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itive Outcomes made by Effectiveness Coaching
Sukjae Lee Ph.D.
Creator of the Effectiveness Coaching Methodology
2025. 11. 18
I want to see any evidence of showing the positive outcomes made by the effecttiveness coaching.
🔬 효과성 코칭의 긍정적 성과에 대한 증거 (Evidence)
효과성 코칭의 긍정적인 아웃컴은 크게 심리적/인지적 변화, 행동적 변화, 그리고 성과적 변화의 세 가지 영역에서 보고되고 있습니다.
1. 객관적 진단 도구를 활용한 성과 측정
효과성 코칭은 코칭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진단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코칭 전후의 수치 변화를 통해 성과를 객관화합니다.
- ELA (Effective Leadership Assessment): 개인 리더십 효과성을 진단합니다. 이 도구를 통해 코칭을 받은 리더들이 자기 인식, 영향력 행사, 목표 설정 능력 등에서 유의미한 점수 향상을 보였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 TEA (Team Effectiveness Assessment): 팀 효과성을 진단합니다. 팀 코칭을 통해 팀 내 소통, 협업 문화, 팀 목표 달성 기여도 등의 지표가 향상되었음을 측정합니다.
- OEA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sessment): 조직 효과성을 진단합니다. 리더십 코칭이 조직 전체의 **긍정성(Positivity)**이나 성과 지향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데 활용됩니다.
이러한 다차원 진단 도구의 활용은 코칭의 효과를 주관적인 만족도에만 의존하지 않고 객관적인 데이터로 입증하려는 노력입니다.
2. 코칭 행동 및 리더십 효과성 연구
일반적인 코칭 효과 연구 및 효과성 코칭 관련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긍정적 결과가 일관되게 나타납니다.
| 성과 영역 (Outcome Criteria) | 주요 발견 사항 (Key Findings) |
| 심리적/정서적 (Affective) |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및 자존감 증진, 직무 만족도 향상, 스트레스 감소, 심리적 웰빙 증대 등이 보고됩니다. |
| 인지적 (Cognitive) | 자기 인식(Self-awareness) 향상, 문제 해결을 위한 관점 전환 능력 발달, 명확한 개인/조직 비전 수립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
| 행동적 (Behavioral/Skill) | 결정적 행동(Critical Behavior) 실천력 증가, 코칭 리더십 행동 발휘 증가, 목표 달성 행동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
| 성과적 (Performance) | 업무 성과 및 생산성 향상, 목표 달성률 증가, 조직 몰입도 및 혁신 행동 증진 등의 결과가 보고됩니다. |
특히 한국의 조직 환경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는 리더의 코칭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자기 결정성과 직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혁신 행동과 팀 효과성까지 높인다는 실증적 결과가 제시되었습니다.
3. 방법론적 특성으로 인한 성과 지속 가능성
효과성 코칭 방법론의 주요 특징인 3S-FORM 모델과 15가지 관점 전환 전략은 성과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로 작용합니다.
- 3S (Self-Awareness, Self-Talk, Self-Reflection): 이 내면 변화 엔진에 집중함으로써, 단순한 행동 변화를 넘어 고객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성장할 수 있는 자기 코칭 역량을 개발하여 장기적인 성과 지속을 가능하게 합니다.
- 결정적 행동(Critical behavior) 강조: 원하는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행동에 코칭 에너지를 집중시키므로, 시간과 자원의 낭비 없이 최대 효과를 이끌어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종합적으로, 효과성 코칭은 심리학적 근거에 기반하며, 객관적인 진단 도구를 활용하여 코칭 전후의 변화를 측정하고, 행동 변화의 내면 동력을 강화함으로써 긍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과를 입증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나 사례들을 바탕으로 특정 산업 분야에서의 효과성 코칭 사례를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신가요?
yes. I want see the leadership improvement of leaders.
