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팀효과성진단
- 효과성코칭워크숍
- thinking partner
- 씽킹 파트너
- 코치올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효과성 코칭
- 코칭방법론
- 원하는 결과
- 효과성코칭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증거기반코칭
- 이석재 코치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코칭 프레임워크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생각 파트너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조직효과성진단
- 코칭심리학 시리즈
- 코칭심리학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조직코칭
- 결정적 행동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Today
- Total
목록리더십 코칭 (6)
코치올

1. 독자는 Part 1에 소개한 리더십 효과성 모델을 기초로 개발된 3가지 핵심 역량군(인지역량, 대인관계역량, 전략적 관리역량)에 속하는 총 18가지 리더십 역량에 대한 자기 진단(본문에 포함)을 먼저 합니다. 여기서 핵심 역량이란, 리더십의 효과성을 높이는 영향 요인을 말합니다. 독자는 애자일, 경영 목표와 목적 등 다양한 요인을 추가로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2. 이어서 진단 결과를 토대로 리더십 개발을 위한 Plan-Do-See(계획, 실행,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생각 파트너는 증거기반 코칭 방법론에 따라서 ‘변화 요구 파악-변화 목표 설정-행동 변화 코칭-효과성 코칭 평가‘를 코칭 설계의 기본으로 활용합니다.3. 특히 Part 2에 소개한 18가지 역량 별 ‘종합 개발 가이드’를 참고..

코칭 1세대로 23년의 코칭 경험과 지식을 공유합니다.1. 리더십 진단기반의 코칭을 하고 싶다. 리더십 진단을 기초로 Plan-Do-See 하는 전체 과정을 이해하도록 돕는 '한 권으로 읽는 안내서'가 있을까?2. 상담사로 조직 리더를 코칭하고 있다. 이제는 상담과 코칭의 성과도 평가해야 한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3. 현재 조직 리더이다. 함께 일하는 구성원들의 리더십(특히 승진 후보자,핵심인재, 주요 업무 담당자, 능력은 있는데 성과가 낮은 직원)을 코칭하고 싶다. 또 그들이 객관적으로 자기 자신의 리더십을 진단하고 스스로 자기 계발과 역할 확대를 하도록 돕고 싶다. 리더십 코칭에 초점을 둔 종합 안내서가 있을까?4. 조만간 퇴직을 준비 중이다. 지금까지 경험한 현장 리더십과 직무 경험을 삶의..

1. 리더십 진단기반의 코칭을 하고 싶다. 리더십 진단을 기초로 Plan-Do-See 하는 전체 과정을 이해하도록 돕는 '한 권으로 읽는 안내서'가 있을까?2. 상담사로 조직 리더를 코칭하고 있다. 이제는 상담과 코칭의 성과도 평가해야 한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3. 현재 조직 리더이다. 함께 일하는 구성원들의 리더십(특히 승진 후보자,핵심인재, 주요 업무 담당자, 능력은 있는데 성과가 낮은 직원)을 코칭하고 싶다. 또 그들이 객관적으로 자기 자신의 리더십을 진단하고 스스로 자기 계발과 역할 확대를 하도록 돕고 싶다. 리더십 코칭에 초점을 둔 종합 안내서가 있을까?4. 조만간 퇴직을 준비 중이다. 지금까지 경험한 현장 리더십과 직무 경험을 삶의 현장에서 발휘하고 싶다.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5. 리더십..

1. 생각 파트너가 효과성 코칭이론을 기반으로 코칭 비즈니스와 학술적인 탐구 활동을 하면서 목적 중심의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실천하기로 했습니다. 효과성 코칭이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증거기반 코칭을 전개할 때 주로 개인적 활동을 많이 했습니다. 고객사로부터 개인적인 의뢰를 하기도 했지만, 과연 효과성 코칭이론이 작동하는 지를 검증하고 싶었지요. 이 활동은 다른 코치와 협업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코칭을 전개하고 일정한 지식과 경험을 축적하면 책을 출간해 코칭 산업에서 활동하는 분들과 공유하고자 했습니다. 2. 생각 파트너의 삶의 가치인 '생각나눔과 교학상장'을 실천하는 대표적인 활동이 책을 쓰고 출간하는 것이었습니다. 또 대학과 대학원생에게 코칭심리학, 코칭이론, 코칭방법론 등..

1. 인생 개념이란, 세상을 보는 관점이며 그 관점의 논리를 구성하는 핵심 주제어입니다. 당신은 그 개념에 대한 탐구와 실행에 올인하고, 그 개념은 당신의 삶을 견인합니다.2. 생각 파트너의 인생 개념은 효과성(effectiveness)입니다. 효과성은 원하는 결과를 얻는 정도입니다. 생각 파트너는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사람들은 삶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성을 추구한다.’라고 가정합니다. 효과성 추구는 사람들을 움직이게 하는 내적 동기이죠. 3. 지난 2006년 ‘효과적 리더십 모델’을 기초로 효과적 리더십 진단(Effective Leadership Assessment: ELA)‘ 도구를 개발했고 이어서 팀효과성진단(TEA)과 조직효과성진단(OEA)을 개발했습니다. 그 이후 증거기..

생각 파트너는 코칭 현장과 관련 서적을 보았을 때 '코칭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고유한 코칭 시각보다 코칭 관련 인접 학문의 영향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코칭이란 무엇인가?"라는 원론적인 질문을 가졌습니다. 생각 파트너가 집필한 여러 책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6권을 선정했습니다. 최근 탈고한 '리더십 코칭(가제)'는 마지막 시리즈 책입니다. 물론 여력이 있으면 더 집필하고 싶습니다. 코칭 시각에서 본 코칭심리학에 관심 있는 분들의 일독을 권합니다.-생각 파트너 이석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