석재(2014).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서울:김앤김북스. 자기방어기제 51쪽~69쪽, 방어적 관행 없애기 230쪽~235쪽.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