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증거기반코칭
- 팀효과성진단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이석재 코치
- 효과성코칭
- 코칭 프레임워크
- 조직효과성진단
- 효과성 코칭
- 조직코칭
- 효과성코칭워크숍
- 코칭심리학
- 결정적 행동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씽킹 파트너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thinking partner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생각 파트너
- 코칭방법론
- 코치올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코칭심리학 시리즈
- 원하는 결과
- Today
- Total
목록3. 코칭심리연구 (500)
코치올

코칭을 하면서 꼭 챙기는 것 중의 하나가 코칭일지를 쓰는 것이다. 코칭을 마치면 그날 중에 반드시 작성한다. 코칭 초기에는 일지 양식을 만들어서 사용했는데, 몇년 전부터는 앱을 사용해 정리한다. 글을 기고하거나 책을 쓸 때 아주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2002년부터 습관화하였는데 자료분석을 하면서 파일이 섞이며 혼란을 겪기도 하였다. 10여년 전부터 컴퓨터 파일에 정리하고 부터는 분실 염려도 없다. 코칭일지 이외에 자기개발을 위한 각종 교육참가 자료, 효과성코칭워크숍 2015년 1기부터 최근까지 모든 참가자와 참고사항, 각종 교육수료증 등을 보관하고 있다.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학교 성적표, 중학교 때의 등록금 영수증, 각종 상장은 중요한 기록물이다. 여행자료는 네이버 블로그에 여행루..

코칭을 준비하다가, 기본을 챙겨야겠다고 생각했다. 기본이란, 코칭의 정의이다. “효과성 코칭은 주어진 맥락에서 코칭 대상자가 자신의 ‘변화요구-결정적 행동-원하는 결과’를 연결하는 새로운 생각의 판을 짜도록 돕는 목표지향적인 협력활동이다.” http://thinkingpartner.co.kr

커피 한잔을 손에 들고 자기와 만남의 시간을 가져봅니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http://thinkingpartner.co.kr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긍정적 피드백은 한 겨울에 손 난로와 같다. 아침 기온이 영하로 내려갔다. 이제 본격적으로 겨울이다. 생각 파트너 http://thinkingpartner.co.kr

코칭 약속은 다짐이다. 다짐을 하였다고 해서 실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다짐은 인지적인 것이고 실행은 행동이다. 두가지는 질적으로 속성이 다르다, 이 두가지를 어떻게 연결시킬 것인가? 가능한 방법은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결정적 행동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그 실행을 관리하고 팔로업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 파트너 http://thinkingpartner.co.kr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자신이 원하는 삶을 주도적으로 구상하고 만들어 나가는 활동을 돕습니다. 국제코치연맹 (ICF) 코치역량강화 CCE 30시간 인증과정인 ‘효과성 코칭 워크숍 (Effectiveness Coaching Workshop)’은 2019년 개인코칭 5회, 조직코칭 3회로 총8회 진행을 계획하였습니다..

“생각은 깊게 할수록 명료해지고 나눌수록 선한 영향력을 갖는다.” 이번 주에 있을 모든 활동에 풍성한 생각의 나눔이 일어나길 바랍니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thinkingpartner.co.kr

코치올, 생각 파트너 http://thinkingpartner.co.kr

더 잊기 전에 블로그에 기록으로 남겨 둔다. 박사학위논문을 쓸 때 사용한 실험장치(게임)와 실험을 도와준 실험진행자와 실험동조자(confederate)가 머물렀던 방, 실험실 내에 있던 내 방. 그 당시는 실험공간이 있어 무척 감사하고 깔끔하다고 생각했는데, 지금 보니 참 어수선하다. 정리정돈에는 무심했던 것 같다. 당시 내가 설계한 사회심리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 4개의 방이 필요했는데, 다행스럽게도 3개의 방이 있는 사회심리실험 공간이 있어 4년(1991~1994)을 사용했다. 1995년 학위를 마친 후 나의 실험을 반복하면서 박사과정을 이수한 다른 학생에게 실험도구와 서울에서 가져간 흑백 모니터와 286컴퓨터(현대전자) 본체를 넘겨주었다. 비록 floppy disk IBM DOS로 부팅을 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