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paring for 2026 by Using the Wandering Mind
Sukjae Lee Ph.D.
Creator of the Effectiveness Coaching Methodology
2025. 11. 21
Preparing for 2026 by Using the Wandering Mind
The wandering mind is a spontaneous mental state that arises when a person’s attention, weakened in focus on work, shifts inward. The wandering mind is part of the mind. Where do you usually direct your gaze? In a society dominated by performance and evaluative thinking, people’s attention is often outward — tuned to the execution that produces desired results. Thus, people who concentrate on producing results sometimes yell at coworkers, “Can’t you do it properly?” They lack concern for the other person’s mental hurts or loss of self‑esteem. Those who live work‑centered, execution‑centered lives regard the wandering mind as unproductive — in short, as idle thoughts. This is a common assumption because such thoughts can interfere with execution. People belittle another’s wandering mind with remarks like, “Stop those idle thoughts, Hong Gil‑dong. Focus on your work — don’t waste time on random ideas.” But is the wandering mind really unproductive?
While developing and applying Effectiveness Coaching in practice, I became interested in the wandering mind. Effectiveness Coaching is collaborative coaching that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coaching clients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will achieve their desired outcomes. Acting in ways that increase the likelihood of getting what you want is goal‑oriented thinking — the stance we often take when we faithfully meet external demands. What do we tend to miss then? Attention to Being. When people focus on desired outcomes, they easily ignore the inner needs and personal concerns that arise within themselves. What Effectiveness Coaching emphasizes is that personal concerns should be used as productive resources to help obtain desired outcomes.
People commonly try to draw out potential to produce better performance. But from whose perspective are we viewing that potential? How much attention do society, organizational leaders, parents, or stakeholders pay to each individual’s concerns? And what about the person themselves? As a member of social systems, you cannot ignore external demands — they decisively shape the way you live. Professionals who help others grow should especially pay attention to personal concerns. In practice, they do take that approach. The wandering mind reflects personal concerns: thoughts that arise as people pursue their own internal needs, which they believe may bring personal reward. Through self‑awareness we can explore potential and expand what is obscure into the known.
Applying my perspective to the wandering mind, I view life as having two domains: Doing (execution) and Being (existence). The former is encountered when your gaze is outward; the latter when your gaze turns inward. When your gaze is inward, potential becomes a productive resource. The wandering mind is not idle thought; it is a hidden cognitive resource that acts as a catalyst, stimulating and facilitating behaviors that increase the likelihood of achieving desired outcomes. If you find and use the meanings contained in the wandering mind’s thoughts, Being will promote Doing. Those who primarily live execution‑centered lives exhaust and burn out themselves and others.
As you prepare for 2026, I recommend paying attention to your wandering mind. Use the three attributes contained in the wandering mind — directionality, value, and variability — as resources for achieving desired outcomes (S. Lee, 2020). To do this you need a solid psychological foundation: a flexible mind that is not easily shaken by anxious thoughts, and an understanding of, and ability to utilize, the communication between mind and brain. Result‑centered, goal‑centered, and execution‑centered lives are important, but in 2026 also consider existence‑centered thinking. Live a life that meets external demands, but also discover and satisfy your own needs and connect them to external demands. Draw out the value of your wandering mind and use it to improve your life.
Try the following. At a set time each day, jot down the thoughts that arise. Do this for a week. On the weekend, read the entries over a cup of coffee. Don’t evaluate or judge; simply notice what you were thinking. Continue this activity for a month. At the end, review everything and organize it. Look for commonalities in the content. Seek meaning through dimensions such as directionality, value, and variability. Develop meaningful items into action tasks and put them into practice in 2021.
[How to make your 2026 plan]
Find your one Big Agenda. Don’t force yourself to craft an overly ambitious plan. When you set a goal you want to achieve, your mind imagines your current state in which you haven’t achieved it. A clear goal awakens awareness of your lack — even if your conscious mind tries to suppress that thought. Will you accept that lack as your goal? You likely felt similarly last year. Do you want to carry that inner tension into 2021? That tension is the source of countless stray thoughts.
When setting goals for 2026, let go of the purely rational, overly analytical approaches you’ve used so far. If you spent the year worrying over a thousand thoughts, it’s because you couldn’t sort them out. Yet the answers are within those thoughts. Change the frame of your thinking. How can you do that? It’s not too late. Read your wandering mind. There you can find what you should do in 2026.