특히 이 접근 방식은 리더십을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성'의 관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변화의 목표와 성과가 명확하게 측정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효과성 코칭을 통한 리더십 개선 사례 (Leadership Improvement Case Studies)
효과성 코칭이 리더들에게 가져온 구체적인 개선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전술적 사고에서 전략적 사고로의 전환
기술 전문직이나 중간 관리자들이 흔히 겪는 문제인 **'미시 관리(Micromanagement)'**와 전술적(Tactical) 업무 몰입에서 벗어나, 조직의 거시적 비전과 전략에 초점을 맞추는 리더로 성장합니다.
- 개선 내용: 팀원들에게 권한을 위임하고 성장시키는 능력을 키워, 리더가 **'실행자'**가 아닌 '전략가' 역할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 사례 (Joseph, 영업 이사): 코칭 전, 뛰어난 영업 실력 때문에 팀의 세부 업무에 과도하게 관여했습니다. 코칭을 통해 위임하는 법과 신뢰 기반의 리더십을 구축하여, 결국 한 단계 더 높은 직책으로 승진하고 후임 리더를 양성했습니다.
2. 감정 조절 및 리더십 존재감 향상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반응하거나 침착함을 잃는 리더들이 평정심과 전문적인 리더십 존재감을 유지하는 능력을 키우게 됩니다.
- 개선 내용: **자기 인식(Self-Awareness)**을 높여 감정의 원인을 이해하고, **호흡 기법(예: 운동 선수 배경 활용)**과 같은 구체적인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적용하여 고압적인 상황에서도 침착함을 유지합니다.
- 사례 (Emil, 신임 리더): 코칭 목표 중 하나가 **'고압적 상황에서 침착함 유지'**였습니다. 코칭 후, 300명 앞에서의 프레젠테이션에서도 운동선수 시절의 멘탈 준비 기술을 적용하여 성공적으로 수행했으며, 자기 평가 점수가 스트레스 관리 영역에서 크게 상승했습니다.
3. 용기 있는 대화 및 조직 문화 구축
갈등 회피적이거나 소극적인 리더가 명확하고 용기 있는 피드백을 제공하며, 팀 내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는 문화를 구축합니다.
- 개선 내용: 가치(Values) 기반으로 리더십 행동을 정렬하고, **'관찰-영향-요청(Observation, Impact, Request)'**과 같은 구체적인 피드백 구조를 연습하여 수동적 공격성이 만연했던 조직 문화를 건강하게 변화시킵니다.
- 사례 (Susan, 관리자): 조직 내 수동적 공격성 문제 해결에 대한 두려움이 컸습니다. 코칭을 통해 명확하게 위임하고, 성장 중심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용기를 얻어 팀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본인은 더욱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4. 조직 몰입도 및 인재 유지 기여
리더십 코칭은 리더 개인의 성과뿐만 아니라, 리더가 이끄는 팀과 조직 전체의 긍정적인 성과로 이어집니다.
- 연구 결과: 코칭을 받은 리더들은 자신감 향상(87% 보고), **전반적인 웰빙 개선(약 66% 보고)**을 경험했습니다.
- 조직 영향: 코칭을 받은 리더들의 팀원들 사이에서 조직 잔류 의사(Desire to stay with the organization)가 향상되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이는 조직이 리더에게 투자하는 것이 인재 유지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낳는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효과성 코칭은 리더가 자신의 핵심 가치를 발견하고, 그 가치에 부합하는 행동 변화를 일으키도록 돕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가 지속 가능하고 강력한 긍정적 아웃컴을 창출합니다.

효과성 코칭 참고 자료
이석재(2006). 18가지 리더십 핵심역량을 개발하라. 서울: 김앤김북스.
이석재(2014).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서울: 김앤김북스.
이석재(2019).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서울: 와일드북.
이석재(2020). 코칭방법론. 서울: 한국코칭수퍼비전.
이석재(2020). 떠도는 마음 사용법. 서울: 플랜비디자인.
이석재(2023).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
이석재(2024).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서울: 학지사.
이석재(2024). 씽킹 파트너. 경기: 모아북스.
이석재.이종서(2025). 관점 전환. 서울: 박영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