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효과성 코칭과 모델에 대한 소개

생각파트너 이석재 2025. 11. 14. 12:26

1. 효과성 코칭이란 무엇인가?

효과성 코칭 (Effectiveness Coaching)은  이석재 박사가 개발한 코칭 모델로 보이며,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정: 사람들은 삶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성(원하는 결과를 얻은 정도)을 추구합니다.
  • 정의: 개인과 조직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구조화된 목표지향적인 협력 활동입니다.
  • 특징:
    • 증거기반 코칭: ELA, TEA, OEA와 같은 3가지 진단 도구를 활용하여 코칭의 효과성 변화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검증합니다.
    • 코칭 설계: '변화 요구 파악 - 변화 목표 설정 - 행동 변화 코칭 - 코칭 성과 평가'의 4단계로 구성됩니다.
    • 모델: '효과성 코칭 모델'이 있으며, 3S-FORM 행동 변화 모델 등도 관련되어 있습니다.

 

2. 효과성 코칭 모델의 주요 구성 요소

효과성 코칭 모델(Effectiveness Coaching Model)**은 이석재 박사가 개발하고 체계화한 코칭 방법론의 핵심 구조입니다.

이 모델은 코칭을 통해 개인과 조직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인 **효과성(Effectiveness)**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효과성 코칭 모델은 크게 세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됩니다.

  1. 변화 요구 (Need for Change)
    • 개념: 코칭 대상자(개인 또는 조직)가 현재 상태에서 **원하는 결과(Desired Outcomes)**를 달성하기 위해 변화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부분입니다.
    • 역할: 코칭의 출발점이자 원동력이 됩니다.
  2. 원하는 결과 (Effective Results)
    • 개념: 코칭을 통해 최종적으로 얻고자 하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와 성과입니다.
    • 역할: 코칭의 목표이자 성과 기준이 됩니다.
  3. 결정적 행동 (Critical Behaviors)
    • 개념: 변화 요구를 해소하고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낼 가능성을 높이는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행동입니다.
    • 역할: 변화 요구와 원하는 결과를 연결시키는 실질적인 행동 변화를 의미합니다.

효과성 코칭의 기본 논리: 변화 요구를 파악하고, 결정적 행동을 통해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효과성)을 높이는 과정입니다.

[그림 1] 효과성 코칭 모델

 

3. 효과성 코칭의 4단계 프로세스

 

이 모델을 기반으로 한 코칭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4단계로 구조화되어 진행됩니다.

  1. 변화 요구 파악: 코칭의 출발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현재의 문제점, 부족한 점, 그리고 변화를 원하는 영역을 진단 도구(예: ELA, TEA, OEA) 등을 활용하여 객관적으로 파악합니다.
  2. 변화 목표 설정: 변화 요구를 해소하고 궁극적으로 도달하고 싶은 **원하는 결과(Desired Outcomes)**를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설정합니다.
  3. 행동 변화 코칭: 목표 달성을 위한 **결정적 행동(Critical Behaviors)**을 중심으로 코칭을 진행합니다. 이때 3S-FORM과 같은 보조 모델이 활용되어 내면의 변화(자기인식, 자기대화, 자기성찰)와 행동의 실천을 이끌어냅니다.
  4. 코칭 성과 평가: 설정했던 원하는 결과를 기준으로 코칭의 효과성(Effectiveness) 변화를 측정하고 검증하여 피드백합니다.

혹시 결정적 행동 변화를 이끄는 보조 모델인 3S-FORM 코칭 모델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신가요?

 

4. 3S-FORM 코칭 모델의 구성

 3S-FORM 코칭 모델효과성 코칭 모델에서 결정적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사용되는 핵심적인 심리학적 행동 변화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이석재 박사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코칭 대상자가 스스로 변화를 일으키는 **내면의 엔진(3S)**과 코치와의 협력을 통해 **행동 변화를 구조화하는 과정(FORM)**을 통합합니다. 이와같이 3S-FORM 모델은 크게 **3S(내면의 변화)**와 **FORM(코칭 프로세스)**의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1) 3S (내면의 변화를 이끄는 3가지 자기 활동)

3S는 코칭 전 과정에서 순차적, 반복적으로 일어나야 하는 코칭 대상자의 인지적 활동이자 성장의 동력입니다.

요소 의미 역할 및 내용
Self-Awareness 자기인식 💡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힘. 다면 진단(ELA, TEA 등) 결과 피드백을 통해 현재 자신의 리더십, 행동, 효과성 등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각성합니다.
Self-Talk 자기대화 💬 스스로에게 긍정적인 질문이나 격려를 던져 관점을 전환하는 힘. 부정적이고 제한적인 자기 대화를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대화로 바꾸어 동기 부여와 행동을 촉진합니다.
Self-Reflection 자기성찰 ✨ 코칭 세션과 일상 속 행동 결과를 되돌아보고 의미와 교훈을 찾아내는 힘. 행동의 성공과 실패 원인을 탐색하고, 다음 행동 계획에 반영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어냅니다.

2) FORM (행동 변화를 구조화하는 4단계 프로세스)

FORM은 코치와 코칭 대상자가 결정적 행동을 중심으로 변화를 만들어가는 구조화된 코칭 프로세스입니다.

단계 요소 역할 및 내용
Feedback 피드백 1️⃣ 코칭의 시작. 진단 결과나 관찰 내용을 바탕으로 코칭 대상자의 **자기인식(Self-Awareness)**을 촉발하고, 변화 요구를 명확히 합니다.
Opportunity
d
iscovery
기회 발견 2️⃣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결정적 행동을 발견하고, 새로운 가능성이나 기회에 도전할 수 있도록 관점을 재구성합니다.
Reconstruction 재구성 3️⃣ 기존의 제한적인 사고방식이나 행동 패턴을 목표에 적합한 새로운 관점이나 행동으로 재설계하고, **자기대화(Self-Talk)**를 통해 실행 의지를 다집니다.
Move Forward 전진 4️⃣ 변화된 행동을 실행하고, 실행 과정에서 발생한 결과를 **자기성찰(Self-Reflection)**을 통해 분석하고, 다음 행동 계획을 수립하며 지속적으로 목표를 향해 나아갑니다.

 

[그림 2] 행동변화를 만드는 3S-FORM 코칭 모델

 

5. 모델의 연관성

3S-FORM 모델은 피드백을 통해 자기인식을 촉발하고, 기회 발견 재구성 단계를 거치며 자기대화로 내면의 변화를 강화하며, 전진 단계에서는 실행과 자기성찰을 통해 지속적인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는, 효과성 코칭 방법론의 핵심 실행 도구입니다.

효과성 코칭과 3S-FORM 모델의 관계를 도식화한 [그림 1]을 참고하시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6. 참고 자료

이석재(2006). 18가지 리더십 핵심역량을 개발하라. 서울: 김앤김북스.

이석재(2014).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서울: 김앤김북스.

이석재(2019).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서울: 와일드북.

이석재(2020). 코칭방법론. 서울: 한국코칭수퍼비전.

이석재(2020). 떠도는 마음 사용법. 서울: 플랜비디자인.

이석재(2023).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

이석재(2024).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서울: 학지사.

이석재(2024). 씽킹 파트너. 경기: 모아북스.

이석재.이종서(2025). 관점 전환. 서울: 박영스토리.