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자기인식
- 생각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코칭
- 코칭심리학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증거기반코칭
- 코칭방법론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이석재 코치
- 개인코칭
- 증거기반 코칭사례분석
- 효과성 코칭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코치올
- 조직코칭
- 효과성코칭워크숍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코칭심리학 워크북
- 효과성 코칭 모델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팀효과성진단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원하는 결과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생각 파트너
- 조직효과성진단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 Today
- 53
- Total
- 168,798
목록2021/09 (11)
코치올

티모시의 inner game에도 코칭 프레임워크coaching framework가 있다. 기업 현장에서도 활용되었지만 알렉산더는 티모시의 창의적 발상이 스포츠를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주목했다. “티모시의 생각을 비즈니스 영역에 도입한다면, 가능한 코칭 프레임워크는 무엇일까?” 결국 그는 GROW모델을 개발했다. 휘트모어는 2009년 한 기고의 글에서 "Contrary to what many think, I did not 'invent' the GROW' model."(27쪽)라고 말했다. 휘트모어는 GROW모델을 대중에게 널리 알렸다. 나는 알렉산더가 GROW모델을 처음 개발했던 그 과정을 알고 싶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국내에 코칭이 도입된 지 20년이 지나고 있습니다. 그동안 코칭은 코치의 개인적인 신념이나 지식과 경험에 기초한 프랙티스(practice) 중심이었습니다. 이제 코칭은 프랙티스를 넘어 이론과 사회과학적 방법론에 의해 검증된 증거기반코칭(evidence-based coaching)으로 발전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코칭은 인간에게 제공되는 전문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증거기반이란 용어는 의료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개념입니다. 환자에게 의료시술을 적용할 때, 그 의료시술은 환자의 생명과 직결됩니다. 따라서 환자의 완치를 지향하는 높은 수준의 검증된 의료시술과 운영체계가 필요하죠. 이러한 맥락에서 전문의가 사용하는 의료시술은 환자를 완치시킬 수 있는 지를 과학적인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검증한 것이어야 합니다..

지난 2002년 코칭에 입문해 지금까지 추구한 코칭의 매듭을 상기해 봅니다. 그간 출간한 책들 중에서 '생각의 변화'를 담은 대표적인 책은 3권입니다. 코치로서 내 삶의 절정은 2014년입니다. 코치로서 해보고 싶었던 '통합적 코칭 설계’에 따른 코칭을 모두 실행해 보았기 때문이죠. 그 이후에도 여러 변형이 있었지만, 코치로서 가장 뜨거운 삶을 살았던 시기네요. 도움을 주신 분들께 깊은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코칭이론을 개발하기 위해 연역적인 접근을 사용하든 귀납적인 접근을 사용하든 결국 찾아내는 것은 인간을 이해하는 논리적 체계이다. 인간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그가 처한 사회적 맥락과 상호작용하는 내용으로 삶을 구성한다. 한 개인이 경험하는 삶의 모습을 개별적으로 탐구하면서 그 답을 찾던, 다수의 인간을 관찰하고 탐구하면서 그 답을 찾던 같은 결론에 도달한다. 인간은 혼자일 수 없으며, '수신제가치국평천하'와 같이 개인의 내적 성장을 기초로 더불어 사는 사회가 공유하고 있는 신념과 가치를 내재화하고, 개인성을 사회성으로 확장시키면서 두 삶의 영역을 균형있게 관리하며 사는 것이다. 귀납적인 접근과 연역적인 접근이 모두 갖추어야 하는 것은 '이론적인 체계'이며 그 이론적인 체계의 '보편성'이다. 인간 ..

Kilburg (1996, 2000)는 임원코칭을 "...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lient’s organization within a formally defined coaching agreement."라고 정의했습니다. 그의 정의는 생각 파트너가 효과성 코칭을 개발하는 '아하 모멘트'를 주었습니다. 그가 사용한 '효과성(effectiveness)'이라는 단어가 눈에 들어왔지요. 생각 파트너는 그 용어를 학술적으로 탐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구성주의, 긍정심리학, 동기이론, 인본주의를 토대로 '효과성의 이론적 틀'을 만들고 이를 기초로 경험적 모델을 개발했지요. 효과성의 심리기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효과적 리더십 진단(ELA)', '팀 효과성 진단(T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