Explore your inner needs deeply. Then find the one thing you absolutely want to accomplish. Only one thing for 2026! Discard the rest. Even if you don’t include other items in your plan, your achievement motivation will not let those thoughts rest — it will neutralize them. Don’t let money, time, energy, worry, anxiety, and stress caused by a thousand stray thoughts hurt you. Invest in that one thing only. To plan and accomplish it you need selection and focus. Find the one “Big Agenda” that is most valuable and meaningful to you. I support you.
Main point: Mind‑wandering (the “wandering mind”) is not just unproductive noise but a source of personal needs and latent potential that—if noticed and harnessed—can boost goal achievement. The author contrasts Doing (external, execution) with Being (internal, attention), argues that attention to inner signals (using the wandering mind’s directionality, value, and variability) supplies productive resources, and recommends practical steps (daily jotting of thoughts, reflect weekly/monthly, extract themes, then choose one Big Agenda for focused action that aligns inner needs with external demands).
Reference
Lee, Sukjae (2020). How to Use a Wandering Mind. Seoul: Plan B Design.
떠도는 마음을 활용한 2026년 준비하기
떠도는 마음 (wandering mind)이란, '일에 대한 집중력이 떨어진 사람들의 주의가 그들의 내면으로 이동하면서 생기는 자발적인 정신 상태입니다.' 떠도는 마음은 마음의 일부입니다. 여러분은 평소 자신의 시선을 어디에 두고 있습니까? 성과와 평가적 사고가 팽배한 사회에서 사람들의 주의는 흔히 밖을 향하고 있습니다. 원하는 결과를 만드는 실행에 맞춰져 있습니다. 그래서 원하는 결과를 만드는 데 집중하는 사람들은 함께 일하는 사람들에게 "제대로 못하겠어?"라고 고함을 칩니다. 상대방이 겪을 마음의 상처, 자존감의 상실에 대한 관심은 부족합니다. 일 중심, 실행 중심의 삶을 사는 사람들은 떠도는 마음을 비생산적인 마음이라고 생각합니다. 한마디로 잡생각이라고 봅니다. 사람들이 흔히 가지고 있는 통념입니다. 실행을 방해하기 때문이지요. "홍길동님, 잡생각 때려치시오. 일에 전념하라고 했지 엉뚱한 생각에 시간 낭비하라고 했어요?"라고 상대방의 떠도는 마음에 따른 생각을 평가절하합니다. 떠도는 마음은 정말 비생산적인 것일까요?
나는 '효과성 코칭 (Effectiveness Coaching)'을 개발하고 코칭 현장에 적용하면서 떠도는 마음에 대해 관심을 가졌습니다. 효과성 코칭은 코칭 고객(개인과 조직)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협력 코칭입니다.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행동을 하는 것은 목표지향적 사고입니다. 우리가 외부 요구에 충실할 때 흔히 취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지요. 이때 우리가 놓치기 쉬운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존재에 대한 관심입니다. 사람들이 원하는 결과에 집중하면서 자신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내적 요구, 개인 관심을 쉽게 무시합니다. 효과성 코칭에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바로 개인 관심이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 중요한 생산적인 자원으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흔히 잠재성 (potential)을 끌어내어 더 나은 성과를 만들려고 합니다. 이때 그 잠재성을 누구의 시선으로 보고 있을까요? 사회, 조직의 리더, 학부모, 이해관계자는 각 개인의 관심에 어느 정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을까요? 자기 자신은 어떨까요? 사회시스템의 일원으로 삶을 사는 경우 외부 요구를 무시할 수 없습니다. 삶을 사는 방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다른 사람의 성장을 돕는 전문가는 특히 개인 관심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실제 그들은 그러한 접근을 취합니다. 떠도는 마음은 개인 관심의 반영입니다. 사람들이 개인적인 차원에서 보상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자기만의 내적 요구를 추구하면서 갖는 생각입니다. 자기인식을 통해 잠재성을 탐구하고 모로는 영역을 아는 영역으로 넓혀가야 합니다.
떠도는 마음에 적용했던 관점 (perspective)을 적용하면 살펴보겠습니다. 나는 삶에 두 영역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행의 영역 (Doing)과 존재의 영역 (Being)입니다. 전자는 시선을 밖에 두었을 때 만나는 것이고 후자는 시선을 안에 두었을 때 만나는 것입니다. 시선을 안에 두었을 때, 생산적인 자원은 잠재성입니다. 떠도는 마음은 잡생각이 아니라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행동을 자극하고 촉진시키는 촉진제 역할을 하는 숨겨진 인지적 자원입니다. 떠도는 마음에 담긴 생각의 의미를 찾아서 활용한다면, 존재가 실행을 촉진시키게 될 것입니다. 실행 중심의 삶을 주로 사는 사람들은 자신과 타인을 탈진, 번아웃시킵니다.
