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조직효과성진단
- 조직코칭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심리학 시리즈
- 결정적 행동
- 코치올
- 효과성코칭
- 효과성코칭워크숍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코칭심리학 공부방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이석재 코치
- 증거기반코칭
- 팀효과성진단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생각 파트너
- 현징증심 코칭심리학
- 효과성 코칭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코칭 프레임워크
- 코칭방법론
- 코칭심리학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원하는 결과
- thinking partner
- 씽킹 파트너
- Today
- Total
목록효과성 (5)
코치올

지난 달(20240425) 왕효분 코치님의 도움으로 고려사이버대학에서 ‘현장중심 코칭심리학’을 주제로 한 특강 동영상을 촬영했습니다. 여러 컷을 캡쳐해서 보내주셨네요. 생각 파트너가 개발한 ‘효과성 코칭 이론’을 효과성 프레임워크(effectiveness framework)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네요. 자료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억으로 남겨둡니다. -생각 파트너 이석재

사람들은 자기 나름의 세상 보기를 탐구하며 많은 생각을 하죠. 그 많은 생각들은 숫자가 많을 뿐만 아니라 서로 복잡하게 얽혀있습니다. 그런데 우연 같은 필연으로 한 가지 개념을 만나게 됩니다. 바로 ‘인생 개념’이죠. 복잡한 생각을 아주 단순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후 그 개념으로 새롭게 알게 되는 정보와 지식, 경험, 이미 존재하는 세상을 다시 봅니다. 그 개념을 준거로 재배열하는 것이죠. 생각 파트너에게 인생 개념은 ‘효과성(effectiveness)’입니다. 현장중심 코칭심리학(이석재, 2023)에서 강조한 핵심 개념입니다. 그래서 생각 파트너는 '효과성 코칭(Effectiveness Coaching)'을 합니다. 새책의 원고를 쓰다가 무엇을 in & out할 것인지를 되짚어 봅니다. -코..

Kilburg (1996, 2000)는 임원코칭을 "...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lient’s organization within a formally defined coaching agreement."라고 정의했습니다. 그의 정의는 생각 파트너가 효과성 코칭을 개발하는 '아하 모멘트'를 주었습니다. 그가 사용한 '효과성(effectiveness)'이라는 단어가 눈에 들어왔지요. 생각 파트너는 그 용어를 학술적으로 탐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구성주의, 긍정심리학, 동기이론, 인본주의를 토대로 '효과성의 이론적 틀'을 만들고 이를 기초로 경험적 모델을 개발했지요. 효과성의 심리기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효과적 리더십 진단(ELA)', '팀 효과성 진단(TEA)..

"어떻게 의미를 찾을 것인가?" 한 시선으로 세상을 관조하면, 그 시선의 실에 꿰어지는 구슬들을 발견할 수 있다. 구슬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세상을 보는 시선, 그 시선으로 지속적으로 일관되게 보고 성찰하는 노력, 결과가 담보되지 않는 반복적인 노력의 지루함을 이겨나갈 수 있는 인내력, 세상에 대한 호기심, 유연하고 창의적인 시선을 갖도록 깊은 학습, 그 과정에서 알아차림과 그 알아차림이 주는 통찰에 대한 기록 등이 필요하다. "지금의 취하고 있는 시선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무엇인가?(예, 사회과학적 사고에 바탕을 둔 통합)" "그 시선을 통해 찾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구슬은 어떤 것인가?"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순간에 직관과 통찰로 '아하'를 경험한다. 그것은 큰 것일수도 있고 아주 작은 것일 수도..
저는 '개인과 팀, 조직의 통합적 코칭이 새로운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효과성, 팀효과성 및 조직효과성의 연계, 어떻게 할 것인가? 인터넷서점 도서검색에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을 입력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인터넷서점 도서검색에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을 입력하시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index.laf?orderClick=c01 예스24: http://www.yes24.com/main/default.aspx 알라딘: http://www.aladin.co.kr/home/welcome.aspx 반디앤루니스: http://www.bandinlunis.com/front/main.do 인터파크 http://book.in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