2026년을 맞이할 준비를 하면서 떠도는 마음에 주의를 기울여 보기를 권합니다. 떠도는 마음에 담긴 3가지 속성인 지향성, 가치성, 가변성을 활용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는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입니다(S. Lee, 2020). 이를 위해서는 심리적 기반이 탄탄해야 합니다. 불안한 마음에 흔들리지 않고 유연한 마음을 갖는 것, 마음과 뇌의 소통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입니다. 결과중심, 목표중심, 실행중심의 삶도 중요하지만, 2026년에 존재중심의 사고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외부 요구를 충족시키는 삶도 살지만, 자신의 요구를 발견하고 채우고, 외부 요구와 연결시키는 삶도 구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떠도는 마음의 가치를 끌어내어 삶을 개선시켜 보십시오.
다음과 같이 노력해보십시오. 매일 일정한 시간에 자신의 떠오르는 생각을 메모해 보십시오. 일주일 동안 작성해 보십시오. 주말에 커피 한 잔하면서 내용을 읽어 보세요. 이때 평가하거나 판단하지 말고 자신이 무슨 생각을 하였는지만 살펴 보세요. 이와 같은 활동을 한 달 동안 해보세요. 마지막에는 전체 내용을 보고 정리를 해 보세요. 내용의 공통점도 찾아 보세요. 지향성, 가치성, 가변성 등의 측면서 의미를 찾아 보세요. 의미 있는 내용은 실행과제로 개발하여 2021년에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6년 계획 세우는 방법]
당신의 한 가지 Big Agenda를 찾아 보세요. 야심찬 계획을 세울려고 너무 애쓰지 마세요. 이루고 싶은 그 목표를 세울 때 당신의 마음속에서는 그것을 이루고 있지 못한 현재의 모습을 떠올리고 있습니다. 명확한 목표가 지금 당신의 부족함을 각성시키고 있습니다. 당신의 의식은 그 생각을 억누르고 있겠지만요. 그 부족함을 목표로 수용하겠다고 생각하십니까? 작년에도 아마 비슷하게 생각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내면의 긴장감을 2021년에도 가지고 가려고 하십니까? 그 긴장은 오만가지 잡생각을 만드는 근원입니다.
2026년 목표를 세울 때 지금까지 해왔던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접근을 내려 놓으세요. 올해 오만가지 생각으로 고민했다면, 생각을 정리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 생각들 속에 답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해오던 생각의 판을 바꿔보세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지금도 늦지 않았습니다. 당신의 떠도는 마음을 읽어 보세요. 그곳에서 당신이 2026년에 해야 할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내면의 요구를 깊게 탐구해 보십시오. 그리고 꼭 이루고 싶은 한 가지를 찾아 보세요. 2026년에 이루고 싶은 오직 한 가지! 나머지는 모두 버리세요. 계획에 포함시키지 않아도 당신의 성취동기가 그 생각들을 가만두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당신의 신년 계획을 무력화시킬 것입니다. 오만가지 잡생각으로 인한 돈, 시간, 체력, 걱정, 불안, 스트레스로 상처받지 마세요. 그것을 딱 한 가지에 투자하세요. 계획을 세우고 성취하려면, 선택과 집중이 필요합니다. "당신에게 가장 가치 있고 의미 있는 한 가지", 그 Big Agenda를 찾아 보세요. 당신을 응원합니다.
참고문헌
이석재(2020). 떠도는 마음 사용법. 서울: 플랜비디자인.

"사람들은 목표 달성을 위한 실행의 삶을 사는 데는 열심이지만, 정작 그 삶을 살아가는 존재의 삶을 사는 데는 관심이 적다. 떠도는 마음은 존재가 만드는 독특한 정신세계지만, 실행의 시선으로 보는 사람들에게는 잡생각이며 비생산적인 방해 요인일 뿐이다. 사람들은 자생적으로 생겨난 떠도는 마음의 세계를 실행의 눈으로만 보고 있다."
-<떠도는 마음 사용법> 들어가는 글에서 (1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